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4/12 14:16:11
Name   마카오톡
Subject   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
강감찬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는 낙성대역 4번출구에서 마을버스길따라 낙성대역 방향으로 올라가다보면 여상 노래방이 있습니다. 한때 제가 즐겨가던 노래방이었죠. 여상노래방은 주인아주머니의 바깥양반께서 낚시를 워낙 좋아하셔서 강태공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강감찬이 진주강씨 인헌공파이고, 진주강씨가 강태공의 후예를 자처하고 있으니 지리적으로 매우 적절한 이름이라고 볼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왜 진주강씨의 선조라는 강태공은 이름이 여상 일까요?



[삼국지 11에 고대무장으로 출연중이신 강태공.]




춘추전국시대 관련글을 보다 보면 사람의 성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진나라의 통일에 일조했던 상앙의 변법으로 유명한 상앙은 위앙, 공손앙, 상앙등으로 이름이 남아있습니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성씨에 대한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성과 씨가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성은 혈연, 씨는 지연에 의해서 붙혀졌습니다. 예를들어 쌍문동에 사는 고길동이라는 천사가 있습니다. 혈통에 따르자면 고성입니다. 하지만 쌍문동에서 고성 가문이 모여산다면 이제 그들을 쌍문씨라 부르는겁니다. 그러다보면 쌍문길동이라고 불리게 되는거죠. 이정도면 헷갈리진 않습니다. 실제 역사속에서 찾아보면 더 복잡합니다.




강태공과 함께 주나라로 천하를 통일하고 강태공을 제나라에 봉한 사람은 주 무왕 희발입니다. 주 무왕의 동생중에 고 가 있었습니다. 형이름이 희발이니 현대식으로 생각하면 동생이름은 희고겠죠. 통일후 무왕은 이 희고를 필나라에 공작으로 봉합니다. 그래서 그뒤로 이제 고는 필고가 됩니다. 필공 고 그러니깐 필나라 공작 고 라고 불리는거죠. 이 필고의 후손중에는 필만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진(晉)이 곡옥이 갈라져 내전하던 시절, 필만은 곡옥에게 필나라를 갖다 바칩니다. 그 후  진(晉)의 내전은 끝나고 이 필만은 헌공에게 위(魏)나라에 봉해집니다. 그뒤로는 위만이 되는겁니다. 이 위만의 손자가 위주이고, 이 위주가 진문공을 따라다니며 유랑생활끝에 춘추오패가 되는데 일조를 합니다. 그뒤 위나라 가문은 진나라내에서 강성해져서 진나라를 조,위,한 이 세개의 나라로 쪼개게 되죠. 전국시대 위나라는 사실은 주나라의 왕실의 동성제후인것입니다.




자 더 복잡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춘추시대 진(陳)나라는 순임금의 후예를 봉한 나라입니다. 순임금은 요씨였지만 규예로 이주하면서 규씨를 성으로 삼았습니다. 자 이 규예로 이주한 순임금의 후예 규만을 주 무왕이 진(陳)나라에 봉합니다. 이렇게 되면 진만이 되는거죠. 이 진만의 후예인 진완이 제환공때 제나라로 이주합니다. 그뒤로는 전(田)씨 성을 하사 받고 전완이 되는겁니다. 이 전완의 후손들이 강태공의 후예들이 다스리던 제나라의 공위를 찬탈합니다. 그뒤로는 전씨가문이 제나라의 공족(혹은 왕족)이 되고 그것을 그 이전의 제나라와 구분하기위해 강태공의 후예가 다스리던 제나라를 강제, 전완의 후예가 다스리던 제나라를 전제라고 부르죠. 후에 초한전쟁때 역이기를 튀겨버리는 제나라 왕이 강태공의 후예가 아닌 전씨 가문인것은 이러한 연유에서입니다. 이 가문을 규성 전씨라 부릅니다. 복잡합니다만 조금더 나가보겠습니다. 때는 아직 전씨가 제나라를 찬탈하기전 전완의 후예중에 강제를 위해 헌신했던 전양저라는 장수가 있습니다. '장수가 군중에 있을때는 주공의 명령도 받지 않는것이다' 라는 군율의 엄정함에 대한 명언을 남긴 장수입니다. 이 전양저는 제 경공의 군사책임자가 되어서 대사마라는 직책에 오릅니다. 그 뒤로는 사마씨가 됩니다.  이 사람이 사마법 혹은 사마병법의 저자인 바로 사마양저 입니다




