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28 16:06:51
Name   리틀미
Subject   정치혐오증에 대한 변명
나는 운동권 정서에 대해서 반감을 가지고 있는데 그들의 꼰대성 때문이다. 비슷한 이유로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정치혐오증이라고 비판 받는 것과 같은 맥락인데 그렇기에 나는 우리 또래의 정치혐오증을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말하고 싶다.

세대 간에는 대충 그려지는 공통적인 위기나 정서가 있다. 한국의 그림은 전후세대는 생물학적 위기, 386세대는 사회적 위기, 지금은 실존적 위기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체적인 대강의 모습이지만.

보수가 북한을 걸고 넘어지는 걸 진보는 고리타분한 것으로 여기는데 실제로도 그렇다. 보수적 입장이라는 젊은이들도 이 이야기를 그대로 듣고 되풀이한다. 문제는 진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운동권 정서를 담습하여 그대로 쏟아낸다.

자신들이 겪었던 위기를 공감해주지 않는 젊은이들은 그들의 시각으로 볼 때 뭘 모르는 어린것들이다. 북한의 위협도 잘 모르고 민주주의 위기도 잘 모른다. 지금도 북한은 위협적이고 민주주의는 언제나 위기지만 우리의 위협과 위기는 북한이나 민주주의가 아니다. 87년도에는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향해 배신자라고 손가락질해도 그럴법했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는 것처럼.

할아버지들과 아저씨들의 이야기를 듣고 와서 또래 친구들한테 쯧쯧쯧 혀를 차는 모습을 보면 별로 달갑지가 않다. 특히 운동권 정서는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라거나 책을 읽으라는 말을 하면서 우월감까지 표출한다. 이런 우월감이 싫기는 하지만 이해할 수는 있다. 원래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을 보게 되면 사람은 심리적으로 우월감을 느끼게 되고 표출하고 싶어진다. 미국에서 상대방 정당을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설문조사를 했더니 양쪽 모두 1위가 "멍청해서"였다고 한다. (페미니즘 논쟁에서도 남녀진영이 무식하다와 책읽어라가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었다.) 이런 마음을 심리학적 용어로 "정치적 혐오감"이라고 한다.

즉, 다시 말하면 정치에 무관심해서 정치혐오증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을 향해서 운동권 정서는 꽤 심하게 정치적 혐오감을 표출해왔다. (남자들이 여자들을 무시하는 방식이기도 했다. 메갈리아에서 민주당 지지 사이트들과 충돌하고 정치 이야기를 하면 극도로 꺼려하는 아이러니함을 보이는 이유 중에 하나.) 자신을 혐오하는 사람에게는 자동적으로 혐오감이 느껴질 수 밖에.

정치 사회에 관심 갖는 건 어쩌면 오타쿠 취급 받는 게 우리 세대에게는 정당할 지도 모른다. 나도 내가 그냥 현실 감각 없는 오타쿠라고 생각한다.



0


    리틀미
    제가 쓴 글에 댓글 달다가 생각나서 쓴 건데 타임라인에 쓸까 고민했는데 댓글을 받아 보고 싶어서요.
    Ben사랑
    멍청하다, 책읽어라 말하는 그들의 작태가 오히려 더 멍청하고 책 안 읽은 티가 나죠.
    Ben사랑
    많이 공부하면 뭐해요. 자기가 취하고 싶은 자료와 해석만 취사선택하는데.
    리틀미
    멍청하다, 책읽어라 말하는 사람들한테 멍청하다, 책읽어라 말하면 두 배로 멍청하다, 책읽어라 소리를 듣게 될 거에요ㅋㅋ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에게 느끼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생각해요. 그런 이해를 가지고 상대방이 싫지만 가식적으로 의견을 존중하는 척 노력하는 게 상류층이나 식자층이 되는 것 같고요. 한국의 상류층들이 가식적인 이야기만하고 체면치레에 노력하면 한국 사회에 한층 더 아름다워질 거에요.
    Ben사랑
    제가 생각하는 진정한 지식인의 모습은

