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5/15 05:41:43
Name   kaestro
Subject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이번에 키보드 트랜드라는 글을 보면서 '108키 아니면 불편하다', '몇 키 이하는 리모콘이다'와 같은 표현들을 보게 됐습니다.

현재 제가 사용하기 시작한 지 약 2달 정도 된 키보드가 46키 배열인데, 굉장히 만족하고 있는 입장에서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한 번 소개해보면 재밌겠다 싶어, 가볍게 소개해볼까 하는 겸 잠 깬 김에 글 올려봅니다.

거두절미하고 현재 사용중인 키보드부터 공유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iBaV0W5.jpg

키...보드?라는 말이 들 수 있는 당황스러운 물건임을 저도 압니다만 놀랍게도 이것은 키보드입니다. 그리고 아마도 여태까지 제가 써 본 모든 키보드들 중에서 가장 편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해당 키보드는 소위 corneV4라 불리는 배열의 46키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키보드입니다.

텐키리스라 불리는 95키도, 일반적으로 쓰는 108키도 아닌데 그러면 대체 없는 버튼들은 뭐로 누르는거냐?

이런 키보드들은 이제 소위 레이어라는 개념들을 사용합니다. 제가 현재 사용하는 레이어를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KAjb746.jpg
D3WibBl.jpg
dAdUJl3.jpg

보시고 감이 오시는 분이 있을 수도, 아닐 수도 있는데 레이어라는 것은 동일한 키보드이지만 특정 트리거를 발생시킬 경우에 해당 키보드의 배열의 형태로 변형해서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저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0번 레이어의 키보드 배열을 사용하지만, 숫자와 방향키 등이 필요할 경우 1번 레이어를, f1~f12를 사용할 경우에는 레이어 5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수분들의 경우에는 레이어를 더 여러개 사용하시고, 그 밖에 키 조합 같은 것도 사용하시는 모양이던데 저는 아직 응애라서 거기까지 사용하고 있지는 않네요.

-------------------------------------------------------------------------------------------------

가장 궁금해하실만한, 그래서 이 키보드가 대체 왜 편하단거냐?에 대해 답변드리자면 결국은 키보드 자체가 편하단 것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키배열을 맞춰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편하다는 것이 정답일 것입니다 키보드 자체가 편한 것이 아니라.

인체공학 키보드는 저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어고노믹 키보드를 굉장히 오래썼지만, 여기서 더 나가는 키보드들이 가지고 있는 철학은 보통 그렇습니다

1. 우리 손에서 가장 센 손가락은 엄지인데, 정작 왜 새끼손가락을 많이 쓰는 배열의 형태는 잘못 된 거 아냐?
2. 손가락은 덜 움직일수록 건강한데, 큰 배열의 키보드는 너무 손가락을 크게 움직여야하는게 문제다

여기에 더해 개인적으로는, 작은 키보드 배열의 경우에는 오히려 외우는 것이 더 쉽습니다. 왜냐면 손가락이 얼마나 이동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별도로 외워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108키와 같은 클래식한 배열의 키보드의 단점은 제 생각에 결국 잘 쓰지 않는 키보드를 원래 놨을 때 잘 닿지 않는 키보드들은 눈으로 보고 독수리타법을 쳐야한다는 지점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형태의 키보드는 모든 버튼이 제가 사용하는 손을 놓은 위치 안에 있기 때문에, 레이어를 바꾸는 버튼만 익숙해지면 오히려 입력 정확도도 높아지고 속도도 빨라진다고 체험하고 있습니다.

---------------------------------------------------------------------------------------------------

저는 뭐 이런 키보드들 사용해보는 것 자체를 재밌다고 생각하고, 이번에 회사에서 오랫동안 사용해보신 분의 도움을 받아 물건도 공짜로 하나 선물 받고 했기 때문에 사용하게 됐지만 아무래도 일반적으로 접근성 자체는 좀 많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인 것 같네요.

그냥 저런 애들도 있나보다하고 넘어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원래는 제가 사용해왔던 인체공학 키보드와 스플릿 키보드였던 microsoft ergonimic, mistel md770도 소개해볼까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고 자러 가봐야할 것 같아서 생각이 나면 써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6
  • 인간은 적응하는 존재 ㄷㄷㄷ
  • 키보드 글은 추천!!


