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3/13 12:19:44 |
Name | 에밀 |
Subject | 대변에 대해 질문이 있어요. (생각하기에 따라 몹시 더러움) |
이건 제가 20년 전부터 궁금했던 건데요, 어디 묻기도 민망해서 참고 있었던 겁니다. 더러운 질문을 하는 콘셉트를 가진 건 아니고, 제가 소화계에 궁금한 게 많다 보니 특히 대변에 관한 질문이 많습니다. 만성 소화불량 때문인데요. 자꾸만 더러운 얘기를 해 죄송합니다. 단순한 호기심입니다만, 진지한 궁금증이기도 합니다. 대변을 보면, 대변의 성질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만 흔히 긴 바나나와 비슷한 형상을 한 채 배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점은, 저게 대변의 원래 모양일까 하는 점입니다. 일단 두 가지 가설을 세웠는데요. 1.직장의 모양이 저 바나나의 형태이며, 소화와 흡수를 거친 뒤 찌꺼기가 직장에 모일 때 직장의 형태에 맞춰 대변 역시 특유의 길다란 바나나 모양이 된다. 일종의 주조라고 볼 수 있겠네요. 2.직장 내에서 유동성을 가진 고체인 대변이 항문을 통과하며 그 항문의 굵기에 맞춰 압출된 형태다. 카페에서 쓰는 휘핑기와 같은 원리일 겁니다. 이 가설이라면 가끔 대변의 굵기가 평소보다 더 굵어 용변을 볼 때 아픈 점을 설명하지는 못 할 것 같습니다. 대변의 형태는 어떤 원리로 그렇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제가 세운 두 개의 가설 모두 틀렸고 혹 다른 원리가 있나요? 고양이나 개의 대변이 바나나 형태인데 반해 토끼나 염소의 대변은 둥근 구슬 모양이고, 소의 대변은 아예 특정한 형태를 찾기 어려운 정도임을 생각하니 위의 둘 다 틀린 것 같기도 합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에밀님의 최근 게시물
|
먹고, 자고, 싸고.. 가장 중요한 세가지라고 하는.. 궁금한 부분이라 찾아보았습니다.
이 비디오(https://youtu.be/SgBj7Mc_4sc?t=1m07s)에 따르면 대장에 음식물이 들어올 때, 액체로 들어오는데, 이게 대장에서 물이 많이 흡수되면서 미음/죽처럼 되는데, 거의 마지막에는 모양이 형성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직장이 쉽게 늘어났다 줄어들었다하는 탄력성도 갖고 있다고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면 직장의 모양에 맞춰서 변의 모양이 형성될 거 같지 않기도 하구요.
브리스톨 대변 도표에서 보듯한 대변의 모양들은 직장이나 항문보다는 대장과 직장에서 얼마나 수분을 흡수했느냐에 따라 형성되는 것 같습니다.
이 비디오(https://youtu.be/SgBj7Mc_4sc?t=1m07s
The Poo in You - Constipation and Encopresis Educational Video
브리스톨 대변 도표에서 보듯한 대변의 모양들은 직장이나 항문보다는 대장과 직장에서 얼마나 수분을 흡수했느냐에 따라 형성되는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