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1/16 00:20:47
Name   하늘밑푸른초원
Subject   인류 정신의 진보에 대한 회의
그냥 제 뇌내에서 나오는 잡생각들을 적고 싶었습니다. 제가 무식한지라 사실관계들이 상당히 틀렸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이 다 인지하는 이야기입니다. 그래도 그냥 쓰고 싶었습니다. 오늘 어떤 뉴스보고 좀 화가 나서.



저는 어릴때부터 인류의 역사는 '대체적으로' 진보하는 쪽으로 흘러왔다고 생각했습니다.
서양의 경우 중세라는 암흑기가 있었지만 르네상스 때부터 이성의 힘을 알았고, 그리고 인류는 신(神)이나 권위에 의존하기보다 (겸손한 자세로, 또 솔직하게) 눈 앞에 보이는 관찰결과를 토대로 절대적인 법칙을 찾으려고 노력했다고 보았습니다. 또,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로 가면서 점점 더 신분사회가 개방되었고 시스템적으로 더 나아졌다고 생각했습니다.
인간은 (근거를 토대로 생각하는) 이성이라는 능력이 있고, 또 (이전에 선조들이 쌓아올린 지식을 습득할) 학습능력이 있고, 또 (상처입고 아파하고 눈물흘리는 사람에 대한) 공감능력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했다고 생각했습니다.

분명 인류의 과학, 철학은 앞으로도 발전할 겁니다. 그런데 그건 '아카데믹한 최첨단의 학문적인 차원'에서 그렇고, '일상적인 차원'으로 들어가면 이야기가 다른 것 같습니다.
어찌된 게 21세기 시작부터 911테러가 터지더니, 전세계는 점점 더 우경화되고 극단화되고..(IS, 도널드 트럼프, 새누리당의 이해할 수 없는 삽질과 그럼에도 지지하는 상당수의 국민들, 자신들을 받아주었더니 그걸 원수로 갚는(집단 성폭행) 일부 난민들.. 등등) 사실 조금만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알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S 테러범들은, 죄없는 일반 시민을 죽이면 안 되는 것을 알텐데 죽입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허경영보다 더 악질인 상식 이하의 녀석인데 세계 최강국 미국인들의 상당수가 지지하죠. 새누리당은.. 뭐 윤창중, 세월호, 메르스, 국정교과서, 위안부협상.. 이 중 하나만 더민주당이 저질렀어도 한달마다 탄핵소추 당했을 겁니다. 도대체 지지하는 사람들을 이해하기 힘드네요.(수정) 그리고 이번 독일 등 유럽의 난민 성폭행 사태는.. 갈곳없는 자신들이 쉴 수 있는 자리를 준 사람들에게 아주 잘하는 짓입니다.
요즘들어 상당히 '일상적인 차원의' 인류 정신의 진보에 대해서 회의를 느낍니다. 정말 대단한 것도 아니고 상당히 상식적인 이야기들인데 이게 안 지켜집니다.

10대 어린 소녀에게 황안이란 어그로꾼(우리나라로 따지면 변절한 친일파??)이 사상검증을 요구하는 것을 보고 글을 썼습니다. 이 사건에서 빨갱이몰이(혹은 종북몰이), 내셔널리즘, 갑질 등 현대사회에서 볼 수 있는 상당히 많은 패악들을 동시에 볼 수 있다는 점에 참으로 유감스럽습니다.



0


    하늘밑푸른초원
    피지알에도 동일한 글을 올렸는데 상당히 많은 분들이 제 글의 어리석음을 지적해주셨습니다.

    1)20세기가 21세기보다 꼭 나은 것도 아니었다. 학살도 많았고, 인종청소도 있었고.
    2)인류의 역사에서 시스템과 법, 교육 체계는 명백히 더 나은 방향으로 진보해 왔고, 이것은 당연히 \'일상적인 차원의 인류 정신\' 에도 영향을 준다.
    3)표현이 과격한 점이 있다. 자의식 과잉이 아닌가.
    마지막 문단에는 공감이 되면서도 본문에는 사실 댓글로 적어주신것처럼 많은 반례들이 있긴하네요.
    그래도 한 번 더 제목과 같은 주제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던것같아요. 글 감사해요!
    하늘밑푸른초원
    http://pgr21.com/pb/pb.php?id=freedom&page=1&page_num=23&select_arrange=&desc=&sn=&ss=on&sc=on&keyword=&no=63127&category=&cmt=&bpw=

    좋은 댓글들 많더군요.
    솔직히 제 본문은 정말 가치가 없는데 댓글이 다 살려준..
    푸리더
    본문을 통해 이야기를 나눌 것이 있어서 댓글이 달린 것이니, 본문이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좋은 글입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자다가 어떤 할 일이 있어서 잠시 깼습니다.

