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0/06/29 23:43:21 |
Name | sisyphus |
Subject | 머리 아픈 질문. 자유주의자에게 학문이란? |
현대 사회에서, 자유주의는 중요한 가치 중 하나입니다. 자유주의자를 곤란하게 할수 있는 질문이 하나 있는데, 바로 이 질문입니다. ['자유주의자는 학문을 어떤식으로 바라볼까?'] (사실, 지식을 명확히 정의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긴 합니다. 이는 접어두고) 아무튼 우리는 어떤 '지식'이 있다고 생각되는 것을 '학문화' 합니다. 그리고 전문가가 나옵니다. 다만, 이 학문화를 하는 작업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의견이 다르니 결국 학파가 갈리고 소수설 다수설이 생깁니다. 중등교육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냐? 이런 문제 필연적으로 발생합니다. 근데 그럼 자유주의자는 정론을 일종의 다수의 학문적 폭력으로 받아들일까요? 전 모르겠습니다. 머리만 아픕니다.. ["왜 너희의 학문적 언어로 얘기를 해야하지?" ]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해준 '학자'는 본 적이 없습니다. 학자가 학문을 부정할 수 있는가의 문제일 테니까요. 선행 연구가 없는 특이한 논문이 있다고 치면, 자유주의자는 이를 어떻게 볼까요?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플라톤적 범주화가 다른 사람에게 학문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같은 질문이 될거 같습니다. 다음으로 살짝 질문에서 벗어나서, 상류층만 쓰고 있었던 언어적 권력이 학문적 권력으로 넘어간 건 아닐까 합니다. 패거리를 만드는 장치가 언어에서 학문적 언어로 살짝 변한게 아닌가 의심이 드는거죠. 수다계급이란 용어가 왜 나왔는지 언뜻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게 대체 누굴위한 지식인지 지식이 맞는지, 지식을 위한 지식인지, 누군가를 전문가라고 믿어도 되는지 의심이 되는 시대 같습니다. 자유주의자는 이 딜레마를 어떤 방식으로 포용할지 궁금합니다. [학문적 대화를 할수 없다라는 말은 학자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 걸까요?] 사후 편견으로 어떤 현상을 해석하고, 이를 학문화 한다면, 학문은 이기기 위한 권력스포츠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학자에겐 반드시 양심?이라는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막연히 드는 허무한 결론은, 자유와 학문적 범주화 사이의 어딘가에서 우리는 소통해야 할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뻘글 읽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정리가 깔끔히 안된 글이라 여기의 훌륭한 댓글을 보충해서, 나중에 더 다듬겠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isyphus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