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7/15 18:23:23수정됨
Name   mathematicgirl
File #1   IMG_2410.JPG (111.2 KB), Download : 0
File #2   1717872089.617231.jpeg (457.5 KB), Download : 0
Subject   천문학 취미의 시작 - 홍차넷




https://kongcha.net/qna/15473?keyword=3498&sd=on

이전부터 학부시절부터 천문동아리(라고 말하고 밤에 돗자리 깔고 막걸리 마시는 집단을 일컫는다.)

관심있다가

이제 진짜로 시작해보자. 하고 어연 1년 됩니다.  처음에 니콘 10배율정도로 쌍안경으로 별자리 보면서 제가 별자리 좀 볼 줄 알고  아는 줄 알았는데
크나큰 착각이었습니다.
천문 관측 하시는 분들 사이에 들어가 보니 저는 완전 아무것도 모르는 햇병아리더라구요.

장비(반사, 굴절 경통, 삼각대, 가대 , 접안렌즈), 관측환경, 천체물리기본 지식, 안시관측파  등 취미로 하기에는

천문학회도 다니고 하는데 과한건지 도움도 많이 됩니다. 그래서 몇개 사진 올려보네요 반응을 보고 앞으로도 괜찮으면 올려볼려구요~!

P.S Cascade님 덕분에  천문학 공부 열심히 하고 있네요 ,, 일단 재미있습니다 ㅎㅎㅎ


https://kongcha.net/pb/data/qna/KakaoTalk_Photo_2024_11_01_19_50_53_1752571202_resized.jpg

#M31 #안드로메다



6


    mathematicgirl

    사진 여러장 넣는 걸 모르겠네요..;
    1
    cheerful
    넘모 이뻐요... 이게 진짜 우리 하늘이 라니 ㄷㄷ
    cheerful
    우리는 우주의 먼지에 불과하는 것을... ㅎㅎ 잊고 살때가 많읍니다. ㅎㅎ 멀리서 보면 그냥 한 점도 안되는 인생인 것을 ㅎㅎㅎ
    세이치즈
    https://redtea.kr/notice/199
    토비님이 올린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1
    cheerful
    이미지 주소로 사진이 올라가는거였군요!!! ㄷㄷㄷㄷ 처음 알았읍니다 ㄷㄷㄷ
    아케르나르
    오, 이쁩니다.
    저도 대학 때 천문동아리 들어가서 활동하다가 졸업하고 천문학과에 살짝 발을 담궈본 적이 있는데(1학기 다님) 어렵더라고요. 아마추어 천문도 알아야 할 게 많지만 학문으로 들어가니 넘 어려웠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672 과학/기술2의 n제곱근은 무리수임을 증명! (n이 2보다 클 때) 21 아침커피 25/08/19 805 2
    15618 과학/기술천문학 취미의 시작 - 홍차넷 8 mathematicgirl 25/07/15 842 6
    15448 과학/기술전자렌지에 대하여 32 매뉴물있뉴 25/05/19 1949 15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2 알료사 25/04/09 1530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1429 3
    15247 과학/기술LLM에 대한 두서없는 잡썰 (3) 14 덜커덩 25/02/05 2054 21
    15194 과학/기술AI는 신이야! 13 세모셔츠수세미떡 25/01/07 2241 4
    14990 과학/기술챗 지피티4가 잘 작동하는 이유 5 블리츠 24/10/18 2418 0
    14750 과학/기술볼만한 유튜브 교육 채널 여름에가입함 24/06/17 2400 0
    14673 과학/기술처음으로 가르친 수업, 강의 끝나는 김에 적어보는 배운 점 11 Velma Kelly 24/05/13 2765 6
    14466 과학/기술 2066년안에 우리의 태양계 내에 호모 에릭툭스 이상 문명이 발견할 확률 3 mathematicgirl 24/02/18 3055 0
    14439 과학/기술자율주행차와 트롤리 딜레마 9 서포트벡터 24/02/06 3079 7
    14246 과학/기술우영우갤에서 선동한 자폐아의 현실 주장의 허구 7 자폐증당사자 23/11/03 3908 2
    14239 과학/기술드라마『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 왜곡 3 자폐증당사자 23/10/31 5869 8
    14144 과학/기술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4276 26
    14076 과학/기술끝판왕급 계산기 사용기 9 copin 23/07/30 4104 2
    14024 과학/기술(아마도)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한 이유 15 매뉴물있뉴 23/07/09 4463 12
    14006 과학/기술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969 31
    13963 과학/기술과학이 횡포를 부리는 방법 20 아침커피 23/06/08 4579 6
    13951 과학/기술뇌 없는 명문대 수학과 재학생 3 컴퓨터청년 23/06/05 4066 0
    13946 과학/기술수알못이 생각하는 수학 8 컴퓨터청년 23/06/03 3266 0
    13907 과학/기술챗gpt 상담이 차라리 낫다 vs 그래도 인간 상담은 못 따라간다 11 Dope 23/05/25 3419 1
    13664 과학/기술개발자 모드를 풀어주니 건방져진 chatgpt 3 큐리스 23/03/24 3888 0
    13655 과학/기술(망상) 초음속으로 부담없이 움직이고 반응할 수 있는 몸을 가진다면 천하무적 아닐까요? 13 강세린 23/03/21 3270 0
    13645 과학/기술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핵무기를 동시에 터뜨리면? 19 강세린 23/03/17 377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