    푸리더님,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솔직히 이 글 쓰고 엄청 후회 많이 했었는데..
    피지알에 좋은 댓글이 많습니다만 본글의 핵심인 쯔위 사태에 대한 공분이 없으므로 -5점...
    푸른초원님께서 거시사와 인류학에 흥미가 있으신 것 같은데 <사피엔스>를 읽어보시면 재미있어하실 것 같습니다. 저자는 오늘날의 인간을 만들어낸 세 가지 혁명을 이야기하는데, 인지혁명(언어사용), 농업혁명(인구폭발), 과학혁명이 무려 몇만 년의 격차를 두고 발생합니다. 그동안 인류가 본질적으로 변한 건 없다는 이야기지요. 오죽하면 아직도 구석기 다이어트가 유행하겠습니까.. 인간의 몸과 마음은 아주 오래 전의 상태로 지체되어 있는 부... 더 보기
    피지알에 좋은 댓글이 많습니다만 본글의 핵심인 쯔위 사태에 대한 공분이 없으므로 -5점...
    푸른초원님께서 거시사와 인류학에 흥미가 있으신 것 같은데 <사피엔스>를 읽어보시면 재미있어하실 것 같습니다. 저자는 오늘날의 인간을 만들어낸 세 가지 혁명을 이야기하는데, 인지혁명(언어사용), 농업혁명(인구폭발), 과학혁명이 무려 몇만 년의 격차를 두고 발생합니다. 그동안 인류가 본질적으로 변한 건 없다는 이야기지요. 오죽하면 아직도 구석기 다이어트가 유행하겠습니까.. 인간의 몸과 마음은 아주 오래 전의 상태로 지체되어 있는 부분들과 새로 변화된 부분들이 두서없이 뒤섞여 있는 상태(오래된 연장통)라고 하잖아요.
    본문에서 예로 드신 역사적 발전단계들은 사실 편의적인 것들인데, 중세와 르네상스 사이에 실제로 어떤 단절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사이 어떤 연도를 기준으로 선을 긋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르 고프 같은 사람들은 길게는 19세기까지 이어지는 장기중세를 이야기하고, 고려와 조선의 지배계층이 역성혁명과 함께 대번에 교체된 것도 아니니까요. 20세기와 21세기를 나누는 기준도 자의적인 것입니다. (보통 역사가들은 19세기는 1900년까지가 아니라 1차대전 직전까지로 보지요.). 아직 우리는 20세기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면 속이 편하고, 언제 21세기가 될지는 훗날 전문가들이 정해줄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구조와 심성들, 믿음들은 변하기 힘들고, 완전히 없어졌다고 생각했을 때조차 느닷없이 다시 나타나곤 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불쌍한 쯔위양은 난데없이 그 꼴을 당하게 된...ㅜㅜ 이 나쁜 넘들...
    인류사가 진보인가 퇴보인가, 그래도 진보라고 봐야겠죠. 무엇보다도 본문에서 말씀하신 공감 능력이야말로 인류가 발전시켜온 엄청난 능력이라고 생각해요. 인류는 끊임없이 새로운 소수자들을 발견하고 그들과 권력을 나누어 왔습니다. 이방인, 노예, 여성, 성소수자, 동물, 그리고 기계한테까지. 지구상의 어떤 곳에서는 끔찍한 테러와 학살이 벌어지지만 다른 곳에서는 평온한 일상이 유지되었던 것은 유사 이래 언제나 그랬고, 언제나 누군가에 의해 비판받아 왔던 일입니다. 홉스봄은 영국의 신급 작가인 제인 오스틴의 소설들이 프랑스 혁명 시기의 영국을 다루었고 많은 군인들을 작품에 등장시켰으면서도 정작 전쟁터에 관한 이야기는 한 톨도 없다고 은근히 비난했었죠. 좀더 많은 사람들이 좀더 관심을 가지고, 좀더 많은 것을 보려고 하는 한 희망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사피엔스>라.. 나중에 꼭 읽어보겠습니다.(지금 좀 다른 공부할 게 있어서..ㅠㅠ)
    Moira님의 깨우침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쯔위양에 대한 얘기는 한마디 하자면..
    정말 (만약 이렇게 해서 쯔위양의 마음이 조금 누그러진다면) 제가 쯔위양 앞에서 무릎꿇고 사죄하고 싶은 심정이네요. 끄응..
    너무 비참합니다. 제 마음이.
    연예인이 되려고 한국까지 왔을텐데 이런 비참한 사과동영상이나 찍게 하고..
    거의 (중국, 대만, 한국으로부터의) 국제적인 인격살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쯔위양 유튜브 동영상 아동학대로 신고하고 왔습니다. 더보기를 눌러서 신고를... https://www.youtube.com/watch?v=t57URqSp5Ew
    쯔위 공식 사과 / 周子瑜公开致歉
    하늘밑푸른초원
    그런데 이 유투브 동영상은 쯔위양의 입장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내리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끄응..
    음.. 그럴 수도 있군요. 하지만 쇼비지니스를 위해 미성년자에게 정치적 발언을 강요하고 그걸 미디어로 유포한다는 건 그 자체로 반인권적인 범죄가 아닐까요. 쯔위양 입장은 뭐 이미 전달되지 않았을지 끄응... 게다가 중국에선 유튜브를 못 볼 텐데...아무튼 너무 심려 마시길..
    하늘밑푸른초원
    전 쯔위양 팬은 아닌데(그 존재도 피지알에서 어떤 트와이스 팬 분의 글로 알았습니다)
    ..정말 이건 아니죠. 이건 범죄입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유투브를 못 보나요?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왕창 다 안 되는 걸로 알고 있어요. 이용하려면 돈 내고 사설망 서비스를 깔든가 암흑의 경로(?)를 이용하든가 하는 걸로... 그레이트 파이어월(만리방화벽)로 차단합니다.
    하늘밑푸른초원
    헐.. 구글도 안 되나요?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안 되는 것 모두 합친 것보다 훨씬 더 불편하겠네요.

