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6/25 23:19:28수정됨
Name   잔고부자
Subject   농업 보조금에 대한 일상 소소한 생각
https://youtu.be/I8dKtQ7Zzt0?si=gX9dM_B-dsIO4-oG
노동의 끝판왕.. 80년대 벼농사


https://youtube.com/shorts/IncQE64yKug?si=Q3lsi-1H8D-7WoiX
아시아인이 유기농을 안 먹는 이유



현재 정부의 농업 보조금 방향에 대한 의견
정부는 “컨설팅 비용을 지원해 교육해주겠다”는 명목으로

    광고는 농가가,
    포장도 농가가,
    선별도 농가가,
    수확도 농가가,
    판매도 농가가,
    세금 처리도 농가가,
    생산은 당연히 농가 스스로 모두 처리해야 한다는 구조를 강요하고 있는 듯합니다.

물론 개인사업자라면 본인이 책임지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농업은 업종 특성상 생산을 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모든 과정을 병행하기에는 물리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결과적으로, 현실에서는

    생산만 하고 → 농협 또는 경매장으로 출하 [여기서 중도매인 문제가 발생]
    생산 후 → 개인 유통으로 판매,
    이렇게 두 갈래로 나뉘게 됩니다.

문제는 개인 판매의 경우에도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은 비싼 반면,
    생산성은 낮고, 생산비도 높아 농가 입장에서는 여전히 어렵기만 합니다.

상황이 이렇다면, 농산물이 그 가격만큼 소비자에게 만족을 주는 제품인가?
신토불이 농산물이, 유기농 농산물이 책정된 가격만큼,, 그래픽 카드처럼 소비자에게 확실한 만족을 주는 제품인가?
이는 경우에 따라 천차만별이기에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현실을 고려할 때, 농업 정책은 반드시 ‘규모화’를 우선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여기 조금, 저기 조금씩 나눠주는 식의 분산 지원으로는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농업인이 전체의 약 75%에 이른다고 합니다.
사실상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런 글을 쓰다 보니 저도 비관론자처럼 보일 수 있겠습니다만,

“일단 죽어야 구조를 바꿔야 다시 살릴 수 있다” 생각에서 말씀드리는 것이니,

저는 **'현실적인 긍정론자'**로 봐주셨으면 합니다

멀리갈것 없이 RPC 사장
농협 과장급이 접할수 있는 데이터만으로도 이런답이 나옵니다
농림부 정책과에서 모를리가 없습니다
그냥 방치후 소멸루트가 편하니 그냥 호흡기만 붙이고
관찰하는게 합리적이니까요


‘반값 농자재 지원’이라 선전하길래 내용을 뜯어봤습니다.
결국 65세 이상, 3,000평 미만 농가만 대상이더군요. 이러면 전체 농가의 60%를 겨냥한 셈입니다.
지원금도 많지 않은데, 표는 사고 생색은 내기 딱 좋은 구조입니다.

이런 식이니 보조금만 노리는 가짜 농민들만 계속 늘어나고,
정작 농업 경쟁력 강화나 국가 식량안보에는 아무 기여도 하지 못합니다.

농업인 지원에 대해 국민 여론이 싸늘한 이유?
이런 날먹 구조를 알면서도 방치하고 제재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놈들이 기계로 지으니 쉽지 어쩌니 저쩌니 훈수를 두는데.. 신고마렵읍니다




AI활용 요약

반값 농자재 지원 정책 비판 요약
정책 대상: 65세 이상 + 3,000평 미만 → 전체 농가의 약 60%

문제점

지원금 규모 작고 선심성

가짜 농민만 양산

농업 경쟁력, 식량안보엔 무관

국민 여론이 싸늘한 이유는 날먹 구조 방치 때문

현 정부 농업 보조금 방향 비판
“교육·컨설팅 지원” 명분 아래 농가에 모든 책임 전가

광고, 포장, 선별, 수확, 판매, 세금 → 모두 농가 몫

현실적으로 1인이 전 과정 수행은 물리적으로 불가능

실제 유통 구조는 두 갈래:

농협/경매장 출하 → 중도매상 문제 존재

개인 판매 →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은 높지만 생산성·수익성은 낮음
            
근본 대안 제시
규모화 없는 분산 지원은 실효성 없음

65세 이상 농업인 비율이 75% → 시간 촉박

“죽어야 고친다”는 말처럼 현실을 직시한 구조 개혁 필요

농림부도 문제 인식하고 있으나, 건드려봐야 표떨어지고 골치아프니
방치와 자연소멸 노선 택한 듯

결론
땜질 지원 아닌 근본 구조 전환이 시급

- 가짜 농업인 엄벌
- 규모화 그리고 규모화
- 스마트팜 규모화
- 압도적인 가성비의 노지도 규모화

품질은 일단 뒤로하고 압도적인 물량만이 살길.





7


    답은...메가팜
    잔고부자
    선규모 후품질입니다
    이대로 가면 식량 안보라는 대의명분도 못찾을판입니다
    1
    휴머노이드
    규모화 가능하겠읍니까. 결국 아직 한국은 소규모 땅으로 소작하는게 주류아닌지.
    잔고부자
    다죽는 판인데 밀어야지요
    소규모 직불금 안줘
    더럽고 치사해도 농업법인등 이나 농협 아래로 뭉쳐
    -> 지원더줘
    이런식으로 밀어붙여야지요
    소수의견 듣다가는 끝이안납니다
    1
    휴머노이드
    농림부장관으로 ㄱㄱ..
    잔고부자
    적자생존 약자도태 끝을 보여주겠읍니다
    뽑아주십쇼 ㅋㅋㅋ
    휴머노이드
    국민추천제 시즌2 가즈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835 1
    15550 기타농업 보조금에 대한 일상 소소한 생각 7 잔고부자 25/06/25 658 7
    15543 기타나는 동네고양이다. 1 사슴도치 25/06/22 650 6
    15538 기타[자문단] 나는 어떤 글을 추천하는가? 2 moneyghost 25/06/19 699 4
    15526 댓글잠금 기타김재환의 정체에 대한 추측, 그리고 백종원은 아마 이미 알고 있다. 21 단비아빠 25/06/17 1950 1
    15523 기타백종원과 김재환PD의 생사결 19 단비아빠 25/06/16 1993 3
    15461 기타쳇가씨) 눈마새 오브젝트 이준석 기타등등 6 알료사 25/05/24 1401 13
    15454 기타쳇가씨 꼬드겨서 출산장려 반대하는 글 쓰게 만들기 2 알료사 25/05/22 938 0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1262 9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895 1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21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1259 4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1214 12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1558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2457 43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 25/03/26 1408 5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889 2
    15318 기타남의 인생 멋대로 판단하는 이야기 10 바닷가의 제로스 25/03/13 2417 48
    15313 기타즐겨보는 유튜브 추천 2 1 swear 25/03/13 1215 3
    15310 기타(번역) contrapoint - cringe 2 페리카나 25/03/11 1141 0
    15283 기타현재 구독중인 유튜브 채널 소개. 2 어제내린비 25/02/27 1661 3
    15277 기타한국인의 족기 우위 무술과 등자의 등장의 연관성 8 bluepills 25/02/21 1514 5
    1518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17) 김치찌개 25/01/02 1377 0
    15091 기타홍차넷 캐릭터 레티 이미지 배포합니다 7 토비 24/12/05 1758 9
    15083 기타★결과★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당첨자 ★발표★ 9 Groot 24/12/01 1316 3
    15075 기타[나눔] 별다방 아메리카노 T 깊콘 1장 22 Groot 24/11/28 1470 1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