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6/27 18:26:54수정됨 |
Name | 절름발이이리 |
Subject | 집을 팔았습니다. |
한국 주택 상승률이 미쳐 날뛰던 지지난주 보유한 주택 매도 계약을 맺었습니다. 잔금은 곧 받습니다. 팔고 곧 바로 주택에 재투자를 할지 말지를 고민했었는데, 일단 안 하기로 결정 했습니다. 기본적인 생각은 이랬습니다. 지금 난리긴 하지만, 규제는 곧 들어올 것이고, 펀더멘탈이 못 받쳐준다. 곧 규제가 들어오리라 예상하긴 했지만, 그래도 대개 규제는 (중장기적으로) 별로 안 중요하다는 게 제 오래된 생각입니다. 혹자들은 규제 때문에 가격이 올랐네 말았네라고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한국 부동산 규제는 (오늘 발표된 규제도 포함하여) 대체로 대증적인 처방만 투입되어 왔습니다. 즉 열이 오르면 해열제를 먹고, 열이 내리면 난로를 키는 것인데, 사실 이건 열이나는 원인인 병환 자체를 치료하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그런데 그 병환,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은 사실 자본주의가 원만히 작동하는 한 지극히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현상입니다. 심지어 구체적으로 노무현 박근혜 문재인 정부 때 정도로 급히 오르는 것 조차도요. 그러니까 사실 병환이라는 말도 민망하고, 그냥 나이먹는 일 같은 거죠. 물론 수많은 규제나 대응이 대증적이라해서 무용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단 그 걸로 장기적으로 가격을 휘두르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얘기입니다. 대한민국 경제는 그간 높은 성장률을 꾸준히 유지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주거 부동산의 가격 상승을 막을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것이 제가 부동산 재투자를 미룬 이유이기도 합니다. 규제가 어떻고 저떻고를 떠나서, 작금의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이 약한 상태라고 보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최근은 기술적 상승이었으며, 장기로 이어지기 힘들 수 있겠다라는 판단입니다. 이 집을 샀을 때 (=2017년말)는 집 값이 충분히 합리적으로 보였고, 한국 경제도 매크로도 모두 좋았습니다. 지금은 아니라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앞으로 한국경제와 부동산에 불황, 하락장이 온다고 예측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그냥 보수적으로 지켜볼 생각입니다. 하여 한 동안은 무주택자입니다. 11
|
궁금한게 주택 파신 자금은 어디로 이동했는지 알수 있을까요? 예를 들면 미장 한국장 아니면 채권 금 코인 등등요. 혹시 괜찮으시다면 여쭈어보고싶습니다.
제가 지역을 이동해서, 또 필요한 집 크기가 달라져서 해당 집은 어차피 투자 자산으로의 의미만 남은 상태기는 했습니다.
당장이 아닐 뿐 중장기적으로 거주할만한 집을 매수할 생각이 있습니다. 그런데 꼭 주거 안정성 때문보다는 인테리어 편하게 하고자 하는 취지로..
당장이 아닐 뿐 중장기적으로 거주할만한 집을 매수할 생각이 있습니다. 그런데 꼭 주거 안정성 때문보다는 인테리어 편하게 하고자 하는 취지로..
님의 식견을 보면서 늘 감탄하곤 하는 입장에서 참 아쉬운 일이군요. 언제고 사정/의향이 되신다면 종종 글을 볼 수 있게 되길 바래보겠십니다.
요즘 너무 급히 올라서 대책은 곧 나올거라고 봤습니다만, 그 직전에 팔린 건 제가 의도한 것은 아닙니다. 사실 이 집은 대책 후에도 피해가 별로 없지 않을까 싶은 곳이기도 해서, 특별히 절묘했다기보다 그저 나쁘지 않았다 정도로만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가격대는 저도 당분간은 큰 영향은 없으리라고 봅니다. 실거주 기간 채우시면서 지켜보셔도 되지 않을까 의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가격대는 저도 당분간은 큰 영향은 없으리라고 봅니다. 실거주 기간 채우시면서 지켜보셔도 되지 않을까 의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