성은 혈통이고 씨는 지연이지만, 씨는 종종 지연외의 작위나 벼슬로도 붙혀지기도 했습니다. 앞서 말한 사마씨도 사마 벼슬로 인해 탄생한 씨입니다. 공작의 아들은 공자 공작의 손자는 공손이라고 불리는데, 춘추전국시대에 보면 공자와 공손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예를들어 제나라의 공손무기라면 제나라 공작의 손자인겁니다 제나라의 공손이니 강씨겠죠. 춘추전국시대 이야기를 보면 왜이렇게 공손씨가 많아! 라는 생각이 들지만 실제로는 그들은 공손씨가 아니라 그냥 공작의 손자항렬인 겁니다. 다만 이렇게 불리던 호칭이었지만 그것을 씨로 삼게된 경우가 있어서 공손씨가 탄생한것도 맞습니다. 삼국지에 자주 등장하는 사마씨와 공손씨는 이렇게 탄생한 케이스입니다.




자 보다보니 뭔가 우리나라와 비슷한점을 떠올리신분도 있을겁니다. 네 맞습니다. 중국고대의 성씨의 개념은 성은 우리나라의 씨, 씨는 우리나라의 본관과 비슷합니다. 이성계가문이 전주에 살다가 전주성계라고 불리게 되는것입니다. 중국고대에서는 성과 씨를 혼용해서 불러서 그렇게 된거고, 결국 성씨가 합쳐져서 하나로  정착하게됩니다. 춘추전국시대는 그것이 합쳐지기 전이라 복잡한거겠죠. 자 이제 상앙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변법으로 진나라를 부국하게 만드는데 일조했던 상앙은 위앙 공손앙 등으로 불렸습니다. 그것은 워래 상앙이 위(衛)나라 공손이었기때문입니다. 위(衛)는 주무왕이 본인의 숙부를 봉한곳이라 주무왕과 동성제후입니다. 주 무왕이 희발 즉 희성이었으니, 상앙역시 희성이라고 볼수있죠. 하지만 위나라 공족이니깐 위앙으로 불리고, 공손이었으니 공손앙이라고 불리게되는겁니다. 그 위앙 혹은 공손앙이 진나라에서의 활약을 이유로 상땅에 봉해졌고 그 뒤로는 상앙이 되는겁니다. 성은 혈통이니 희성이고 씨는 상씨가 되었으니 , 희성 상씨라고 보면 맞겠죠.




일본에도 비슷한 개념이 있습니다. 겐지(源氏), 미나모토 요시츠네로 유명한 미나모토씨만 오를수 있는 쇼군자리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오르는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입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겐지를 자처했습니다. 혈통은 겐지이지만 지역이나 기타등등의 이유로 다른 씨를 붙혀서 부르는것이죠.(물론 자처입니다만) 여튼 혈통은 겐지이기때문에 쇼군에 오를수 있었고, 이 겐지는 별로도 '본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렀습니다. 여튼 일본역사를 보면 분명 겐지라는데 왜 미나모토씨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가질수 있는데, 이런 맥락입니다.


...............................................


자 제목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강태공의 태공은 별칭입니다. 주무왕의 선조인 태공이 찾던 사람이라고 해서 붙혀진 별칭이죠. 에니메이션 봉신연의에서 강태공이 태공망으로 나오는 이유가 태공이 바라던 사람이란 뜻입니다. 강태공은 별칭이고 이름은 상입니다. 원래 강씨성이었으나 강태공의 선조가 여땅에 봉해지면서 여씨가 됩니다. 그래서 여상이라고 불리는겁니다. 강태공은 강성여씨 즉 성은 강, 씨는 여, 이름은 상 자는 자아 별명은 태공 이렇게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