와 저는 레이어 쉽게 못 외울 것 같읍니다... (강제로 쓰게 된다면 몇 년 후엔 적응할지도 모르겠읍니다만)
스플릿은 b키 문제가 있고
스플릿 아닌 그냥 각도만 조정한 키보드는 손목은 편해져도 팔꿈치 각도가 별로라서 주저하게 됩니다
kaestro
레이어 자체는 사실 자기가 편한걸 쓰면 되는 거라,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ㅋㅋ
쓰시다 보면 '아 나는 이 버튼이 여기 있으면 편할 것 같은데'하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고, 그러면 그 위치로 옮겨두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거든요
근데 말씀대로 스플릿이 아닌 키보드는 팔꿈치 각도가 별로라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긴 하더군요
한국 사람은 b를 아무래도 오른손으로 누르는 분들이 많아서 스플릿에 적응하시는 데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인데, 그 경우에는 이제 제가 가지고 있는 46키보다는 조금 더 큰 ... 더 보기
레이어 자체는 사실 자기가 편한걸 쓰면 되는 거라,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ㅋㅋ
쓰시다 보면 '아 나는 이 버튼이 여기 있으면 편할 것 같은데'하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고, 그러면 그 위치로 옮겨두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거든요
근데 말씀대로 스플릿이 아닌 키보드는 팔꿈치 각도가 별로라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긴 하더군요
한국 사람은 b를 아무래도 오른손으로 누르는 분들이 많아서 스플릿에 적응하시는 데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인데, 그 경우에는 이제 제가 가지고 있는 46키보다는 조금 더 큰 키보드 레이어를 사용하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생각해보면 제 키보드에서 버튼 하나만 추가되면 해결되는 문제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이게 보통 한국 사람에게만 발생하는 문제이다보니 아무래도 자기가 직접 키보드를 만들 생각을 하든지, 아니면 좀 비싼 돈을 줘야하는 경우가 많긴 한 것 같습니다
1
흙흙 일반 행정업무는 넘버패드가 필수라 슬픕니다아
kaestro
보시면 레이아웃 1번에 넘버패드랑 동일하게 왼손에 매핑해뒀습니다 ㅋㅋ
1
솔깃솔깃~ 레이아웃을 잘 안보고 지나쳤군요!
특수문자는 어떻게 하십니가? 한문이라던지 키보드에 각인이 안된 #$@% 이런 애들이라던지
kaestro
숫자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1~0 레이아웃 보시면 제 편할대로 꽂아놓았고,
아무래도 저 같은 경우는 한문 버튼은 누를 일이 없어서 따로 매핑을 안해뒀는데 필요하다면 아마 1번 레이아웃에서 사용하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1
여기서 더 나가면 아예 글러브 형태의 키보드들이 있더군요
kaestro
말씀하신 그런 키보드들도 나중에는 한번쯤 사용해볼 생각이 있긴 합니다
오 이렇게 생긴게 편할 수 있군요.

워3 하던시절에 커스텀 단축키 썼었는데 그것도 익숙해지니 좋았읍니다
kaestro
아무래도 자기가 편해질 때까지(?) 배열을 변경하는 개념이라서 익숙해지면 편할 수밖에 없긴 합니다 ㅋㅋ
FTHR컨설팅(FTHR컨설팅)
흥미롭군요.
저 키보드가 mistel md770인가요?
kaestro
저 키보드는 corneV4라는 배열의 형태를 띠는 스플릿 키보드입니다
기성품으로 판매하는 것도 찾으실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보통은 스위치/키캡 없는 판을 따로 판매하고 거기에 유저들이 결합해서 사용하는 식인 것 같습니다.
저는 선물 받았어요
mistel md770은 그냥 평범한 95키였나 되는 스플릿 키보드입니다
게임할 때도 좋겠군요.
kaestro
가지고 있는 장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그래도 게임할때는 클래식한 키보드가 더 나은 부분이 많지 않나 싶긴 해요 특히 와우 같은 버튼 많은 게임 할때는요 ㅋㅋ
Paraaaade
배열을 내가 만들기 귀찮은 저같은 인간은 못쓸 키보드군요

