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6/08 00:07:11
Name   에밀리
Subject   [29주차]눈에 띄는 자
주제 _ 선정자 : 에밀리
무언가를 잃어버리는 이야기
잃어버리는 어떤 것의 가치에 따라 수준은 달라지겠지만, 무언가를 잃어버리는 일은 슬픈 일일 겁니다. 슬픔이 담겼으면 좋겠지만, 까짓 잃어버려 기뻐도 괜찮겠죠. 지금 잃는 게 아니라 이전에 잃었던 얘기도 상관 없겠네요.

합평 방식
분량은 자유고 합평방식은 자유롭게 댓글에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speller.cs.pusan.ac.kr

합평 받고 싶은 부분
3인칭에서 1인칭으로 바뀝니다. 어떨까요?

하고싶은 말
집의 TV와 인터넷을 SKT로 바꿨어요. 좋네요. 아니, SKT가 좋은 거보다도 CJ가 구려요. CJ 쓰지 마세요.

본문
---------------------------------------------------------------------------------------------------------------------

"잘못 들었습니다?"

그 방의 회색 일색의 삭막한 벽과 투박한 책상은 묘한 압력을 만들었다. 그래서일까. 반문이 담긴 목소리에서도 흔들리는 기색이 느껴졌다.

"개신교가 뭐냐고."

앞선 목소리와 달리 여유 있는 목소리가 이전의 반문을 확인해 주었다. 이 방의 차가운 공기에도 익숙한 듯 심드렁함마저 엿볼 수 있는 말투, 이미 압박을 느끼고 있던 상대방은 그에 또 주눅이 들었다.

"네, 그.... 성당 말고 교회를 다니는데 예수를 믿는 종교입니다."
"그럼 그건 기독교잖아?"

여유 있는 말투는 여전히 심드렁했고 말한 이는 앞에 놓인 종이를 읽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마주 앉은 이는 이제 표정으로도 당황을 드러내고 있었다. 실제로도 그는 몹시 당황하는 중이었다. 아직 20대 초반이었던 입때까지만 해도 그는 기존의 카톨릭에서 새로이 만들어 나간 계파들을 일단 프로테스탄트로 묶고, 그들을 표현하기 위한 한국어로는 개신교가 적합하다고 생각했었으니까. 크리스트교를 음차했을 뿐인 '기독교'라는 단어는 카톨릭이나 정교회를 모두 포괄할 수 있기에 '개신교'를 쓰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으니까. 이 생각들을 머리에 담고 있었기에 그는 곤혹스러워했다. 아마 5년이나 10년쯤 더 이전의 그였다면, 친구들에게 잘난 척 좀 그만 하라는 말을 귀가 닳도록 듣고 있던 그였다면 방의 분위기에 눌리지 않고 이를 줄줄 읊었으리라. 하지만 그도 변했다. 그는 남들보다 늦은 사춘기를 보내며 '사회화'인지 지랄인지 하는 과정을 거쳤거든. 나라는 모난 돌은 정을 맞으며 깎여 나갔고 아파했거든. 난 이제 군인이거든. 중대장 앞에서 상담을 하는 전입 신병에게 친한 친구의 종교가 '개신교'인지 '기독교'인지를 확인하는 일은 사치일 뿐이거든.

생각을 정리하는 일은 사실 쉬웠지만, 그걸 인정하는 일은 밖에서 필사적인 사회화를 거쳤고 또 군대에서 어느 정도 적응을 했던 그때까지도 쉽지 않았다. 아닌 건 아닌 거니까. 그 어려움이 당혹감으로 얼굴에 드러났겠지. 다행히 중대장은 내 감정을 눈치채지 못 했고 난 그저 알겠습니다라는 대답으로 넘길 수 있었다. 그에겐 중요한 얘기가 아니라 귀찮은 상담 중 한 번 물어나 본 거였으니까. 앞선 다른 질문에서 "지방대 애들은 이래서 안 돼."라는 말로 자존심의 상처를 얻었던 난 다음 질문에선 내 안의 모를 하나 잃고 말았다.



0


    눈부심
    홍차봇이 공격하기 전에 빨리 달아야지.
    제가 두 번 읽어봤는데 그러니까 군대에서 상담 같은 걸 하는데 중대장이 개신교? 이러면서 기독교 말하는 거냐며 대충 정의를 뭉개버려도 참고 넘어 갔고,
    중대장이 '지방대' 언급했을 때도 참고 넘어갔다.. 고압적인 사회화과정에 익숙해지며 스스로를 삭히는 기계가 되었다.. 이런 말씀이신가요.
    아... 저는 오랫동안 정도가 지켜지는 사회생활에 익숙해져서 고압적이고 사람을 피폐하게 만드는 일상의 언어폭력을 만약 접하게 된다면 저 스스로 어찌 변하게 될지 가늠이 안돼요. 군대란 곳은 그래서 정말 견디기 힘든 곳.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를 거치면서 어느 정도 주변사람들이 여과되는데 군대 가면 다시 야생으로 던져지니까요.
    눈부심
    오머. 여기 원래 클릭 한 번하면 땡이었는데 자꾸 들어오니까 조회수 올라가요.
    계속 눈질러야지.
    에밀리
    반복 클릭으로도 조회수가 올라가죠. 조회수보다도 댓글 두 개에 더 낚였지...만 ㅠㅠ...

    네,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더 강압적인 에피소드들도 있었지만 아마 화자에게는 저게 가장 강렬한 인상이었나 봐요. 굉장히 사소한 일일 건데 말예요.

    여과된다는 얘기도 공감이 가는 게 군 입대 이전까지 자신이 만나던 사람들은 각자가 기준을 갖고 고른 사람들이잖아요. 기껏해야 멀리 알바하러 떠났을 때 만났던 사람들 정도가 생경한 사람들이었거든요. 고등학교를 가도 일단 인문계 고등학교라는 필터를 한 번 거치고 대학을 갈 때도 또 성적순으로 필터링을 하니까요. 그런데 군대는 그 필터가 거의 없는 집단이었고 저는 '이런 사람들이 세상에 있구나' 하는 생각도 많이 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00 7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242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219 4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372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09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05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95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31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04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93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80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42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60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65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62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64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71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70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9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83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00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66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8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79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98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