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1/12 01:15:11 |
Name | 하늘밑푸른초원 |
Subject | 오늘 <육룡이나르샤>를 보고 |
http://entertain.naver.com/ranking/read?oid=108&aid=0002491269 저는 원래 <용의 눈물>, <정도전> 같은 사극을 기대하고 이 사극을 틀었습니다. 하지만 제 어머니께서 kbs 외의 사극은 정통 사극이 아니니 기대하지 말라라고 하셨습니다. 그래도 그냥 봤습니다. 첫 2회까지는 와~대단하다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그 이후로 전개가..-.- 갑자기 무협싸움이 되고 누가 더 검술을 잘 쓰냐, 싸움이 되고 정도전은 초반에는 좀 활약했는데 어떻게 이젠 이방원이나 분이보다 못한 책략가가 된 듯하고 ("정도전? 그 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았어!") 역사에 존재하지도 않았던 무명이라는 이상한 뒤에서 활동하는 비밀집단을 만들고.. (뿌리깊은나무를 생각해보면, 정도전이 무명은 처단할 것이나 그 자신이 죽으면서 밀본이라는 비밀집단을 만들 것 같네요. 그런데 이방원은 정도전의 한 아들은 살려주고 벼슬까지 주었잖아!? 그리고 그 자손들도 벼슬을 했고..!?) .. (작가가 무협과 추리소설 매니아인가?) 그리고 드디어 오늘!! 일이 터졌습니다. 어머니는 소파에서 주무시고 계시고 아버지와 저는 여느때와 다름없이 tv앞에 앉아서 <육룡이나르샤>를 시청했습니다. .... 자객이 그 높은 절벽에서 뛰어내렸는데... 뭐? 이름도 듣지 못한 이상한 권법으로 뛰어내리면 살 수 있다고 하더군요. 정도전은 딴맘을 품고 있는 정몽주에게 놀아나고.. 그리고 결정적으로!! 찻잔(?)을 공중 위로 띄우고 그것이 아래로 떨어질 때 윤랑(공양왕의 여자)이 그걸 칼로 받아내는 걸 보고!! 아버지와 저는 폭소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제 저는 깨달았습니다. <육룡이나르샤>는 실제 여말선초를 재현한 시나리오를 기대하고 보면 안 된다고. 그저 배우들의 외모와 연기력과, 그들의 진지함 속에서 나타나는, 상상을 뛰어넘는 코믹요소가 있을 때 그걸 즐기면 된다고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하늘밑푸른초원님의 최근 게시물 |
이건 어디에 초점을 두고 보느냐고.. 뿌나를 본 저로써는 이 작가가 정통사극을 절대 그릴리 없다고 확신해서..
제 친구들 중에 남정네들은 다 재밌게 보더군요. 그 무협적인 설정들 때문에 대사까지 흉내내다니면서요.
저도 정도전을 좀 재밌게 본 입장이라 보면서 어윽 이렇게까지..? 싶은 부분도 있지만
전개가 그닥 처지지 않고, 김명민이나 유아인의 연기가 좋아서 잘 보고 있습니다.
볼수록 느끼는거지만, 조선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지만 이름과 성격, 큰 줄기의 사건만 빌려오는
마치 유행하는 팩션이라는 장르의 소설을 보는 느낌... 더 보기
제 친구들 중에 남정네들은 다 재밌게 보더군요. 그 무협적인 설정들 때문에 대사까지 흉내내다니면서요.
저도 정도전을 좀 재밌게 본 입장이라 보면서 어윽 이렇게까지..? 싶은 부분도 있지만
전개가 그닥 처지지 않고, 김명민이나 유아인의 연기가 좋아서 잘 보고 있습니다.
볼수록 느끼는거지만, 조선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지만 이름과 성격, 큰 줄기의 사건만 빌려오는
마치 유행하는 팩션이라는 장르의 소설을 보는 느낌... 더 보기
이건 어디에 초점을 두고 보느냐고.. 뿌나를 본 저로써는 이 작가가 정통사극을 절대 그릴리 없다고 확신해서..
제 친구들 중에 남정네들은 다 재밌게 보더군요. 그 무협적인 설정들 때문에 대사까지 흉내내다니면서요.
저도 정도전을 좀 재밌게 본 입장이라 보면서 어윽 이렇게까지..? 싶은 부분도 있지만
전개가 그닥 처지지 않고, 김명민이나 유아인의 연기가 좋아서 잘 보고 있습니다.
볼수록 느끼는거지만, 조선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지만 이름과 성격, 큰 줄기의 사건만 빌려오는
마치 유행하는 팩션이라는 장르의 소설을 보는 느낌이더군요.
저는 이런 장르물(?)을 볼 때마다 사람마다 기준이라는 게 있다고 보는데
기황후나 장옥정, 사랑에 살다 같은 사극들은 이 선을 분명 넘었다고 보고(원래 나쁜 인물들로 묘사되는 사람들을 미화하려 했기에)
육룡 같은 경우는 어쨌든 캐릭터의 성격을 뒤집는 선까진 가지 않는 것 같아서
작가가 한편 영리하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제 친구들 중에 남정네들은 다 재밌게 보더군요. 그 무협적인 설정들 때문에 대사까지 흉내내다니면서요.
저도 정도전을 좀 재밌게 본 입장이라 보면서 어윽 이렇게까지..? 싶은 부분도 있지만
전개가 그닥 처지지 않고, 김명민이나 유아인의 연기가 좋아서 잘 보고 있습니다.
볼수록 느끼는거지만, 조선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지만 이름과 성격, 큰 줄기의 사건만 빌려오는
마치 유행하는 팩션이라는 장르의 소설을 보는 느낌이더군요.
저는 이런 장르물(?)을 볼 때마다 사람마다 기준이라는 게 있다고 보는데
기황후나 장옥정, 사랑에 살다 같은 사극들은 이 선을 분명 넘었다고 보고(원래 나쁜 인물들로 묘사되는 사람들을 미화하려 했기에)
육룡 같은 경우는 어쨌든 캐릭터의 성격을 뒤집는 선까진 가지 않는 것 같아서
작가가 한편 영리하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