    구글이 얼마나 국제적으로 다양한 자료를 찾아주는데..;;
    보이차
    대신 자국 검색엔진 바이두를 아주 큰 회사로 키웠습니다
    눈부심
    신고는 어떻게 하셨는지..
    영문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겠는데 pc로 보면 유튜브 동영상 아래 [+추가 -공유 -더 보기 ] 순으로 버튼이 있어요. 더 보기를 누르면 신고 버튼이 나와요. 폰으로 보시면 깃발 모양의 신고 버튼이 보이실 거예요.
    눈부심
    아아 그 신고버튼요. 저는 아동학대를 조사해주는 기관에 신고하는 건 줄 알았어요. 저도 신고하고 올게요.
    음 그러셨군요 저도 그 생각까진 못해봤는데 제대로 하려면 무슨 기관에 신고해야 할까..
    사실 미성년자 아이돌들 소속사에 감사 들어가면 아동학대로 걸릴 소지가 꽤 있긴 할 텐데요(학교는 제대로 보내고 있는지? 노동시간이 너무 길고 가혹한 것이 아닌지) 거기까지 문제삼고 모니터링하는 움직임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인간은 진보하지 않고, 인류가 진보했다고 생각합니다. 달리 말하자면 제아무리 발전된 문명이라 해도 더없이 야만적인 구성원이 포함되어있고, 또 그런 면이 모든 이들에게 내재되어있다고 봅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솔직히 본문에서 제가 엄청난 잘난척을 해댔지만..

    저 역시 미개하고 야만적인 생각이 종종 드는 사람으로서, Raute님에게 동의합니다.
    현대인 중세로 보내면 중세인됩니다.

    본성이 더러운걸 아시게되서 이런생각을 하시는것같은데..