    열린 마음을 갖고 자료와 해석을 취사선택하지 않는 인간입니다. 신념? 주체적 생각? 이것들이 시대에 뒤떨어지면 폐기할 줄도 알아야 해요. 자신이 지금까지 배운 것들이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는 자가 깨달은 자입니다.
    저는 운동권 정서라는게 악의적 프레임같아서 전체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운동권 정서를 교조주의라고 해야 맞을거같아요. 근데 교조주의적 운동권 정서는 내부적으로도 80년대부터 갈등을 빚어온거고,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교조주의에 대한 반성부터 시작해서 학생운동권이나 노조운동에서도 이에 대한 수정작업이 많이 일어났어요. 이걸 2016년에도 운동권 정서는 꼰대고 그걸 정치혐오와 붙이는건 말이 안되는거같아요. 요새 정치혐오 내지는 정치무관심자들이 딱히 운동권에 대해 알거나 속해있거나 갈등하거나 할 만큼 운동권이 남아있지도 않고요.... 더 보기
    저는 운동권 정서라는게 악의적 프레임같아서 전체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운동권 정서를 교조주의라고 해야 맞을거같아요. 근데 교조주의적 운동권 정서는 내부적으로도 80년대부터 갈등을 빚어온거고,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교조주의에 대한 반성부터 시작해서 학생운동권이나 노조운동에서도 이에 대한 수정작업이 많이 일어났어요. 이걸 2016년에도 운동권 정서는 꼰대고 그걸 정치혐오와 붙이는건 말이 안되는거같아요. 요새 정치혐오 내지는 정치무관심자들이 딱히 운동권에 대해 알거나 속해있거나 갈등하거나 할 만큼 운동권이 남아있지도 않고요. 그리고 딱히 운동권 정서가 아니어도, 아는 체 하고 가르치고 싶어 하고 그렇게 무시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은 정치가 아니라 거의 모든 영역에서 많이들 벌어지잖아요. 운동권이 꼰대짓이 가능할때는 맑스주의나 서양 의회민주주의 같은게 아직 진리성이 있을때였지만, 지금은 전자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면서도 사람들에게는 많이 멀어진 구세대의 사상에 가깝고(지금의 이론적지위를 확보 못했다고 알고있어요) 의회민주주의는 뉴스룸의 말처럼,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165개고 그중 우리나라는 무지 상위권이잖아요. 애시당초 운동권 정서 자체가 크게 존재할 수가 없는거 같아요 ㅋㅋ 교조주의를 뺀다면 운동권 정서가 별로 나쁠것도 없죠.
    리틀미
    386세대라는 말은 노무현 정권의 인사 정책을 비판하려고 만든 거였고 거칠고 불안정한 운동권 이미지였는데요. 그게 세월이 지나면서 꼰대 이미지로 바뀌었네요. 대충 이런 것 같다는 생각이라서 강하게 주장하려는 말은 아니에요. 운동권 정서라는 말보다 386 정서라는 말이 더 어울릴 지도 모르겠네요. 노인들은 비가 와도 굽은 허리로 새벽부터 나가서 투표를 하는데 젊은이들은 놀러 가기나 한다는 비판을 잘 들어보면 민주당 뽑으라는 말인데요. 따지고 들었을 때 그나마 궁색하게 새누리당 뽑아도 된다고 얘기하면 양반인데 새누리당 뽑는다고 말했을 때 화내면 이게 진짜 운동권...
    데스꽁치
    개인적으로는 비교적 '운동권'에 호의적이기도 하고 누굴 운동권이다 뭐다 해서 싸잡는 행태에 큰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만 요즘 그 '운동권'의 마지막 보루(?)인 진보3당 내부에서 일어나는 한결 같은 작태들을 보고 있자면 싸잡혀도 할 말이 없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 토론회 한답시고 만만한 사람 비웃으며 조리돌림을 하질 않나 반대측을 공부도 부족하고 감수성도 없는 종자들로 매도하질 않나...불리한 사안은 죄 입 싹 씻고 피해가더군요. 지금이 2016년이 맞긴 한 건지 원.
    알료사
    변명해야할만한 일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정치 혐오도 여러가지 정치 참여 형태중 한가지 방법이라고 봐서요.
    리틀미
    미국도 지금 힐러리도 싫고 트럼프도 싫다고 그러는 젊은층이 많다고 들었는데 이 효과로 이미 MB를 당선시킨 적이 있는 한국은 진정한 정치 선진국이죠.
