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4/01 20:23:36 |
Name | 에밀 |
File #1 | 1491044546.jpeg (101.5 KB), Download : 5 |
Subject | 얘는 아메숏일까요? |
옆에 고양이 털 무늬를 보면 코숏에게서는 보기 힘든 무늬라, 동네 똥고양이(?)는 아닐 것 같고 품종묘인 것 같은데요. 아메리칸 숏헤어들이 저렇게 회색 털에 검은 줄무늬를 가진 경우가 많던데요. 얘도 아메숏일까요? 근데 뱅갈도 점박이 말고 저런 줄무늬를 가진 애들이 있더라고요. 얘처럼요. 냥알못이라 잘 몰라서요. 사진에 나온 쟤는 뭘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에밀님의 최근 게시물
|
아메숏의 대표적인 색과 무늬는 은색 골뱅이무늬(클래식 태비, blotched tabby)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무늬만으로 구별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메숏도 솔리드, 바이칼라(흔히 젖소라고 불리죠), 줄무늬, 점무늬, 오렌지칼라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또, 이런 골뱅이무늬는 코숏에게도 나타날 수 있고요.
참고로. 저런 클래식 태비는 열성 태비인데(우성 태비는 흔히 야생 고양이에게 나타나는 줄무늬, mackerel tabby) 런던에서 1930년대쯤부터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브리딩됩니다. 1970년이 되면 런턴 태비의 80%가 클래... 더 보기
참고로. 저런 클래식 태비는 열성 태비인데(우성 태비는 흔히 야생 고양이에게 나타나는 줄무늬, mackerel tabby) 런던에서 1930년대쯤부터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브리딩됩니다. 1970년이 되면 런턴 태비의 80%가 클래... 더 보기
아메숏의 대표적인 색과 무늬는 은색 골뱅이무늬(클래식 태비, blotched tabby)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무늬만으로 구별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메숏도 솔리드, 바이칼라(흔히 젖소라고 불리죠), 줄무늬, 점무늬, 오렌지칼라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또, 이런 골뱅이무늬는 코숏에게도 나타날 수 있고요.
참고로. 저런 클래식 태비는 열성 태비인데(우성 태비는 흔히 야생 고양이에게 나타나는 줄무늬, mackerel tabby) 런던에서 1930년대쯤부터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브리딩됩니다. 1970년이 되면 런턴 태비의 80%가 클래식 태비라는 조사가 있어요. 반면 아시아에서 클래식 태비는 20% 미만이었고요. 아메숏은 골격 상 브리티시 숏헤어와 유사한 점이 많고, 브리티시 숏헤어도 다른 종에 비해 골뱅이무늬의 비율이 높은 만큼 아메숏이 영국 괭이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런 클래식 태비는 열성 태비인데(우성 태비는 흔히 야생 고양이에게 나타나는 줄무늬, mackerel tabby) 런던에서 1930년대쯤부터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브리딩됩니다. 1970년이 되면 런턴 태비의 80%가 클래식 태비라는 조사가 있어요. 반면 아시아에서 클래식 태비는 20% 미만이었고요. 아메숏은 골격 상 브리티시 숏헤어와 유사한 점이 많고, 브리티시 숏헤어도 다른 종에 비해 골뱅이무늬의 비율이 높은 만큼 아메숏이 영국 괭이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고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호, 감사합니다. 전문가당 전문가. 아무래도 미주에서 흔한 고양이는 영국에서 사람과 함께 갔던 고양이들의 후손일 테니 브리티시 숏헤어와 아메리칸 숏헤어가 비슷한 형질을 보이겠죠.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고양이를 가축화하진 않았는지, 또는 더 나아가 신대륙에는 고양이가 있었는지가 궁금하긴 하네요. 재규어나 퓨마처럼 유명한 고양이과 동물들이 있었던 걸 보면 있었을 것 같은데...?.?
