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1/02 12:09:32
Name   영원한초보
Subject   달리기를 해보자 #1 - 기초
안녕하세요.
요즘 달리기에 푹 빠져있는 영원한초보입니다.
탐라에 쓸데없는 러닝 기록을 꾸준히 올리고 있는데 취미를 공유하고 싶어서 미비하지만 정보 공유를 합니다.
먼저 러닝 동호인들이 많이 쓰는 용어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용어

통계 관련
- 페이스
m/km - 1km에 몇분 걸리나
예) 6:20/km 1km를 달리는데 6분20초가 걸림
- 케이던스
SPM(steps per miniute) - 1분에 몇 발자국
- PB(personal best)
개인기록을 말합니다. 예) 10k 42:51 pb입니다!
대회 및 마라톤 관련
- 서브4(sub4)
풀코스 마라톤(42.195km)을 4시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3:59:59
- 서브3(sub3)
풀코스 마라톤(42.195km)을 3시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2:59:59
- 싱글
  풀코스 마라톤(42.195km)을 3시간10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3:09:59
- 서브2(sub2)
풀코스 마라톤(42.195km)을 2시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1:59:59
- DNF (did not finish)
  종료 기록이 없음을 의미 - 완주하지 못했다.
훈련 관련
- 조깅
  편하게 대화가 가능, 뛰고 나서 몸에 무리가 없음
- 지속주
  본인 한계의 70%정도로 (대화가 가능한 정도)
- 질주
  단거리를 빠르게 달림 - 전력질주의 80~90% 정도?
- LSD (long slow distance) 또는 거리주
장거리(사람마다 다름)를 천천히 오래 달려서 지구력과 유산소 운동에 최대한 초점을 맞춘 훈련
(주의: 홍차넷 회원분 아님)
- 페이스주
  목표하는 대회의 페이스로 훈련
- 템포런
  이건 정의가 좀 애매합니다. 최대 심박수의 80~85%로 달리는 정도로 너무 힘들지도 편하지도 않은 수준의 적당히 힘든 정도
- 회복주(recovery run)
  빡세게 달리고 다음 날 피로가 더 누적되지 않고 회복 가능한 수준에서 달리는 것
- 쿨다운
  달린후 바로 운동을 종료하지 않고 몸상태를 천천히 내려준다. 보강운동이나 스트레칭 포함
기타
- 파워젤
  운동중간 에너지 섭취를 위한 젤 형태의 식품
- 빌드업
  페이스를 점진적으로 올림
- 싱글렛
민소매 옷 - 마라톤에서 대부분 엘리트 선수들이 입고 나옴, 마라톤은 열배출이 매우 중요하기때문

착지법

보통 달리기에서 주법을 이야기하면 착지법을 이야기한다.

착지 방법은 크게 포어풋, 미드풋, 힐풋 세가지로 나눠진다.

- 포어풋 - 발의 앞부분 부터 착지
  매우 빠른 속도의 단거리 달리기에 적합
- 미드풋 - 발볼로 떨어진후 발의 가운데가 바닦에 닿는다.
  중장거리 러닝에 적합
- 힐풋 - 뒷꿈치부터 착지
  걸을때 주로 사용하나 모든 경우에도 사용 가능
    
달리기 오래하면 무릎나간다고 하지 말라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무릎 부상을 당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무릎 부상을 당하는 잘 달리지 못해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부상을 당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과체중
2. 신체 능력을 넘어서는 운동
3. 잘못된 자세

아래는 체중을 1로 봤을 때 무릎에 걸리는 부하입니다.


(참조: 백년운동 - 정선근)

체중에 3배 이상 부하가 걸리니 과체중이면 당연히 부담이 크게 될겁니다. 달리기는 기본적으로 발목에 큰 힘이 걸리는 운동이라 발목이 약하면 오래 뛰기 힘듭니다. 1, 2는 연결되어있다고 생각하고 달리기뿐 아니라 다른 운동에도 적용되는 문제입니다. 왠만한 스포츠는 1,2가 안되면 부상이 오기 쉽습니다. 그리고 반대로 생각하면 본인 체중에 맞게 달리기를하면 괜찮습니다. 천천히 조금 뛰면 됩니다. 트레드밀을 활용해도 되고요. 중요한 건 3번 올바른 자세로 달리기입니다. 주로에서 뛰는 사람들을 보면 부상이 오게 뛰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래는 안전하게 달리는 방법을 잘 설명한 동영상이니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

달리는 방법


https://youtu.be/_Ic-_Waw4F0?si=moDliA_YTdK13yf1&t=81
미드풋 러닝의 기본 '미드풋 워킹'


초보러너나 부상방지를 위한 달리는 법 쉽게 설명하고 있는 동영상을 추천합니다.

‘포즈 - 당기기 - 낙하 - 미드풋’ 4단계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이 관련 이론을 분석적으로 설명한 영상으로 보입니다. 착지는 선택이라 다루지 않는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Yjw5woEMIA
Improve your Running Form - Anatomy of a Stride


미드풋을 추천하고 있지만 착지법에는 논쟁이 있어왔습니다. 실제로 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힐풋 방식을 사용하 보통 러닝을 천천히 뛸 때 힐풋부터 자연스럽게 시작하니까요. 그리고 힐풋이 정착하게 된데에는 나이키에서 에어쿠션을 강조하면서 광고를 한 것이 대중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부상방지로는 미드풋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착지 방법에는 논쟁이 있습니다.