13


    소노다 우미
    본명은 강상이군요.
    호라타래
    상세한 설명 감사해요. 성과 씨의 저러한 체계가 유용한 사회문화적 배경이 있었을까요?
    아케르나르
    허... 복잡하네요.
    (왕안석의 신법.... 글을 타고 2017년에 쓰여진 이 글로 왔습니다.)
    그러면 손무도 원래 제나라 전씨였으니 전양저랑 먼 친척쯤 되겠군요.
    춘추전국시대를 다룬 열국지 같은 책을 보다보면 뭔가 복잡한데, 그런 연유가 있었네요. 어릴적 열국지 처음 볼 때는 좀 헤멨더랬습니다.
    마카오톡
    네 손무랑 전양저는 혈통이 같은게 맞고 초상화도 똑같이 생겼습니다.
    꼭 혈통이라 똑같이 그런건 아니겠지만 말이죠 ㅎㅎ

    열국지 같은 춘추전국시대 보셨으면 진짜 복잡합니다.
    백리해와 건숙이 진(秦)나라의 중신들입니다. 진목공을 도와 진나라의 초반 전성기를 이끌었죠
    그둘의 아들 맹명시와 백을병이 진(晉)나라 와의 전투에 장수로 발탁되는데
    저는 당연히 백을병이 백리해의 아들인줄 알았죠...
    하지만 백리해의 아들이 맹명시고 건숙의 아들이 백을병... 엥?


    전국의 명장 중국 올타임 명장 백기도 오자서가 데리고 다니던 왕... 더 보기
    네 손무랑 전양저는 혈통이 같은게 맞고 초상화도 똑같이 생겼습니다.
    꼭 혈통이라 똑같이 그런건 아니겠지만 말이죠 ㅎㅎ

    열국지 같은 춘추전국시대 보셨으면 진짜 복잡합니다.
    백리해와 건숙이 진(秦)나라의 중신들입니다. 진목공을 도와 진나라의 초반 전성기를 이끌었죠
    그둘의 아들 맹명시와 백을병이 진(晉)나라 와의 전투에 장수로 발탁되는데
    저는 당연히 백을병이 백리해의 아들인줄 알았죠...
    하지만 백리해의 아들이 맹명시고 건숙의 아들이 백을병... 엥?


    전국의 명장 중국 올타임 명장 백기도 오자서가 데리고 다니던 왕손 승의 후손이라는 썰이 있습니다.
    왕손 승이 초나라 왕족이지만 백 땅을 하사받아 백씨가 된거죠
    그래서 백기가 초나라의 수도를 무너뜨리고 강릉성을 쌓은걸 선대의 복수로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초나라를 무너뜨리고 강릉성을 쌓은게 선대의 복수로 읽혀지기도 하죠
    아케르나르
    열국지도 여러 버전이 있어서 제가 본 책들..에는 예로 드신 백리해/건숙 얘기가 없었네요... 등장인물도 워낙 많고 시대도 길어서리.
    백기 얘기도 처음 들어봐요.. 오자서가 초에서 탈출할 때 공자 건의 아들 승을 데리고 간 거는 나름 유명한 거라 아는데.. 근데 나중에 초에서 승에게 보상? 비슷한 걸 했지 않나요? 장자가 서자에 밀려서 죽은 거야 억울할 일이기는 한데, 백기가 한 일을 조상의 복수라고 하기에는 뭔가 견강부회 같네요.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왕손 승에게 보상 비슷한게 한게 맞고 백땅을 하사 받아서 그뒤론 백공 승이라 불립니다.
    백공 승이 추후 쫓겨나거든요. 백기의 복수는 공자 건이 아니고 백공 승에 대한 복수의 이야기입니다.
    백공이 초나라에서 쫓겨나서 후손인 백기가 진나라에서 활약하게 되는거라 그에 대한 복수인거죠
    이건 못들어보신게 당연하고요(열국지에 나오는게 아니고 썰이니깐)

    백리해와 건숙의 이야기는 열국지에 있었을거같습니다.
    백리해는 그만큼 춘추시대에 몹시 중요한 인물이거든요.
    진목공이 춘추시대 유명하고 중요한 인물이고 진목공의 보좌가 백리해입니다... 더 보기
    왕손 승에게 보상 비슷한게 한게 맞고 백땅을 하사 받아서 그뒤론 백공 승이라 불립니다.
    백공 승이 추후 쫓겨나거든요. 백기의 복수는 공자 건이 아니고 백공 승에 대한 복수의 이야기입니다.
    백공이 초나라에서 쫓겨나서 후손인 백기가 진나라에서 활약하게 되는거라 그에 대한 복수인거죠
    이건 못들어보신게 당연하고요(열국지에 나오는게 아니고 썰이니깐)

