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4/05/27 01:08:06 |
Name | nothing |
Subject | 기계 번역의 성능 향상이 번역서 품질의 저하를 불러오지 않았을까 하는 가설 |
본문의 내용은 순전히 저의 뇌피셜입니다. 저는 중고 서적을 자주 구입합니다.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운이 좋으면 절판되어 서점에서 더이상 구할 수 없는 책을 발견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헌책방에 직접 들러서 책들의 먼지내음을 맡으면서 추억 여행을 하는 것도 좋아하지만 요즘에는 주로 온라인으로 구매합니다. 보통은 사고 싶은 책 하나를 중고서점 사이트에서 검색합니다. 그리고 그 책을 팔고 있는 판매자의 서점 코너로 이동해서 다른 책들도 구경하면서 관심가는 책들을 몇 권 더 곁가지로 장바구니에 집어넣습니다. 이는 배송비를 아낄 목적이지만 가끔은 원래 사려고 했던 책보다 곁가지로 샀던 책을 더 재미있게 읽기도 합니다. 최근의 경우가 그랬습니다. 원래 사려고 했던 책 A 와 함께 곁가지로 B, C, D 책을 추가로 샀는데, 정작 보고 싶었던 책 A 는 도저히 진도가 안나가고, 오히려 B, C, D 에 손이 자주 갔습니다. 책 A 는 개인적으로 궁금해하던 주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잘 읽히지가 않더라구요. 원문의 문제인지, 아니면 번역의 문제인지, 그도 아니면 조판의 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말입니다. 이 쯤에서 저는 한 가지 가설을 떠올렸습니다. [["최근에 번역된 책들은 기계 번역을 사용해 오히려 번역 품질이 저하된게 아닐까?"]] 이 가설을 떠올리게 된 이유는 책 A가 펴낸지 3년도 채 되지 않는 신간이었고, 잘 읽혔던 나머지 책들이 모두 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출판된 책들이었거든요. 언젠가 지인 한 분이 기술 도서 번역 썰을 풀면서, "DeepL 같은 번역기를 사용해 초벌 번역을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번역에 큰 품이 들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셨던 게 떠올랐습니다. 이 썰 덕분에 기계 번역이 오히려 번역서의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이 심증을 더욱 강화시킨 것은 최근에 있었던 개인적인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올해 초에 기술 서적 한 권의 베타 리딩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외국 서적의 번역서였는데 극한의 번역체 때문에 베타 리딩 과정이 상당히 괴로웠습니다. 곳곳에 기계 번역의 흔적이 여실히 드러나 있었거든요. 물론 그 책은 번역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기는 했습니다. 구어체에서나 자주 쓸 법한 표현들, 그리고 영미 문화권의 경험이 있어야만 이해할 수 있는 관용적 표현들이 꽤 많았거든요. 문제는 그러한 표현들이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려는 노력 없이 그대로 직역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기술 서적은 보통 전문 번역가가 맡기 보다는 번역에 재주가 있는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맡게 마련이므로, 이런 구조상 번역 품질의 한계는 있을 수 밖에 없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참 아쉬운 경험이었습니다. 물론 개인적이고 단편적인 경험들이므로 이 가설은 증명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증명해야 할지도 모르겠구요. 하지만 기계 번역은 LLM 과 같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성능이 좋아지고 있고, 출판 도서 시장의 성장세는 처참하기 그지 없습니다. 번역가의 처우도 2~30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도 하구요. 이러다보니 내가 만약 번역업체 사장이라 하더라도 기계 번역의 비중을 점점 더 높이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nothing님의 최근 게시물
|
결론을 말하면 그렇지 않을 겁니다. 그냥 교열, 검수를 안 하거나 부실하게 한 책이어서 그럴 거라 생각합니다. 그런 일은 기계번역이 나타나기 전에도 있었습니다. 번역이 엉망인 책은 2000년대 이전에도 많이 있었어요.
저는 그냥 개인 용도로 DeepL을 많이 쓰는데요, 번역 품질이 정말 놀랍더라구요. DeepL이 왜 구글 번역보다 뛰어난지 모르겠는데 웬만한 사람보다 낫습니다. 근데 이따금 치명적인 오류가 나오기도 해요. 까다로운 맥락의 글에 대한 번역이라면 전체적으로 다듬어야 하지요. 출판용으로 쓰려면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데, 검토 과정만 철저하게 잘 지킨다면 기계번역을 이용하는 건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개인 용도로 DeepL을 많이 쓰는데요, 번역 품질이 정말 놀랍더라구요. DeepL이 왜 구글 번역보다 뛰어난지 모르겠는데 웬만한 사람보다 낫습니다. 근데 이따금 치명적인 오류가 나오기도 해요. 까다로운 맥락의 글에 대한 번역이라면 전체적으로 다듬어야 하지요. 출판용으로 쓰려면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데, 검토 과정만 철저하게 잘 지킨다면 기계번역을 이용하는 건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전문분야 전공 교과서 같은경우는 여러명의 교수들이 번역을 맡게 되고, 그 교수님들이 대학원생들에게 번역을 일임하는경우가 많죠. 대학원생들은 자기 이름이 번역교과서에 올라가지 않으니 번역의 품질이 자연스레 떨어지게 되고..
다만 외국 소설이나 전문번역가가 번역한 책같은경우는 번역의 수준이 떨어진다고 느낀적은 별로 없는것같습니다. 예전엔 좀 그런책이 왕왕 있었는데 요즘은 다 좋은것 같아요.
전문 번역가가 AI를 이용하게 되면 효율이 더 좋아질것 같아요. (품질은 차치하고서라도) AI가 초벌번역한후 사람이 검수 하는 시스템으로 간다면요
다만 외국 소설이나 전문번역가가 번역한 책같은경우는 번역의 수준이 떨어진다고 느낀적은 별로 없는것같습니다. 예전엔 좀 그런책이 왕왕 있었는데 요즘은 다 좋은것 같아요.
전문 번역가가 AI를 이용하게 되면 효율이 더 좋아질것 같아요. (품질은 차치하고서라도) AI가 초벌번역한후 사람이 검수 하는 시스템으로 간다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