    최소한 지금사회는 더 진보했다는건 확실합니다. 뭐 아니라면 지금당장 나가서 마음에드는 처자하나 보쌈해서 살림차리는게 가능한지를 생각해보시면..
    하늘밑푸른초원
    답변 감사합니다. 대충 인류가 거시적으로는 진보한다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중입니다.
    눈부심
    생각을 던져주는 글은 항상 좋습니다. 인류 진보 말씀하셔서 스티븐 핀커라는 양반이 생각났어요. 검색해 보니 마침 캐나다에서 인류의 미래는 핑크빛일까 아닐까에 대한 토론이 있었군요. 긍정적인 미래편에는 스티븐 핀커, 부정적인 편에는 알랭 드 보통이 나왔어요. 그 중 스티븐 핀커가 요약을 아주 잘해주셨네요. 옮기면 다음과 같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dBffKkHR4ws


    * * *
    미래가 밝아보인다고 주장하... 더 보기
    생각을 던져주는 글은 항상 좋습니다. 인류 진보 말씀하셔서 스티븐 핀커라는 양반이 생각났어요. 검색해 보니 마침 캐나다에서 인류의 미래는 핑크빛일까 아닐까에 대한 토론이 있었군요. 긍정적인 미래편에는 스티븐 핀커, 부정적인 편에는 알랭 드 보통이 나왔어요. 그 중 스티븐 핀커가 요약을 아주 잘해주셨네요. 옮기면 다음과 같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dBffKkHR4ws


    * * *
    미래가 밝아보인다고 주장하는 스티븐 핑커의 근거 : 언론을 통해 바라보는 세계는 어둡습니다. 그건 언론이 비행기사고가 날 때는 앞다투어 보도를 하지만 비행기가 이륙하는 것을 보도하는 언론은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미래를 제대로 보려면 데이타를 보아야 합니다. 열 가지 정도 들 수 있습니다.

    1.150여년 전에는 인간의 평균수명이 30년이었지만(영아사망률이 높아 그렇다고는 하지요) 현재는 70년입니다.
    2.천연두는 인류의 커다란 재앙이었다가 현재 멸종되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질병이 자취를 감출 것입니다.
    3.200여년 전 전 세계 85%가 절대적 빈곤층이었습니다. 지금은 10%에 불과하고 2030년 경에는 0%에 수렴할 것이라고 합니다.
    4.전쟁도 줄어들고 있습니다. 선진국이 전쟁을 하지 않은지는 70년이고 강대국들이 전쟁을 멈춘지는 60년, 내란이나 내전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옛날보다 덜 파괴적이고 숫자상으로도 적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연간사망자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십만명 당 300명, 1950년대에는 22명, 1980년대에는 5명으로 꾸준히 줄었고 시리아조차도 요즘에 들어서 2000년대 수준으로 상승했을 뿐입니다.
    5.폭력성도 전세계적으로 감소를 보이고 있어서 지난 30년간 수치를 보면 살인률이 절반으로 줄었다고 합니다.
    6.민주주의지수에 의하면 세계 인구의 60%가 개방적인 사회에서 살고 있습니다. 지금껏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7.지식입니다. 1817년에는 17%의 사람들만이 기본적인 교육을 받았지만 현재는 80%에 이르며 비율은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8.인권입니다. 세계의 많은 나라들이 아동노동, 사형, 인신매매, 여성에 대한 폭력, 할례, 동성애자차별, 또는 그 이외의 비인간적인 행위에 대한 담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9.성평등입니다. 세계적으로 여성은 더 많은 교육을 받고 결혼시기가 늦어지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고 더 많은 파워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10.마지막으로 지능입니다. 모든 나라의 지능지수가 10년마다 3포인트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술은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유전학, 뇌과학, 인공지능은 진보하고 있고 데이타를 근거로 하는 합리적인 정책구현이 실현되고 있죠. 기술진보로 인한 디스토피아는 공상과학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들이고 몇몇은 해결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핵무기에 대한 공포가 대단하다지만 일본 나가사키 이후 한 번도 전쟁에 이용된 적이 없으며 이란을 포함한 16개 나라가 핵무기개발중단을 선언했고 핵무기는 80%이상 감소했습니다.(오잉? 그렇군요..)