알아서 잘 딱 깔끔하게 센스있게 내가 편한 배열로 해줬으면..
kaestro
아무래도 그 부분이 장벽이긴 한데, 저는 원래 이런거 다 커스터마이징해서 쓰는걸 선호하긴 합니다
하마소
신기합니다 ㅋㅋㅋ 도구는 어떤 의미에서든 편의를 위해 나온 걸테니, 익숙해지면 그만큼의 편의가 힘을 받겠지요. 아마 요즘 난립하는 도구들에 사람들이 점차 우려 내지는 거부반응을 먼저 드러내는 이유는, 그런 편의가 발휘되면 좋을 영역이 너무 늘어나서 그런 것 같읍니다. 그만큼 적응을 위한 기다림과 템포 맞추기를 위한 개별적 시간을 허락하고 싶지 않은 문제가 클테지요.
kaestro
아니 대체 제 똥글에서 어떻게 그런 철학적인 문답을...??
하마소
아 선생님께서 보고 영감받으신 그걸 저도 봐서 ㅋㅋㅋ 108(실은 104) 아니면 이단을 선언한 무수히 많은 댓글을 보며, 새로움을 신기하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파편화된 시간 영역이 야기한 보수성을 느꼈거든요. 그래서 항상 선생님같은 탐구자에겐 약간의 경외를 품곤 합니다.
kaestro
뭐 저야 재밌어보이네 하면 그냥 해보고 항상 데이는 편이기 때문에 그렇게 거창한건 아니라 생각합니다ㅋㅋ
근데 사람들이 리모콘이라 부르는 표현은 좀 재밌긴 하더라구요
1
하마소
ㅋㅋㅋㅋㅋㅋㅋ 리모콘엔 숫자 없으면 안되는데 ㅠㅠ
(소곤) 선생님 글자 크기가 이상하게 작게 설정된 것 같습니다

틸팅 각도가 인상적이네요. 저는 ergodox-ez 를 쓰는데 10도 정도만 기울여서 쓰고 있습니다. 더 세워보는 것도 재미있겠네요.
kaestro
오잉? 이따가 한번 확인해봐야겠군요
개인적으로 틸팅 각도 높이고 하는 생각은, 적응만 할수 있다면 90도에 가까울수록 좋은거 같습니다
1
아 그리고 마우스 조작 레이어 추가하면 편합니다
마우스를 완전히 대체할 정도는 아니지만 키보드에서 손뗄 일이 훨씬 줄어들어요
kaestro
안 그래도 그거 도입할지 여부에 대해서 고민중이긴 합니다. 이제 좀 현재 레이어에 익숙해졌다 싶으니 써보고 생각해야겠네요
1
예전부터 관심은 많았는데요, 살다보면 자기 장비로만 업무를 할 수 없을 때도 있지않습니까?

