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6/03 23:20:46수정됨
Name   컴퓨터청년
Subject   수알못이 생각하는 수학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서포트벡터
    수학적으로 1+1=2가 완전무결한 진리는 아닙니다. 물론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학에서는 맞지만요.

    여기에는 자연수를 정의하기 위한 공리계, 공리계를 바탕으로 한 자연수에 대한 정의, 그리고 덧셈이라는 연산자 정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공리계가 바뀐다면 1+1=2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5
    메타휴먼
    저는 수학을 매우 형이상학적이고 무의미한 놀음이라 생각하던 적이 있었는데
    컴퓨터 그래픽을 공부하게 되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세상을 컴퓨터에 알려주려면 수학밖에 없더라고요
    물론 제가 아는 수학은 실용 영역에서도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나
    최소한 이런 가치가 있다는걸 학창시절에 알았다면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계산놀음에 고통스럽다 생각하지는 않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3
    이 세상은 까놓고 말해 수학으로 이루어져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님.
    한 때, 법학을 본문과 비슷하게 여겼다는 점에서 묘하네요. ㅎㅎ 돌이켜보면, '무엇'보다는 그걸 바라보는 혹은 그게 필요했던 제 자신의 문제였다는 생각이 더 크지만 앞으로 또 모르는 거겠죠. 괜히 반가웠습니다. 계속해서 글쓴이께 낭만이 가득하시길.
    두번우려낸티백수정됨
    어떤 공리계에서 어떤 명제에 대해서 4번째 결론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 거짓 모두 가능“. 참으로 쳐도, 거짓으로 쳐도 공리와 모순이 없다는 결론이죠. 대표적으로 ZFC 공리계에서의 연속체 가설이 있습니다.

    세상은 생각하시는 것보다 말랑말랑합니다.
    2
    수학이 철학 못지 않게 논쟁적일 여지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 둘이 다른게 아니라서요
    수학 자체의 진위는 논란의 여지가 거의 없지만 ,무엇이 중요한 수학인지(=돈을 받을만한 수학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수학에서 진위논란이 아예 제로는 아님 예를 들어 가장최근의 유명한 사례로 abc가설이 있습니다. 필드메달리스트는 증명에 하자가 있다고 하고 필드메달리스트는 아니지만 세계최정상급의 수학자는 니가 이해못한거야 하고 그러고 있습니다. 아직 공인된 결론은 안났고 언젠가는 누구말이 맞는지 판가름 나긴 하겠지만 쉽지 않아보이네요
    1
    쥬꾸미
    실용적인 수학이 최고라고 생각하지만 수학을 오랫동안 안하다보니 이제는 기초셈조차 못하네요 허허헛….
    다시 학교를 다닐수 있다면 기초 수학을 정말 단단히 쌓아가고 싶습니다 기초 수학의 중요성은 엄청나더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47 과학/기술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14 덜커덩 25/02/05 1176 21
    15194 과학/기술AI는 신이야! 13 세모셔츠수세미떡 25/01/07 1211 4
    14990 과학/기술챗 지피티4가 잘 작동하는 이유 5 블리츠 24/10/18 1641 0
    14750 과학/기술볼만한 유튜브 교육 채널 여름에가입함 24/06/17 1663 0
    14673 과학/기술처음으로 가르친 수업, 강의 끝나는 김에 적어보는 배운 점 11 Velma Kelly 24/05/13 2133 6
    14466 과학/기술 2066년안에 우리의 태양계 내에 호모 에릭툭스 이상 문명이 발견할 확률 3 mathematicgirl 24/02/18 2225 0
    14439 과학/기술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9 서포트벡터 24/02/06 2330 7
    14246 과학/기술우영우갤에서 선동한 자폐아의 현실 주장의 허구 7 자폐증당사자 23/11/03 3083 2
    14239 과학/기술드라마『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 왜곡 3 자폐증당사자 23/10/31 4828 8
    14144 과학/기술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3441 26
    14076 과학/기술끝판왕급 계산기 사용기 9 copin 23/07/30 3357 2
    14024 과학/기술(아마도)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한 이유 15 매뉴물있뉴 23/07/09 3568 12
    14006 과학/기술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338 31
    13963 과학/기술과학이 횡포를 부리는 방법 20 아침커피 23/06/08 3751 6
    13951 과학/기술뇌 없는 명문대 수학과 재학생 3 컴퓨터청년 23/06/05 3155 0
    13946 과학/기술수알못이 생각하는 수학 8 컴퓨터청년 23/06/03 2564 0
    13907 과학/기술챗gpt 상담이 차라리 낫다 vs 그래도 인간 상담은 못 따라간다 11 Dope 23/05/25 2830 1
    13664 과학/기술개발자 모드를 풀어주니 건방져진 chatgpt 3 큐리스 23/03/24 3195 0
    13655 과학/기술(망상) 초음속으로 부담없이 움직이고 반응할 수 있는 몸을 가진다면 천하무적 아닐까요? 13 강세린 23/03/21 2655 0
    13645 과학/기술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핵무기를 동시에 터뜨리면? 19 강세린 23/03/17 3133 0
    13574 과학/기술프로젝트 툰드라 4 copin 23/02/16 2751 1
    13474 과학/기술크롬말고 엣지나 파폭 33 매뉴물있뉴 23/01/11 2917 0
    13271 과학/기술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4501 23
    13209 과학/기술"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5435 26
    13195 과학/기술[작은 아씨들], 가장 극적으로 데이터-정보-지식-지혜의 관계를 보여주다! 2 몸맘 22/09/30 3755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