    기후변화가 인류진보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겠지만 많은 경제학자들은 갖가지 정책으로 해결가능한 문제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문제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퍼져서 미국에서 기후변화를 믿지 않는 사람들의 비율이 현재 역사상 가장 적습니다.
    * * *
    눈부심
    오 저 유툽토론 재밌어요. 스티븐 핀커가 철저하게 과학적인 데이타로 미래를 낙관했다면 알랭 드 보통은 오로지 인문학적으로 접근해서 미래낙관론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뭔가 뜬구름잡는 소리인 것 같다가도... \'그래 방향도 중요하지\'.. 그러다가도 과학자들이 대부분 방향성을 갖고 과학하지 거침없이 기계적인 기술진보에 몸담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그래서 다시 뜬구름잡는 소리인 것도 같고.. 참 알쏭달쏭해요. 되게 재밌어요~. 옮겨 보면,
    * * *
    낙관론자들에 의하면 인간은 네 가지에 대해서 커다란 승리를 이룰 것이... 더 보기
    오 저 유툽토론 재밌어요. 스티븐 핀커가 철저하게 과학적인 데이타로 미래를 낙관했다면 알랭 드 보통은 오로지 인문학적으로 접근해서 미래낙관론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뭔가 뜬구름잡는 소리인 것 같다가도... \'그래 방향도 중요하지\'.. 그러다가도 과학자들이 대부분 방향성을 갖고 과학하지 거침없이 기계적인 기술진보에 몸담고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거든요. 그래서 다시 뜬구름잡는 소리인 것도 같고.. 참 알쏭달쏭해요. 되게 재밌어요~. 옮겨 보면,
    * * *
    낙관론자들에 의하면 인간은 네 가지에 대해서 커다란 승리를 이룰 것이라고 합니다. 지식, 빈곤타파, 전쟁과 질병의 종식. 그런데 저의 반박은 이래요. 저는 스위스사람입니다. 스위스는 네 가지 문제들을 다 해결했죠. 스위스는 환상적인 교육, 의료시스템을 자랑하고 소득도 엄청납니다. 그치만 여전히 스위스는 천국이 아닙니다. 제 1세계국가문제라고 할 수 있는데 스위스가 가진 문제 때문에라도 우리는 미래를 마냥 낙관할 수만은 없습니다.

    스위스는 왜 완벽하지 않은가? 왜냐면 멍청함은 이성으로 없앨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계몽주의에 의하면 인간에게 옮고 그름을 가르치면 그대로 따른다고 하지만 우리의 무지는 그보다 질깁니다. GDP가 상승한다고 해서 빈곤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인간탐욕의 풍경은 피없는 전쟁을 방불케 합니다. 훌륭한 치료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사람들은 여전히 질병으로 죽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불멸의 수퍼지능이 탄생한다고 해도 그것은 인간이 아닐 것이고 우리 인간은 앞서 제가 말한 모든 사라지지 않는 문제에 결박당해 살 수밖에 없습니다.