그전에 여러분이 달리기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기록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다이어트가 목적인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달리기 자체가 좋고 나이 들어서도 장시간 달리기를 하고 싶다면 미드풋 착지를 배워야 합니다. 단거리를 빨리 달리거나 밖에서 10분 정도만 뛰고 싶다면 본인이 편한 착지를 하면 됩니다. 장거리를 달린다면 포어풋은 발등에 많은 부담이 갑니다. 힐풋은 무릎과 발목에 부담이 많이 갑니다. 미드풋은 많은 충격을 중둔근까지 보내줄 수 있습니다. 중둔근은 매우 튼튼한 근육입니다. 하지만 미드풋은 배우지 않으면 실행하기 쉽지 않습니다. 정석적으로 발바닥에서 바깥쪽에 가까운 부분이 땅에 닿은 후 발바닥 가운데로 체중이 옮겨갑니다. 이 과정에서 포즈라는 동작을 취하게 되고 무릎 각도는 힐풋보다 커지게 무릎의 충격을 완화하고 중둔근에서 충격을 흡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미드풋이 모든 충격을 완화해줄까요?
발의 가운로 떨어지게 되면 족저에 충격이 많이 가게됩니다. 또한 발 외측에서 중심이동이 생기때문에 발목에도 좀 더 많은 힘이 쏠립니다. 그래서 본인의 근육이 발달하기 전까지는 느린 속도로 연습을 해야합니다. 족저와 발목 균형을 잡는 근육은 오래 달리다보면 점점 강해집니다. 족저는 계속 달리거나 맨발 걷기, 카프레이즈 같은 운동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발목은 한발서기나 한발 스쿼트 또는 불가리안 스쿼트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모두 건강할 달리기를 즐겁게 오래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21
  • 닉언불일치추!
  • 감사헙니다ㅠㅠ 원고비는 냥냥하개 넣어드릴테니 어서 다음 편을...!!!
  • 홍차넷을 건강하게!



포어풋 도전해봤다가 종아리 작살 날것 같아서 미드풋으로 정착했습니다. 프로 아니고 저 같은 아마추어는 미드풋이 딱인듯?
1
영원한초보
장거리 달리기 오래 부상없이 하려면 미드풋이 제일 적절한 것 같아요
누가크래커
런데이 초급 5일차는 조용히 뒤로가기를 누릅니다...
1
영원한초보
처음일수록 올바른 자세로 시작하면 아프지 않고 빠르게 향상됩니다 ㅋㅋㅋ
누가크래커
뛰고나니 엄지발가락 쪽 발등이 붓고 아픕니다 ㅠㅠ 올바른 자세 찾아보겠습니다
산타는옴닉
운동은 즐거워야 합니다ㅎㅎ
호박씨
나이키 러닝화들 자꾸 앞쪽에 쿠션 몰빵한다는데 미친 거 같읍니다 무조건 미드풋
사이시옷
안녕하세요 서브10 사숏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하읍니다.
당근매니아
작년에 러닝 시작해서 정강이 앞쪽이 너무 아프더라구요. 제대로 된 러닝화 사고 나서 싹 사라지는 걸 보면 역시 운동은 장비빨이구나 했습니다.
영원한초보
처음에는 좋은 러닝화가 정말 중요하죠!
참고로 나혼산에 기안처럼 추천해주는 곳 좋습니다!
초밥은연어
신발은 카본화 이런거보다는 처음에는 맥스 쿠셔닝으로 가는게 좋죠.

SC 트레이너는 신어보고 싶긴 한데...
영원한초보
처음에는 쿠션화가 좋아요.
SC트레이너 안신어봤지만 평가는 좋아요.
처음에는 신발 추천해주는 곳에서 사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신감이 생기면 하나 더 장만하시면 됩니다.
러닝화는 번갈아 신는 것이 수명에 좋아요.
이건마치
이번엔 꼭 다시 시작할 거에요. (한달 달리고 아퍼서 그만둠)
1
그냥 심혈관계 질환 예방 목적으로 짧게만 뛸거여도 미드풋이 나을까요? 러닝머신 8.5~10 정도로 15분 주 4일 뛰는 정도요!
15분으로는 예방이 안될지도 모르겠네요ㅜㅜㅎㅎ
영원한초보
무리하지 않는 것이 제일 중요합니다!
일단 작은 부분이라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미드풋을 권장하지만 힐풋도 착지시 무릎 각도를 확보하고 몸의 중심에 가까이 떨어질 수 있으면 괜찮아요
잘봤습니다
런린이에게 많은 도움이 되네요!
가이브러시
과체중은 어떻게 러닝을해야 무릎에 무리가안갈까요 ㅠㅠ
영원한초보
영상에서 소개한 방식으로 천천히 뛰시면 충격 많이 줄어듭니다.
운동전 스트레칭하고 웜업 필수입니다.
런지가 보강운동으로 도움이 됩니다.
활활태워라
기록 어플 어떤거 쓰시는지 평소에 물어보고 싶었어요
영원한초보
[가민 커넥트]쓰고 있습니다.
가민 와치하고 연동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3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100 0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2 큐리스 25/04/23 210 8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5 + 흑마법사 25/04/22 264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40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55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99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82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79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66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14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4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29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6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5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0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5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6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3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1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56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1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62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86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5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