    Ben사랑
    "요즘 젊은 놈들은.."이라고 혀를 차는 나이드신 분들이 웃긴 게,
    인간이 그 몇십년 사이에 갑자기 엄청난 진화라도 하지 않은 이상, 생물학적 DNA로는 자기네들과 별 다를 것도 없는 거죠.
    그럼 결국 교육환경의 문제인데, 이 환경은 바로 자신들이 만들었거든요.
    그런 환원 논리라면 아무도 비판할 수 없죠.
    Ben사랑
    으윽.. 정곡을 찔렸네요. 그래서 제가 요즘 그런 딜레마에 빠져 있습니다;; 저 사람을 내가 비판할 자격이 있는가? 그 사람의 뇌랑 그 사람의 주변환경이 그 사람을 그렇게 만들었을뿐.
    알료사
    근데 또 사람의 뇌랑 주변환경이 비판도 하게 만드는 거니까요 ㅋ 결국 꼴리는대로 하면 됩니다. 나의 비판이 그 비판대상의 주변환경중 일부분이 된다면 변화를 기대해볼수도 있겠죠 ㅎ
    Ben사랑
    으으.. 어려운 문제네요.
    최근 웹상에서 운동권 정서?란 걸 가장 많이 느끼는 곳이 오늘의유머 베오베 게시판이예요.
    리틀미
    제가 말하려는 게 운동권이라기보다 386 정서에 더 가까우니 대충 맞을 거에요. 본인들 스스로 그걸 정체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모이려고 하는 곳이니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60 기타제59회 그래미 어워즈 시상식 2 김치찌개 17/02/13 3320 0
    2576 기타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사전투표일 입니다. 11 NF140416 16/04/08 4096 2
    9029 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4 烏鳳 19/04/03 6722 22
    4425 음악제 피아노 협주곡을 소개합니다.. 7 표절작곡가 16/12/22 4754 5
    7429 일상/생각제 친구를 잃어버렸습니다. 5 Winter_SkaDi 18/04/22 4579 1
    12954 육아/가정제 일생에서 가장 어이없는 말을 어제 들었습니다. 35 shadowtaki 22/06/26 5883 0
    3945 일상/생각제 이야기 좀 들어주세요(한탄좀 들어주세요) 26 엘멜 16/10/18 4625 0
    8430 게임제 와우 캐릭터(스샷 좀 있음) 6 헬리제의우울 18/10/28 9111 2
    9014 일상/생각제 성격 10 절름발이이리 19/03/30 5875 0
    3448 게임제 기억에 남는 게임속 장면들을 꼽아봤어요 21 늘좋은하루 16/08/04 6207 0
    2298 영화제 88회 아카데미 시상식 현 시각 배당율 현황 13 구밀복검 16/02/25 7938 0
    7025 기타제 60회 그래미 시상식 수상 결과.jpg 5 김치찌개 18/01/30 4855 0
    1477 창작제 3 자 김 모씨 2 nickyo 15/11/06 8564 5
    8033 의료/건강제 2차 국공합작은 가능할것인가?: 원격진료 및 의료서비스발전법 논란 4 Zel 18/08/10 4977 3
    9791 기타제 19호 태풍 하기비스(HAGIBIS) 6 다군 19/10/07 4250 3
    13931 일상/생각젖어들고 싶은 하루 큐리스 23/05/31 2190 2
    11735 일상/생각정확하게 이해받고 설명 없는 대화를 하고 싶다는 욕망 11 21/05/30 4545 14
    2410 의료/건강정형외과의 역사 -2- 26 ORIFixation 16/03/16 8659 0
    2384 의료/건강정형외과의 역사 26 ORIFixation 16/03/11 7726 0
    10643 의료/건강정형외과 치료 이야기 4 옐빠 20/06/02 4942 2
    2995 일상/생각정합게임이라는 달콤한 제안 16 김덕배 16/06/11 5713 1
    14170 음악정크푸드 송 4 바나나코우 23/10/04 1930 6
    3598 일상/생각정치혐오증에 대한 변명 17 리틀미 16/08/28 5871 0
    10497 정치정치혐오와 정치만능 사이에서 6 간로 20/04/15 4691 9
    14271 오프모임정치학 독서모임 '홍당무' 개최합니다 28 골든햄스 23/11/14 2900 1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