-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1/11 02:12:52 |
Name | 불타는밀밭 |
Subject | 최후통첩이론과 po죽창wer |
최후통첩이론은 이제 너무 유명해져서 Common sense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 기본적인 설명은 링크로 때우려 합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35133&cid=58345&categoryId=58345 경제학에서 최후 통첩이론이 특히나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유가, 저건 그 전의 경제학이 가정해왔던 경제학적 인간(homo economicus)과 완전히 대치되는 결과거든요. 경제학에서 가정하는 '독립된 효용함수'의 인간을 전제하는데.' 독립된 효용함수'라는 것의 의미는 내가 이득을 보면 남이 이득을 보든지 손해를 입든지 나는 상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경제학적 인간을 두 명을 전제하고 저 게임을 시켜 보면 결과가 1원을 주고 받는 것으로 나옵니다. 1원짜리가 있다면 말이죠. 그런데 실제는 안 그렇거든요. 제안자는 평균적으로 40~50%의 몫을 제안했고, 수락자는 만약에 제안자가 20%미만을 제시하면 그냥 자기가 손해를 보더라도 거절해 버렸다고 합니다. 어렸을 적에 자주 있던 일이죠. 형동생이나 남매에게 '둘이 사이좋게 나눠 먹어' 라고 뭔가를 맞기면 그게 제대로 나눠지던가요? 결국 싸움이 일어나고 엄마는 이런 나쁜 아이에겐 간식을 줄 수 없겠다며 빼앗아 버리죠. 이와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어른들이라고 해서요. 그렇다면 이런 경우에, A(제안자)가 자신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B를 비난할 수 있을까요? '공짜로 뭐가 생기면 감사하게 받을 일이지 너 때문에 너는 물론이고 나까지 손해를 봤어!!, 야! 왜 괜히 욕심을 부려?!!' 이런 의사 표시를 하는 A는 경제학적 인간의 관점과 논리에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B도 경제학적 인간이라면 무조건 거래는 성사되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B는 그러지 않았죠. 적어도 B가 제안자의 입장에 설 때는 모르겠지만, 수락자의 시점에서 B는 경제학적 인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면 뭘까? 최정규 교수님의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라는 저서에는 '응보적 인간' 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너와 나는 동등한데, 네가 80먹고 나는 20 먹는 꼴은 원하지 않는다. 그럴 바엔 우리 모두 0 먹고 0 먹어서 평등해지자. 20밖에 안주겠다고? 괘씸해! 우리 모두 X 되보자!!! 이게 응보적 인간의 논리가 되겠습니다. 올해의 세계인들은 브렉시트로도 모잘라서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뽑아 버리고 말았습니다. 저는 두 가지 현상 모두 이러한 '응보적 인간'들의 반란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브렉시트를 제창한 정치인 자신들 조차 설마 이게 가결될 줄은 몰라서 우왕좌왕하는 브렉시트를 통과시킨 원동력은 '우리나라(영국)가 유럽(EU)과 연결되어서 나아지는 점이야 있겠지. 이론적으로는 확실히 그렇다고 잘난 놈들이 말하데. 맞는 거 같아. 하지만 자본가나 공장주들, 아니면 이민자들이나 이득 보는 거 아니야? 그 이득이 나에겐 전혀 돌아오지 않는 거 같은데? ' 라고 생각했던 영국의 하 중층 시민들이라고 해석되고 트럼프를 당선시킨 원동력은 '오바마? 훌륭한 대통령이었지. 뭐 8년동안 경제도 안정되고 지표도 좋아졌다고 하네. 그렇지만 내 사정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은 거 같아. 좀 더 화끈한 변화가 필요해. 트럼프를 뽑겠어. 최소한 X 되더라도, 다 같이 X되는거야!!!' 라고 생각하는 계층이 아닐까 합니다. 합리적이지 않죠. 자기 파괴적이고 말이죠. 그렇지만 이해를 할 수 없는 바는 아닙니다. 분노한 사람들에게 투표권은 최후 통첩 게임에서의 선택권과 같은 의미였겠죠. 따라서 이건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기 보단 감정적 의사 표현에 가깝습니다. 그렇습니다만 어떻게 하겠습니까? 투표는 1표를 1표로 계산할 뿐 그 표가 어떤 심리에서, 어떤 논리로 나왔는지는 묻지 않는 것을. 이제 트럼프에게 투표하지 않은 미국인들은 트럼프에게 투표했다는 미국인을 비난하겠죠. "야,늬들 때문에 쟤가 대통령 됐잖아. 우린 다 이제 망할거야. 어쩔거야?!" 트럼프에게 투표를 한 사람들은 대놓고 말을 하지는 못하겠지만 속으로는 아주 즐거워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망해도 같이 망하는게 내가 바라는 바다!' 라고요. 미국 전체의 미래를 걸고 했었던 최후 통첩 게임의 결과라고나 할까요.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불타는밀밭님의 최근 게시물
|
브렉시트와 트럼프 당선은 최후통첩이론으로도 설명되는 일면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소외계층과 불만계층들 입장에서는 어차피 더 좋아질 것이 없으니 판을 흔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미래가 비관적이라고 보이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보다는 일단은 단기적으로 생존에 이득이 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이죠.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공정성이고 자시고 간에 살 수 있는 희망이 보이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최후통첩... 더 보기
