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6/10 16:43:53수정됨
Name   제그리드
Subject   인공지능과 개발자
안녕하세요. 가입하고 간만에 글을 써봅니다.
개발 현업으로 이십 몇년 정도 일을 했습니다.

최근에 ChatGpt 나 Cursor Ai등을 사용중인데, 확실히 생산성이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관련글을 보면 ChatGPT 등의 LLM으로 개발자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글을 보니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고 싶어져서 이글을 씁니다.

일단 명확한 대명제는 @개발자는 모두 대체된다. 다만 그게 어느시점일 것인가?라는 적용시점의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당장은 안됩니다. 기간계,레거시 시스템은 보수적이고, 보수적이라는 것은 그만큼 신중하다라고 봐야 하는 부분이고,
신중한 영역들은 시간이 걸리는 부분입니다.

제기억에 대략 2015년쯤인가? 클라우드에 도입에 대한 국내의 금융권 이슈가 시작되었고, 중요한 금융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에 이관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어서, 지금까지도 계속 도입에 대한 이슈는 많습니다만.
최근 보수적인 금융권에서도 증권의 경우는 정보계,채널 쪽들은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신규 프로젝트 구성시
AWS,쿠버네티스, 가상화 등등 아키텍트들은 대다수 클라우드를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십년 사이에 벌어진 일입니다.

불과 몇년전만 해도 사람들이 구글링을 해서 개발을 많이 했는데, 최근 구글 검색보다 ChatGPT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뭘 말하고 싶은 것이냐면? 결국은 당장은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간단한 프로그램은 Devin Ai처럼 버그수정하고, 배포까지 하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솔직히 최근에 텔레마케팅 업무였던가요?  퇴사시키면서 AI에게 교육시키라는 뉴스가 나온적이 있었습니다.

ChatGPT는 저같은 시니어나 올드 개발자들에게 더 좋은 도구라 보입니다. 설계나 업무정의를 해본 제 입장에서
프롬프트 또한 정리해서 요구사항을 입력하면 제법 나쁘지 않은 컨셉을 만들어 주는 느낌입니다.
구글보다 확실하게 빠른 결과를 보여준다고 할까요.

개인적인 생각인데, 이 추세로 간다면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해지는데, 경험이 없는 신규인력에 대한 문제가 조만간에
나올 것 같아요. 즉 ChatGPT만 잘 쓰면 굳이 신입들에게 경험삼아 이거 해봐라.저거 해봐라 사수,부사수식으로 가르칠 필요도
없어지겠지만, 반대로 신입입장에서 제대로 공부하지 않으면 전체의 큰그림을 보기 힘들어지는 시기가 올것 같아요.

단순하게 해결이상의 경험적인 노하우, 장시간 에러가 발생했을때 상황대처 등등 AI가 가르쳐 줄 수 있는 외적인 영역에 대해서
경험에 의한 직관적인 부분등은 쉽지 않은 영역입니다. 만약 AI를 통해서 빨리빨리 해결해 버리는 부분이 더 발전한다면
개발자의 영역이 점점 더 축소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딱 잘라서 말하면 AI 성능이 좋아질 수록 기존인력을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려고 할 것이고, 신규인력은 배워야 하는데 현장경험을 배우기가 점점 어려워 지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보다 신입들은 더 많은 걸 공부해야 할 거 같아요. 지금처럼 단순 프론트,백엔드,임베디드 단위로만 가면 ChatGPT가 더 잘하는 순간은 올 것이고, 결국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체를 볼 수 있어야 하는 능력이 필요하겠죠.
대략 그시기를 낙관적으로 보면 20년정도, 제 생각엔 10년 후면 지금의 텔레마케터의 결말처럼 분업화된 개발자들은 어려운 시절이 올 거 같아요.

P.S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데, 앞으로 코딩은 영어처럼 변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 다들 누구나 프롬프트나 기초적인 코딩정도는 하는 시대가 올것 같다.에서 결론을 마칩니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제그리드님의 최근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37 IT/컴퓨터애플의 쓸대없는 고집에서 시작된 아이패드 계산기 업데이트 8 Leeka 24/06/11 898 0
    14734 IT/컴퓨터인공지능과 개발자 12 제그리드 24/06/10 776 5
    14680 IT/컴퓨터Life hack : 내가 사용하는 도구들 2 Jargon 24/05/14 828 5
    14676 IT/컴퓨터BING AI 에서 노래도 만들어주네요.. 3 soulless 24/05/14 331 0
    14670 IT/컴퓨터인체공학을 염두에 둔 내 pc용 책상 세팅(1) 23 kaestro 24/05/12 688 2
    14622 IT/컴퓨터5년후 2029년의 애플과 구글 3 아침커피 24/04/25 764 1
    14614 IT/컴퓨터re: 제로부터 시작하는 기술 블로그(1) 2 kaestro 24/04/22 579 1
    14473 IT/컴퓨터유부남의 몰래 [PC처분]-판매완료 17 방사능홍차 24/02/20 2185 0
    14442 IT/컴퓨터천원돌파 의존성 역전 17 kaestro 24/02/08 2933 1
    14422 IT/컴퓨터의존성 역전 패턴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설계 개선(1~3) 30 kaestro 24/01/30 1434 0
    14383 IT/컴퓨터구글에 암호를 모두 저장하는 습관 36 매뉴물있뉴 24/01/05 2129 10
    14259 IT/컴퓨터잠시 마법세계 다녀오겠습니다?? 1 큐리스 23/11/06 1375 1
    14238 IT/컴퓨터인터넷이 되지 않아도 내 컴퓨터에서 gpt를 쓰는 시대가 왔네요 ㅎㅎ 10 큐리스 23/10/31 3264 1
    14220 IT/컴퓨터힙한 사이드바 브라우저! Arc 브라우저 찍먹 후기 6 아재 23/10/24 1654 3
    14123 IT/컴퓨터개신교 말투봇과 천주교 말투 봇을 만들어보았습니다. 6 큐리스 23/08/29 1666 1
    14088 IT/컴퓨터지난번 시인봇에 이어서 와이프봇도 제작해 봤습니다. 3 큐리스 23/08/02 1511 0
    14068 IT/컴퓨터무선 마우스, 키보드 끊김 해결 4 깨어나기 23/07/26 2067 1
    14029 IT/컴퓨터사랑했지만을 프레디머큐리 버전으로 만들어봤습니다. 1 큐리스 23/07/10 1375 0
    13986 IT/컴퓨터공간컴퓨팅 체험하기(?) 5 큐리스 23/06/16 2090 0
    13731 IT/컴퓨터오늘 아침엔 Flight Simulator로 하늘을 좀 날아보았습니다. 3 큐리스 23/04/08 2173 2
    13723 IT/컴퓨터오늘 같은 날은 방구석 여행도 좋습니다. 1 큐리스 23/04/06 1362 0
    13719 IT/컴퓨터재미있게 한자 공부하기^^ 4 큐리스 23/04/05 1917 2
    13708 IT/컴퓨터chatgpt를 이용해서 노션 AI 처럼 써보기 큐리스 23/04/03 1874 0
    13681 IT/컴퓨터chatgpt 때문에 웹소설을 안보게 되었어요. 4 큐리스 23/03/28 1808 1
    13570 IT/컴퓨터성지에 대해서.... 16 퍼그 23/02/15 152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