mackerel tabby로 검색하니 '고등어 태비'라고 불리는 아이들과 비슷한 무늬의 고양이들이 보이는데요. mackerel tabby가 고등어 태비인가요? 근데 자세히 보면 고등어 태비를 검색할 때 나오는 애들은 배가 하얀 애들이 많은데, mackerel tabby로 검색하면 그런 애들은 보이질 않네요.
mackerel tabby로 검색하니 '고등어 태비'라고 불리는 아이들과 비슷한 무늬의 고양이들이 보이는데요. mackerel tabby가 고등어 태비인가요? 근데 자세히 보면 고등어 태비를 검색할 때 나오는 애들은 배가 하얀 애들이 많은데, mackerel tabby로 검색하면 그런 애들은 보이질 않네요.
제가 참고한 책에는 딱 한 줄로 북미에는 토종 wildcat이 없다고 나와 있어서 자료를 찾다가 답변이 늦었습니다. 집고양이에 해당하는 고양이는 Felis catus와 Felis silvestris로 찾아야 하는데, 이중 소형 들고양이인 felis silvestris는 https://en.wikipedia.org/wiki/Wildcat 에서 보듯 북미에 해당하는 종은 없네요. 제가 참고한 책은 Budiansky의 the character of cats이고요. ... 더 보기
제가 참고한 책에는 딱 한 줄로 북미에는 토종 wildcat이 없다고 나와 있어서 자료를 찾다가 답변이 늦었습니다. 집고양이에 해당하는 고양이는 Felis catus와 Felis silvestris로 찾아야 하는데, 이중 소형 들고양이인 felis silvestris는 https://en.wikipedia.org/wiki/Wildcat 에서 보듯 북미에 해당하는 종은 없네요. 제가 참고한 책은 Budiansky의 the character of cats이고요. 첫 고양이를 들이기 전에 읽었던 책인데, 이젠 아마 번역되었을 거에요.
애묘인들이 줄무늬 고양이를 흔히 고등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매커럴 태비에서 온 말입니다. 고등어 등무늬와 닮았다고 해서 붙은 별명입니다. 근데 매커럴 태비의 등무늬는 사실 다양하게 나타나서 구분을 하려면 다리와 꼬리에 줄무늬가 있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배의 무늬도 역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애묘인들이 줄무늬 고양이를 흔히 고등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매커럴 태비에서 온 말입니다. 고등어 등무늬와 닮았다고 해서 붙은 별명입니다. 근데 매커럴 태비의 등무늬는 사실 다양하게 나타나서 구분을 하려면 다리와 꼬리에 줄무늬가 있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배의 무늬도 역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캬아악ㅋㅋㅋㅋㅋㅋ mackerel이 고등어였네욬ㅋㅋㅋㅋㅋ으아니챸ㅋㅋㅋㅋㅋ이런 흑역사를 ㅋㅋㅋㅋ 죄송해요. mackerel tabby 라고만 검색을 했어요... ㅠㅠ... 아니 변명하자면 제가 영어 공부를 수능에 토익밖에 한 게 없으니 고등어는... 몰랐... ㅠㅠ... mackerel tabby가 고등어 태비냐고 물어보다닠ㅋㅋㅋㅋ
호, 신대륙엔 고양이가 없었군요. 고양이과 동물들은 몇 종 있으나, 고양이는 없다... 하긴 고양이과라고 불리는 게 우리네가 고양이를 많이 보니 그렇지 고양이와 퓨마나 재규어는 그저 근연종일 뿐이겠죠. 제가 검색을 해야 하는 건데 ㅠ.ㅠ 친히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호, 신대륙엔 고양이가 없었군요. 고양이과 동물들은 몇 종 있으나, 고양이는 없다... 하긴 고양이과라고 불리는 게 우리네가 고양이를 많이 보니 그렇지 고양이와 퓨마나 재규어는 그저 근연종일 뿐이겠죠. 제가 검색을 해야 하는 건데 ㅠ.ㅠ 친히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