일반 장비를 써야 할 때 역체감은 어느정도인지요?
kaestro
적응이 얼마 안 됐을 때는 심각했는데, 적응이 좀 잘 된 이후에는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실 자기 장비가 아닌 상태로 업무를 해야하는 경우는 보통 짧은 기간인 경우가 많아서 문제되지 않는 것도 같아요
1
당근매니아
엇 이거 예전에 어느 커뮤니티에서 개발일지 보고, 클라우드 펀딩하던 것도 봤던 거 같은데요.
아이디어만 같은 건지, 그 제품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 찾아보니 이런 제품들이 좀 있는 모양이군요?
kaestro
네 그냥 이런 배열들이 존재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조립용 제품들을 보통 알리에서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당근매니아
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13200784
제가 봤던 글은 요거였네요. 본문의 키보드하고는 곡률이 반대 방향으로 적용된 스타일이었습니다.
kaestro
제가 듣기로도 곡률이 저런식으로 적용돼야 진짜 사람 손에 편하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그런 키보드들은 보통 비싸고 키가 많습니다... 그래서 제 키보드 레이아웃에 이제 저런 곡률까지 적용된걸 쓰려면 만들어써야돼요 ㅋㅋ
당근매니아
저도 저 키보드 실제로 제품화되면 하나 써보고 싶었는데, 펀딩이 좌초되서 매우 아쉬웠읍니다....
종료 공지에서 개발자님이 암에 걸리셨다고 하셨는데... 저는 혹시 3D 프린터에서 나오는 유해분진 때문 아닌지 안타까웠습니다. 시제품이랑 초도물량 만드느라 많이 사용하셨다고..
1
결국 주문했습니다 ㅋㅋㅋ Corne V4
알리에 원래 무슨 축이 꽂혀있는지 상세하게 안적혀있는 게 불만이었지만 너무 이상하면 갈아끼워야겠다는 생각입니다ㅎㅎ
kaestro
핫스왑으로 구하셨나요? 그래야 축 갈아끼기 편하다더군요
네 일단 그렇게 써있긴 합니다 ... 알리에서 뭘 많이 안 사봤는데 믿을 수 있겠져... ?
kaestro
요즘 알리는 꽤 믿을만한거 같긴 합니다?
1
오오 좋네용
길을 잃다..
후기 요청드립니다.
넵ㅎ 배송이 6월초라고 하는데 며칠 써보고 올리겠습니당
1
올려주신 레이아웃을 자세히 다시 보니 layers 키 중에 LT x (KC) 옵션이 있었군요... 이걸 못찾아서 탭댄스로 삽질을 하면서 이게 이렇게 불편할 리가 없는데... 하고 있었습니다 ㅋㅋㅋㅋ
kaestro
ㅋㅋㅋㅋ 네 맞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549 IT/컴퓨터ChatGPT O3-Pro 를 활용한 Redtea.kr 조사분석 10 SCV 25/06/25 685 3
15441 IT/컴퓨터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42 kaestro 25/05/15 1191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1231 1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1388 18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1084 1
15289 IT/컴퓨터클로드 3.7에게 소설을 맡겨보았다 - 물망초의 기억 유하 25/03/01 1152 3
15236 IT/컴퓨터결국 구입해버린 저지연코덱 지원 헤드셋 8 야얌 25/01/27 1416 0
15210 IT/컴퓨터금융인증서와 공동인증서 4 달씨 25/01/15 4870 0
15188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4 T.Robin 25/01/05 1746 7
15157 IT/컴퓨터AI가 점점 무서워지고 있습니다. 7 제그리드 24/12/26 1656 0
15125 IT/컴퓨터모니터 대신 메타 퀘스트3 VR 써보기(업데이트) 10 바쿠 24/12/12 2649 5
15081 IT/컴퓨터분류를 잘하면 중간은 간다..? 닭장군 24/12/01 1411 5
15032 IT/컴퓨터추천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되나 13 토비 24/11/08 1813 35
15010 IT/컴퓨터[마감] 애플원(아이클라우드 + 애플뮤직+...) + 아이클라우드 2TB 파티원 모집 중! (6/6) 20 아란 24/10/30 1900 0
14885 IT/컴퓨터도시의 심연 (서울 싱크홀 모티브의 창작소설) 1 타는저녁놀 24/09/01 1467 1
14871 IT/컴퓨터호텔방 카드키의 사실상 표준인 mifare에서 하드웨어적 백도어 발견 7 보리건빵 24/08/27 2147 0
14867 IT/컴퓨터카드사 스크래핑을 해볼까? 3 삼성그룹 24/08/26 2036 5
14769 IT/컴퓨터독한 랜섬웨어에 걸렸습니다 5 블리츠 24/07/02 2131 0
14737 IT/컴퓨터애플의 쓸대없는 고집에서 시작된 아이패드 계산기 업데이트 8 Leeka 24/06/11 2977 0
14734 IT/컴퓨터인공지능과 개발자 12 제그리드 24/06/10 2453 5
14680 IT/컴퓨터Life hack : 내가 사용하는 도구들 2 Jargon 24/05/14 2323 5
14676 IT/컴퓨터BING AI 에서 노래도 만들어주네요.. 3 soulless 24/05/14 1676 0
14670 IT/컴퓨터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1) 23 kaestro 24/05/12 2072 2
14622 IT/컴퓨터5년후 2029년의 애플과 구글 3 아침커피 24/04/25 2193 1
14614 IT/컴퓨터re: 제로부터 시작하는 기술 블로그(1) 2 kaestro 24/04/22 188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