    백리해와 건숙의 이야기는 열국지에 있었을거같습니다.
    백리해는 그만큼 춘추시대에 몹시 중요한 인물이거든요.
    진목공이 춘추시대 유명하고 중요한 인물이고 진목공의 보좌가 백리해입니다.
    맹명시, 백을병이 진나라 침략한 이야기도 유명한 이야기고요.
    진(秦)나라 쪽을 좀 뜨문뜨문 읽으신게 아닐까 싶네요.
    아케르나르
    그.. 렇군요.
    생각해보니 제가 본 책은 소설 손자병법(허문순이란 사람이 쓴, 1980년대?쯤 나온 책입니다.)인데, 진 목공에 대해서는 안 다뤘던 거 같네요. 진 헌공 얘기는 나왔는데....
    한 번 찾아서 읽어보겠습니다.
    바라스비다히
    혈통을 중시하는 성 에는 어머니를 상징하는 계집 녀 변이 들어간다는것도 이채롭지요. 하나라의 국성 사씨, 주나라의 국성 희씨, 당시기준 이민족 강족의 강에도 들어갑니다만 상나라 국성은 또 아들자라는것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98 역사예전에 EBS에서 들은 옛 우리말 이야기 "새 발" 1 기쁨평안 17/07/23 4126 6
    5984 역사백작이랑 공작이 뭐에요? 24 Raute 17/07/20 8219 15
    5944 역사 영화 "덩케르크" 의 배경이 되는 1940년 독일-프랑스전투 2 모모스 17/07/14 10491 8
    5918 역사삼국통일전쟁 - 6. 안시성에서 멈추다 7 눈시 17/07/09 5216 8
    5913 역사중국 상고음(上古音)으로 본 '한(韓)'의 유래 33 기아트윈스 17/07/07 7208 18
    5903 역사삼국통일전쟁 - 5. 황제는 요하를 건너고 7 눈시 17/07/06 4109 8
    5874 역사삼국통일전쟁 - 4. 642년, 두 거인의 만남 4 눈시 17/07/01 4256 11
    5852 역사삼국통일전쟁 - 3. 여수전쟁의 끝, 새로운 시작 11 눈시 17/06/28 5364 7
    5841 역사삼국통일전쟁 - 2. 살수대첩 22 눈시 17/06/26 4635 13
    5808 역사삼국통일전쟁 - 1. 일백일십삼만 대군 15 눈시 17/06/18 4851 17
    5777 역사6세기, 나제동맹의 끝, 초강대국의 재림 36 눈시 17/06/11 5913 13
    5688 역사조선왕조의 왕이 한 말 중 가장 멋졌던 말 2 피아니시모 17/05/23 4340 0
    5552 역사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 4 와인하우스 17/05/01 4094 9
    5528 역사임전무퇴 - 너는 죽었어야 했다 17 눈시 17/04/26 4898 11
    5520 역사?? : 백제는 전라도였다고! 6 눈시 17/04/25 4392 1
    5423 역사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 8 마카오톡 17/04/12 7661 13
    5245 역사일본 역사의 남색 문화 16 눈시 17/03/20 10687 6
    5191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2편(결). 9 Elon 17/03/15 3931 3
    5190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1편. 5 Elon 17/03/15 4103 3
    5143 역사왕흘 이야기 (부제:나무위키 꺼라) 7 Raute 17/03/11 6319 3
    5132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완) 2 눈시 17/03/10 6463 5
    5046 역사전국시대 세자매 이야기 (3) 6 눈시 17/03/02 7056 6
    5010 역사나는 왜 역사를 좋아했는가 2 피아니시모 17/02/25 3635 3
    5004 역사일본의 다도(茶道)가 재미있는 점 5 눈시 17/02/25 6224 4
    4958 역사붉은 건 [ ]다 12 눈시 17/02/22 5356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