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1/18 11:16:42
Name   허락해주세요
Subject   고혈압 치료제가 발기부전을 치료제가 된 계기
흔히 비아그라로 알려져 있는 실데나필(sildenafil)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본래 고혈압 치료를 위해 개발됐다.

실데나필을 합성한 화이자에서 실데나필이 발기부전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놀라운 부작용에 대한 임상실험을 계획한 것은, 1983년에 있었던 영국의 생리학자 자일스 브린들리(Giles Brindley)의 실험 결과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자일스 브린들리, 1924년 출생)

지금은 확실히 저명한 생리학자인 자일스 브린들리는 1983년 라스베가스에서 "발기 부전에 대한 혈관 활성 요법"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시작했다. 일반적인 학술 발효와 달리 파란 츄리닝을 입고 강연을 시작했다. 그리고, 정복을 입은 참석자들은 이 발표가 조금은 특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린들리 교수는 수천년간, 그리고 지금도 수많은 남성들을 괴롭히는 발기부전의 치료를 위해  생리학 연구원들이 적절한 실험체를 구하지 못했을때 하는 것 - 바로 자기실험을 충실히 수행했다. 그는약 30여장의 슬라이드에 걸쳐 본인의 음경에 여러 종류의 혈관 확장제를 주사하여 정말로 발기가 수행되는지를 기록한 사진을 선보였다.

물론 관객들은 벌써부터 굉장히 고통스러워했지만 진짜는 아직이었다.

"철저한" 연구원이었던 브린들리는 본인이 제시한 슬라이드가 주요한 통제변인인 "성적 자극에 대한 제거"가 이루어졌는지 증명할 수 없다고 했다.

브린들리는 "청중 앞에서 발표하는 것"은 "성적 자극이 아니"라고 생각했고, 따라서 발표 시작 전에 자신의 음경에 후보 약품 중 하나인 페녹시벤자민 생리식염수 용액을 본인의 음경에 주사한 상태였다.

그는 이 명백한 "증거"를 보여주기 위해 의상인 파란 츄리닝을 열심히 밀착시켰으나 아무래도 "증거력"이 부족했다.

"불행히도, 이렇게만 해서는 결과가 충분하고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말과 함께,  "살아있는 증거"를 모두에게 선보였다.


이렇게 수많은 남성들을 고통에서 해방시킨 위대한 발견 - 고혈압 치료제의 발기부전 치료에 대한 상관관계 - 가 세상에 발표됐다.

브린들리 교수가 그 상태로 "참여자들에게 팽창의 결과를 확인할 기회를 주겠다"며 연단을 주춤주춤 내려오는 바람에 몇몇 참여자들이 비명을 지르는 소동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물론 브린들리 교수는 그런 결과를 예측하지 못했는지, 소동에 놀라 빠르게 바지를 추켜올리고 강의를 마쳤다고 한다.

그는 6개월 뒤 이 연구의 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했다.
(Brindley GS. Pilot experiments on the actions of drugs injected into the human corpus cavernosum penis. Br J Pharmacol 1986; 87: 495–500)

원래 고혈압 치료제로 개발 중이던 발기부전에 대한 경구 치료제인 실데나필, 우리가 흔히 "비아그라"라고 부르는 약품이 세상에 화려하게 등장한건 15년 뒤, 1998년이다.



1


    한알 먹으면 155mm 견인곡사포에서 K9 자주곡사포가 되읍니까??
    차려포가 되냐 아니냐의 차이가 아닐런지요 ㅋㅋㅋ
    허락해주세요
    그건 아니구요...
    방열이 됩니다 ㅋㅋ
    3
    열이..난다구요??
    혈류량이 증가해서 그런가요? ㄷㄷ
    매뉴물있뉴
    포병용어인데... 대충 '사격준비완료'하는 의미이고
    정확하게는, 사격준비를할준비가되었다는 의미입니다만 ㅋㅋ
    1
    겨울삼각형
    전에 한번 글을 썼지만

    원래 없었던 무언가가 되는게 아닙니다.

    단지 20대 그것으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저 물질의 한국내 용도특허를 제가 죽였습니다 ㅋㅋㅋ
    정확히 말하자면 혼자 죽인건 아니고 죽이려고 덤벼든 수 많은 사람들 중 하나고 제가 대충 20프로 정도 딜량을 담당했습니다 ㅋㅋ
    10
    왜 다들 죽이려고 하셨나요 ㄷㄷ
    집에 가는 제로스
    죽여야 다들 쓸 수 있으니까요 ㅎㅎ
    1
    죽이면 공짜(?) 니까요 ㅋㅋ
    저때 못 죽였으면 특허권 소멸되도 카피약 못 만들고 계속 미국 본토에서 비아그라 수입해야 했읍니까??
    그런건 아니고요 ㅋㅋ 물질특허와 용도특허가 따로 있는데 물질특허는 만료된 상태에서 용도특허가 한 2-3년인가 남아있어서 용도특허를 죽이면 그 2-3년을 빨리 복제약을 팔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소멸시기를 좀 당긴거죠 ㅎㅎ
    1
    애국추!!!!
    1
    허락해주세요
    20프로면 하드캐리인데요 ㄷㄷ
    선행문헌 중 미싱링크를 찾았습죠 ㅋㅋ

    1심 때 막타치신 분 말씀이 아직도 귀에 생생합니다.
    T.Robin
    도대체 이놈의 홍차넷(?)에는 뭔 은거고수들이 이렇게나 많은겁니까......
    세상이 원래 좀 좁...습니다 ㅋㅋ
    선생님 덕분에 스그라, 쎄지그라 같은게 나온 것이군요
    1
    하지만 저희 회사꺼는 영.... 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6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196 3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 큐리스 25/04/23 344 9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 흑마법사 25/04/22 301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86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85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22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96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87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74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36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56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56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9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58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6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67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9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8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62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6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75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95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67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