    마냥 낙관하는 것, 완벽할 수 있울 것이라고 믿는 건, 실수를 저지르고 흠이 있으나 서로 용서해주고 보듬어 줌으로써 문제를 극복하는 인간에게 있어서 어쩌면 위험한 사고일지도 모릅니다. 자신이 완벽하다고 생각하고 완벽한 배우자를 찾아다니는 사람을 생각해 보십시요. 그건 인간적이지 않습니다. 우리가 왜 꽃을 좋아합니까. 아름다움을 뽐내다가도 실망스운 몰골로 시들어버리기 때문입니다. 완벽함에 열광하는 이유는 불안전한 존재임을 알기 때문인 겁니다. 인간이 완벽할 수 있음을 믿는 이들만큼 우리에게 위협이 되는 이는 없습니다. 우리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과학자나 정치인들이야말로 위험한 이들입니다. 진정한 인류진보를 꾀하는 이들은 겸손하고 자신이 겸손한만큼 타인의 결점을 이해할 줄도 아는 이들일 겁니다. 우리 인간이 얼마나 나약한 존재인지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자리에 많은 과학자들이 계시지만 우리가 정말 논의해야 할 것은 지혜이며 어떤 철학을 가져야할 것이냐입니다.
    * * *
    눈부심
    와핫! 스티븐 핀커가 알랭 드 보통의 논거에 반박을 하는데 한 마디로 Are you serious?라며 시원하게 찍어 누르는군요. 저도 들으면서 삔뜨가 참 마이 빗나갔다 싶었는데 유명한 석학이라 듣고 있었더니.. 스티븐이 요목조목 찰지게도 반박을 합니다. 우리는 불멸이나 완벽함을 이야기한 적이 없고 보다 더 나은 삶이 올 것이라고 했을 뿐이다, 너 정말로 아프리카 사는 여인네에게 가서 \'나도 살아봤는데 좋은 날 안 올 것 같더라\' 이런 말 할 수 있냐고.. \'너 기근이나 제노사이드로 죽을 일은 없을 거지만 사람들이 악플을 달 거야\' 이럴 거냐고. 하하.
    까페레인
    좋은 말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녁 내내 아이들 라이드 다니다가 집에 와서 이렇게 좋은 글을 읽으니 ^^
    마지막 문장 맘에 들어요. 사실 가치관과 철학이 삶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사람들이 간과하기가 쉽거든요.
    눈부심
    동영상 보세요. 정말 재밌어요. 스티븐 핀커, 맷 리들리, 알랭 드 보통, 말콤 글래드웰이 나오는데 맷 리들리는 제가 못들어 봤지만 다들 쟁쟁하군요. 앞의 두 사람은 과학적 접근을 나머지 두 사람은 인문학적 접근을 통해 인류진보를 진단하는데 정말 재밌어요. 알랭과 말콤이 스티븐과 맷을 두고 공화당원이라고 조롱하기도 하고 정말 웃깁니다. 아.. 이걸 다 번역해줄 용자가 있다면 참 좋겠어요. 알랭이 스티븐더러 너 자꾸 내가 이 말 하면 저 얘기 꺼내고 논리 비껴간다고 뭐라하니까 스티븐이 속터져 죽을려고 하네요 하하. 스티븐이 굉장히 논리적인 사람인데. 알랭이 심하게 인문학적이라고 해야하나 그렇군요 ㅎ.
    까페레인
    Munk debate 재밌는 주제도 많고 흥미롭네요... 위의 디베이트는 1시간 30분 비디오네요. 주말가기 전에 마칠 수 있기를 :) 주말 시간이 고무줄처럼 쭈...욱 늘어났음 좋겠어요. 할 건 많고 놀 것도 많은데... 시간이 넘 빨리 지나는군요.
    보이차
    전 말콤과 알렌이 하는 말에 좀 더 들을 게 있는 것 같네요. 낙관론이나 비관론 모두 미래에 관한 이야기여야 하지 과거나 과거에 대한 현재를 해석해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 한 쪽이 과학적이거나 인문적인 것인 것 같지도 않고 다만 상상력을 발휘해 낙관론 또한 관점을 미래로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부터 확실히하고 시작했어야 할 것 같은데 토론이 재미는 있는데 내용이 없네요..
    눈부심
    스티븐과 맷은 인문학을 배제하자고 한 적이 없는데 알랭이 스티븐에게 유독 날을 세우며 스티븐의 이야기를 좀 꼬는 것 같아요. 스티븐이 데이타를 통해 진보의 역사를 나열했을 뿐인데 알랭이 스티븐더러 science만이 옳고 humanities는 틀렸다고 주장하는 모습을 보니 자신이 더더욱 옳았음을 깨닫지 않을 수가 없다며 이분법적으로 삐딱하게 결론을 내버려요. 그리고 말 할 때 고집이 ㅎㅎ... 계속 서로 겹쳐서 말을 하는데 알랭은 끝까지 큰소리로 자기 의견 이야기 다하고 스티븐은 \'저..저..저..저저..\'하고.. 기분이 상해 보... 더 보기
    스티븐과 맷은 인문학을 배제하자고 한 적이 없는데 알랭이 스티븐에게 유독 날을 세우며 스티븐의 이야기를 좀 꼬는 것 같아요. 스티븐이 데이타를 통해 진보의 역사를 나열했을 뿐인데 알랭이 스티븐더러 science만이 옳고 humanities는 틀렸다고 주장하는 모습을 보니 자신이 더더욱 옳았음을 깨닫지 않을 수가 없다며 이분법적으로 삐딱하게 결론을 내버려요. 그리고 말 할 때 고집이 ㅎㅎ... 계속 서로 겹쳐서 말을 하는데 알랭은 끝까지 큰소리로 자기 의견 이야기 다하고 스티븐은 \'저..저..저..저저..\'하고.. 기분이 상해 보이기도 하고 그러네요. 세계석학들이 동네 대학생들처럼 투닥투닥 웃기게 조롱도 하고 말쌈하듯 토론하는 모습이 너무 재미있어요.
    토론을 통해 이해를 넓혀가는 것이 아니라 관중들로 하여금 어느편에 더욱 공감하게 만들것인가라는 경쟁구도 하의 토론이라 반박을 위한 반박에 몰두하다 보니 그런 것 같은데 알랭의 이야기에서 분명 인간인 우리가 진보에 대해 겸허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는 건 수긍이 가는 말인 것 같습니다.
    야 재밌겠다 동영상 소개해 주셔서 감사하고 (한글자막도 있으면 좋을텐데 훌쩍) 재미나고 명쾌한 정리 요약도 감사. 따로 게시물로 올리지 그르셨어요. (꼬신다)