하지만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소외계층과 불만계층들 입장에서는 어차피 더 좋아질 것이 없으니 판을 흔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미래가 비관적이라고 보이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보다는 일단은 단기적으로 생존에 이득이 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이죠.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공정성이고 자시고 간에 살 수 있는 희망이 보이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최후통첩... 더 보기
브렉시트와 트럼프 당선은 최후통첩이론으로도 설명되는 일면이 있어 보입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소외계층과 불만계층들 입장에서는 어차피 더 좋아질 것이 없으니 판을 흔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미래가 비관적이라고 보이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보다는 일단은 단기적으로 생존에 이득이 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이죠.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공정성이고 자시고 간에 살 수 있는 희망이 보이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최후통첩이론에서 말하는 합리성이 얼마를 제시하든 돈을 받는 것이라고 했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불공정한 대우를 용인했다면 몇 년 후 다시 같은 상황에서 자신의 몫은 같거나 더 적어질테지만 만일 판을 깼다면 자신의 몫은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더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후생경제학적 관점에서는 공정성이 훼손되면 결국 경제적 효율성 자체가 훼손된다고 보기 때문에 부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자본주의의 최근 상황이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지금껏 경제적으로 소외되었던 자들을 공정하게 대하지 않으면 자본주의는 심하게 삐걱거리다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소외계층과 불만계층들 입장에서는 어차피 더 좋아질 것이 없으니 판을 흔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미래가 비관적이라고 보이면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보다는 일단은 단기적으로 생존에 이득이 되는 선택을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것이죠.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는 공정성이고 자시고 간에 살 수 있는 희망이 보이는 쪽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최후통첩이론에서 말하는 합리성이 얼마를 제시하든 돈을 받는 것이라고 했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불공정한 대우를 용인했다면 몇 년 후 다시 같은 상황에서 자신의 몫은 같거나 더 적어질테지만 만일 판을 깼다면 자신의 몫은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더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후생경제학적 관점에서는 공정성이 훼손되면 결국 경제적 효율성 자체가 훼손된다고 보기 때문에 부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보는데 자본주의의 최근 상황이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지금껏 경제적으로 소외되었던 자들을 공정하게 대하지 않으면 자본주의는 심하게 삐걱거리다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위에 ArcanumToss님의 의견과 비슷해요.
최후통첩게임은 그 맥락 안에서 끝나니 20%라도 받는게 합리적이긴 하지만 그 맥락이 계속 이어져 매번 20%만 받는게 당연해진 사람들은 폭발하고 말겠죠.
지금 한국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봐요. 20%도 감지덕지 하고 온갖 비리와 범죄에 관대한 한국의 사회적 정서가 박근혜-최순실의 작당질에 흔들리고 있지요.
"해쳐먹어도 정도(?)를 지켜라!!" 이랬던게 터져나온 것 같아요.
여태까지 자본주의는 '능력껏 해먹어라' 라며 능력있는 사람들 (ex. 빌게이츠, 잡스, 일론 머스... 더 보기
최후통첩게임은 그 맥락 안에서 끝나니 20%라도 받는게 합리적이긴 하지만 그 맥락이 계속 이어져 매번 20%만 받는게 당연해진 사람들은 폭발하고 말겠죠.
지금 한국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봐요. 20%도 감지덕지 하고 온갖 비리와 범죄에 관대한 한국의 사회적 정서가 박근혜-최순실의 작당질에 흔들리고 있지요.
"해쳐먹어도 정도(?)를 지켜라!!" 이랬던게 터져나온 것 같아요.
여태까지 자본주의는 '능력껏 해먹어라' 라며 능력있는 사람들 (ex. 빌게이츠, 잡스, 일론 머스... 더 보기
저도 위에 ArcanumToss님의 의견과 비슷해요.
최후통첩게임은 그 맥락 안에서 끝나니 20%라도 받는게 합리적이긴 하지만 그 맥락이 계속 이어져 매번 20%만 받는게 당연해진 사람들은 폭발하고 말겠죠.
지금 한국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봐요. 20%도 감지덕지 하고 온갖 비리와 범죄에 관대한 한국의 사회적 정서가 박근혜-최순실의 작당질에 흔들리고 있지요.
"해쳐먹어도 정도(?)를 지켜라!!" 이랬던게 터져나온 것 같아요.
여태까지 자본주의는 '능력껏 해먹어라' 라며 능력있는 사람들 (ex. 빌게이츠, 잡스, 일론 머스크..) 을 추앙하고
도태되는 사람들을 '게으르다' 고 하거나 '능력없는 건 네 잘못' 이런 식으로 치부하고 나몰라라 했던 것 같아요.
