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8/28 16:06:51 |
Name | 리틀미 |
Subject | 정치혐오증에 대한 변명 |
나는 운동권 정서에 대해서 반감을 가지고 있는데 그들의 꼰대성 때문이다. 비슷한 이유로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정치혐오증이라고 비판 받는 것과 같은 맥락인데 그렇기에 나는 우리 또래의 정치혐오증을 자연스러운 모습이라고 말하고 싶다. 세대 간에는 대충 그려지는 공통적인 위기나 정서가 있다. 한국의 그림은 전후세대는 생물학적 위기, 386세대는 사회적 위기, 지금은 실존적 위기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체적인 대강의 모습이지만. 보수가 북한을 걸고 넘어지는 걸 진보는 고리타분한 것으로 여기는데 실제로도 그렇다. 보수적 입장이라는 젊은이들도 이 이야기를 그대로 듣고 되풀이한다. 문제는 진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운동권 정서를 담습하여 그대로 쏟아낸다. 자신들이 겪었던 위기를 공감해주지 않는 젊은이들은 그들의 시각으로 볼 때 뭘 모르는 어린것들이다. 북한의 위협도 잘 모르고 민주주의 위기도 잘 모른다. 지금도 북한은 위협적이고 민주주의는 언제나 위기지만 우리의 위협과 위기는 북한이나 민주주의가 아니다. 87년도에는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향해 배신자라고 손가락질해도 그럴법했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는 것처럼. 할아버지들과 아저씨들의 이야기를 듣고 와서 또래 친구들한테 쯧쯧쯧 혀를 차는 모습을 보면 별로 달갑지가 않다. 특히 운동권 정서는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라거나 책을 읽으라는 말을 하면서 우월감까지 표출한다. 이런 우월감이 싫기는 하지만 이해할 수는 있다. 원래 정치적 입장이 다른 사람을 보게 되면 사람은 심리적으로 우월감을 느끼게 되고 표출하고 싶어진다. 미국에서 상대방 정당을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설문조사를 했더니 양쪽 모두 1위가 "멍청해서"였다고 한다. (페미니즘 논쟁에서도 남녀진영이 무식하다와 책읽어라가 가장 많이 쓰이는 말이었다.) 이런 마음을 심리학적 용어로 "정치적 혐오감"이라고 한다. 즉, 다시 말하면 정치에 무관심해서 정치혐오증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사람들을 향해서 운동권 정서는 꽤 심하게 정치적 혐오감을 표출해왔다. (남자들이 여자들을 무시하는 방식이기도 했다. 메갈리아에서 민주당 지지 사이트들과 충돌하고 정치 이야기를 하면 극도로 꺼려하는 아이러니함을 보이는 이유 중에 하나.) 자신을 혐오하는 사람에게는 자동적으로 혐오감이 느껴질 수 밖에. 정치 사회에 관심 갖는 건 어쩌면 오타쿠 취급 받는 게 우리 세대에게는 정당할 지도 모른다. 나도 내가 그냥 현실 감각 없는 오타쿠라고 생각한다. 0
|
저는 운동권 정서라는게 악의적 프레임같아서 전체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운동권 정서를 교조주의라고 해야 맞을거같아요. 근데 교조주의적 운동권 정서는 내부적으로도 80년대부터 갈등을 빚어온거고,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교조주의에 대한 반성부터 시작해서 학생운동권이나 노조운동에서도 이에 대한 수정작업이 많이 일어났어요. 이걸 2016년에도 운동권 정서는 꼰대고 그걸 정치혐오와 붙이는건 말이 안되는거같아요. 요새 정치혐오 내지는 정치무관심자들이 딱히 운동권에 대해 알거나 속해있거나 갈등하거나 할 만큼 운동권이 남아있지도 않고요.... 더 보기
저는 운동권 정서라는게 악의적 프레임같아서 전체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요. 운동권 정서를 교조주의라고 해야 맞을거같아요. 근데 교조주의적 운동권 정서는 내부적으로도 80년대부터 갈등을 빚어온거고, 2000년대 초반에 이미 교조주의에 대한 반성부터 시작해서 학생운동권이나 노조운동에서도 이에 대한 수정작업이 많이 일어났어요. 이걸 2016년에도 운동권 정서는 꼰대고 그걸 정치혐오와 붙이는건 말이 안되는거같아요. 요새 정치혐오 내지는 정치무관심자들이 딱히 운동권에 대해 알거나 속해있거나 갈등하거나 할 만큼 운동권이 남아있지도 않고요. 그리고 딱히 운동권 정서가 아니어도, 아는 체 하고 가르치고 싶어 하고 그렇게 무시하고 행동하는 사람들은 정치가 아니라 거의 모든 영역에서 많이들 벌어지잖아요. 운동권이 꼰대짓이 가능할때는 맑스주의나 서양 의회민주주의 같은게 아직 진리성이 있을때였지만, 지금은 전자는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면서도 사람들에게는 많이 멀어진 구세대의 사상에 가깝고(지금의 이론적지위를 확보 못했다고 알고있어요) 의회민주주의는 뉴스룸의 말처럼,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165개고 그중 우리나라는 무지 상위권이잖아요. 애시당초 운동권 정서 자체가 크게 존재할 수가 없는거 같아요 ㅋㅋ 교조주의를 뺀다면 운동권 정서가 별로 나쁠것도 없죠.
386세대라는 말은 노무현 정권의 인사 정책을 비판하려고 만든 거였고 거칠고 불안정한 운동권 이미지였는데요. 그게 세월이 지나면서 꼰대 이미지로 바뀌었네요. 대충 이런 것 같다는 생각이라서 강하게 주장하려는 말은 아니에요. 운동권 정서라는 말보다 386 정서라는 말이 더 어울릴 지도 모르겠네요. 노인들은 비가 와도 굽은 허리로 새벽부터 나가서 투표를 하는데 젊은이들은 놀러 가기나 한다는 비판을 잘 들어보면 민주당 뽑으라는 말인데요. 따지고 들었을 때 그나마 궁색하게 새누리당 뽑아도 된다고 얘기하면 양반인데 새누리당 뽑는다고 말했을 때 화내면 이게 진짜 운동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