    munk debates가 뭔가 했더니 Munk가 사람 이름이었군요. 요새 한국 아이들도 이런 형식의 찬반 토론대회 학교에서 많이 하더군요. 문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모든 내용을 학원 강사들이 준비해주고 연습까지 시켜서 내보낸다는 거;;
    진화론 하는 사람들은 기본 베이스가 낙천적인 것 같더라구요. 어차피 인간이 그런저런 미물인데 이만큼 온 게 어디여? 반대로 인문학 하는 사람들은 이 나이브한 계몽주의자놈들 인간성의 깊이는 유전자 따위의 차원과는 달라 유전자와는! 뭐 그런 느낌...
    눈부심
    진화론 하는 사람들의 낙천성은 저도 좀 느끼는 편이에요. 게중에도 특히 트랜스휴머니즘을 표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꼬아서\' 얘기하면 거의 과학만능주의라고 할 수 있어요. 인공지능이 인간의 능력을, 특화된 방식과 일반적인 방식 양면에서 능가하는 지점인 기술적 특이점을 꿈꾸며 미래를 핑크빛으로 보는 많은 이들인데 스스로 죽기 직전에 냉동인간이 되어 미래에서 다시 태어나길 고대하기도 하더라고요. 이들의 낙관주의는 저를 불편하게 했지만 스티븐은 그들만큼의 낙관론자도 아니고 제게는 적절해 보였어요. 알랭은 그렇게 단지 숫자가 수십억명을 ... 더 보기
    진화론 하는 사람들의 낙천성은 저도 좀 느끼는 편이에요. 게중에도 특히 트랜스휴머니즘을 표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꼬아서\' 얘기하면 거의 과학만능주의라고 할 수 있어요. 인공지능이 인간의 능력을, 특화된 방식과 일반적인 방식 양면에서 능가하는 지점인 기술적 특이점을 꿈꾸며 미래를 핑크빛으로 보는 많은 이들인데 스스로 죽기 직전에 냉동인간이 되어 미래에서 다시 태어나길 고대하기도 하더라고요. 이들의 낙관주의는 저를 불편하게 했지만 스티븐은 그들만큼의 낙관론자도 아니고 제게는 적절해 보였어요. 알랭은 그렇게 단지 숫자가 수십억명을 빈곤에서 구제해 주었다고 해서 인간이 행복한 건 아니라고 갑자기 행복론으로 건너 뛰어서 스티븐을 당황하게 만들기도 해요. 데이타상으로 풍요롭게 사는 선진국들의 행복도가 더 높은 사실을 증명해준다고 스티븐이 이야기하니 그런 과학자들의 기계적인 해석에 불만을 표시해요. 인간이 그리 단순하지만은 않다 이거죠. ㅎ..
    하늘밑푸른초원
    좋은 댓글과 글 감사합니다.


    전 과학만능주의를 상당히 싫어하지만,(전 이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데도 말이죠.)
    스티븐 핀커의 논지전개가 더 맘에 드네요.
    약간 알랭 드 보통은 뜬구름잡는 소리..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55 7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1 + 마키아토 25/05/12 856 18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5 당근매니아 25/05/12 1372 0
    15435 문화/예술쳇가씨 기성작가 문체모사 - AI시대 바둑의 기풍 3 알료사 25/05/12 300 2
    15434 일상/생각사진 촬영의 전문성을 인정하자는 것. 12 메존일각 25/05/11 702 1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29 당근매니아 25/05/08 1414 24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537 20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788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653 16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85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785 50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724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626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601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321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260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540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827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96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76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63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99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703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86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809 2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