근데 사실 생각해보면 자본주의 시장/문화권(?)에서 추앙받는 능력있는 사람들은 그 특유의 감각이나 선견지명, 그리고 운(?)이랄까...
그냥 하다보니 일이 잘 풀려서 그렇게 된 사람들이 많잖아요. 한국에서는 가카의 꼼꼼함도 능력으로 봐주는 것 같고요(..?)
근데 미국의 중서부 사람들이나 영국의 노동자들에게 '너네는 멍청하고 노오력이 부족해서 그래' 라고 후려치면서 안 챙겨주고
유능한 또는 끈질긴(?) 외국인들이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나라의 resource를 또 뺏어가니 열받는거죠..
최후통첩게임은 그 맥락 안에서 끝나니 20%라도 받는게 합리적이긴 하지만 그 맥락이 계속 이어져 매번 20%만 받는게 당연해진 사람들은 폭발하고 말겠죠.
지금 한국의 상황도 비슷하다고 봐요. 20%도 감지덕지 하고 온갖 비리와 범죄에 관대한 한국의 사회적 정서가 박근혜-최순실의 작당질에 흔들리고 있지요.
"해쳐먹어도 정도(?)를 지켜라!!" 이랬던게 터져나온 것 같아요.
여태까지 자본주의는 '능력껏 해먹어라' 라며 능력있는 사람들 (ex. 빌게이츠, 잡스, 일론 머스크..) 을 추앙하고
도태되는 사람들을 '게으르다' 고 하거나 '능력없는 건 네 잘못' 이런 식으로 치부하고 나몰라라 했던 것 같아요.
근데 사실 생각해보면 자본주의 시장/문화권(?)에서 추앙받는 능력있는 사람들은 그 특유의 감각이나 선견지명, 그리고 운(?)이랄까...
그냥 하다보니 일이 잘 풀려서 그렇게 된 사람들이 많잖아요. 한국에서는 가카의 꼼꼼함도 능력으로 봐주는 것 같고요(..?)
근데 미국의 중서부 사람들이나 영국의 노동자들에게 '너네는 멍청하고 노오력이 부족해서 그래' 라고 후려치면서 안 챙겨주고
유능한 또는 끈질긴(?) 외국인들이 그나마 얼마 남지 않은 나라의 resource를 또 뺏어가니 열받는거죠..
삐걱은 댈 수 있는데 과연 무너질 것인가는 회의적입니다. 저는 그걸 기술발달에 따른 개인당 갖출 수 있는 무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리아의 경우 인구 2300만 중 1000만 이상이 난민신세라고 하죠. 인구의 반수 가까이가 도저히 자국에서 더 살 수 없을 만큼 자국을 증오한다는 거죠. 옛날 같으면 이런 국가는 성립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전에 분노한 민중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붕괴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현대의 국가들은 무너지지 않죠. 아무리 국민이 국가나 사회 체제에 불만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이제 대중의... 더 보기
시리아의 경우 인구 2300만 중 1000만 이상이 난민신세라고 하죠. 인구의 반수 가까이가 도저히 자국에서 더 살 수 없을 만큼 자국을 증오한다는 거죠. 옛날 같으면 이런 국가는 성립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전에 분노한 민중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붕괴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현대의 국가들은 무너지지 않죠. 아무리 국민이 국가나 사회 체제에 불만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이제 대중의... 더 보기
삐걱은 댈 수 있는데 과연 무너질 것인가는 회의적입니다. 저는 그걸 기술발달에 따른 개인당 갖출 수 있는 무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리아의 경우 인구 2300만 중 1000만 이상이 난민신세라고 하죠. 인구의 반수 가까이가 도저히 자국에서 더 살 수 없을 만큼 자국을 증오한다는 거죠. 옛날 같으면 이런 국가는 성립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전에 분노한 민중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붕괴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현대의 국가들은 무너지지 않죠. 아무리 국민이 국가나 사회 체제에 불만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이제 대중의 봉기로는 근대 국가 정규군의 무력을 당해 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노사이드나 난민 대량 발생이 일어날 뿐이죠.
과거 공산 국가 수립 같은 걸 가능하게 했던 유혈 혁명은 이제 불가능해진 것이 아닐까 합니다.
시리아의 경우 인구 2300만 중 1000만 이상이 난민신세라고 하죠. 인구의 반수 가까이가 도저히 자국에서 더 살 수 없을 만큼 자국을 증오한다는 거죠. 옛날 같으면 이런 국가는 성립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 전에 분노한 민중들에 의해 물리적으로 붕괴했을 테니까요. 그렇지만 현대의 국가들은 무너지지 않죠. 아무리 국민이 국가나 사회 체제에 불만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이제 대중의 봉기로는 근대 국가 정규군의 무력을 당해 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노사이드나 난민 대량 발생이 일어날 뿐이죠.
과거 공산 국가 수립 같은 걸 가능하게 했던 유혈 혁명은 이제 불가능해진 것이 아닐까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