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3/02 14:45:32
Name   물냉과비냉사이
Subject   2년간의 비대면 강의 후기
드디어 이번 학기는 죄다 대면 강의입니다.

지난 학기에도 대면 강의를 조금 하긴 했는데 이번 학기에는 교육부의 강한 의지에 힘입어 모든 강의를 대면으로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코로나가 발생했던게 2020년 봄학기 시작 전이었으니 꼬박 2년을 비대면 수업을 해왔네요. 2년간의 비대면 강의를 통해 느낀 점들을 두서없이 기록해볼까 합니다.

* 저는 대학에서 사회과학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일을 합니다. 제가 하는 얘기는 제 분야와 교육 환경의 특수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밝혀둡니다

처음 비대면 강의를 하게 되었을 때 저는 별로 겁이 나지는 않았습니다. 다른 교수님들은 "와 이거 어떻게 해야 되냐", "인터넷 강의 하는 학원 강사들도 아니고 교수가 이걸 어째 하냐" 하면서 걱정을 많이 하셨죠. 비대면 환경에서의 수업 경험이 문제가 아니라 비대면 의사소통 경험 자체가 별로 없는 나이든 선생님들은 그런 걱정 할 수 있었겠죠. 그래도 저는 수능 공부할 때  삽자루 강의를 인터넷 강의로 들은 바가 있고 유튜브나 트위치를 많이 봤으니까 어색함 없이 비대면 수업을 할 수 있을 줄 알았습니다.

당시에 저는 비전임교수였는데 학교에서 카메라, 마이크 같은걸 사주지 않을 것이라는게 너무 나도 뻔해서 제 돈을 주고 방송장비를 바로 구매했습니다(물론 2주 후에 '모든 교원'에게 카메라는 사준다 해서 피눈물이 났습니다. 역시 부자 학교는 달랐습니다...). 여담이지만 모두가 로지텍 웹캠을 사는 것을 보고 로지텍 주식을 샀어야... 아무튼 OBS를 깔고, 방송세팅을 미리 다 해두고 자신있게 수업을 시작 했는데 생각과는 너무 다르더라고요.

말이 안나왔습니다.

정말, 말 그대로 말이 나오지를 않습니다. 내 앞에 학생들이 보이지 않는데 혼자서 말을 하려니 이 상황이 너무나 어색해서 말이 나오지를 않았습니다. 느낌 상으로는 마치 강의를 혼자 연습하는 것 같은 느낌인데 실제로는 학생들이 듣고 있는 것이니 연습과 실전의 그 간극이 참 힘들더군요. 그래서 말을 하다가 멈춰지는 일이 잦았고 꽤 많은 시간을 정신을 바로잡는데 다시 썼습니다. 그나마 첫 수업은 강의계획서를 설명해주고 강의계획에 대한 협의를 하는 시간이어서 어떻게든 넘길 수 있었는데 그 다음 수업은 도무지 자신이 없더군요. 그래서 하스스톤 인벤에 가서 '내가 비대면 수업을 연습해야 되는데 제발 와서 방송좀 봐줘라'고 글을 올렸고, 들어왔던 시청자 한 명 두고 하스스톤 전장 방송을 하면서 혼자 떠들기를 연습했습니다.

그 이후로는 사람이 앞에 없어도 말 하는게 그리 어색하지 않게 되었고, 인방을 한다 생각하고 수업을 하니 마음이 많이 편해졌습니다.

처음에는 비대면으로 강의를 어찌 하나 생각했었고, 처음에는 고생을 좀 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비대면 강의에 대한 제 경험은 그리 나쁘지 않았습니다. 최소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었어요.

그리고 예상하지 못했던 장점들을 봤습니다. 첫째는 질의응답입니다. 보통 비대면 상황에서 질의응답이 어렵다고들 하던데 제 경험은 달랐습니다. 제가 강의하는 도중에 질문을 채팅창으로 하라고 했더니 질문이 생각보다 많이 나왔어요. 보통 대면강의 상황에서 교수가 강의하는 도중에 질문을 하려면 교수의 말을 잘라먹고 들어가야해서 학생의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데 채팅창에 글로 남기면 교수는 할말 다 하고 채팅창을 확인한 뒤에 교수가 원하는 타이밍에 질문에 대한 답을 주면 되니까 수업 중 질의응답은 오히려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보강을 하기 쉽다는 것도 비대면 강의의 장점이었습니다. 공휴일이 끼거나, 학회발표하고 겹치거나, 교수가 아프거나 하면 휴강을 해야 하고 보강을 당연히 해야 하는데, 보강 날짜를 잡기가 쉽지 않죠. 휴강한 수업은 녹화강의로 돌리면 되니 별도의 보강일정을 잡을 필요가 없고, 학회 일정하고 겹치는 경우에는 학회장소에서 실시간 수업도 가능했습니다. 물론 학회장소가 대학인 경우는 빈 강의실이 있으니까 그게 쉬운데 유료로 임대하는 행사장 같은 곳이면 좀 곤란...

그리고 세번째 장점은 통계실습 수업에서 확인을 했는데, 특정한 형태의 수업은 대면보다 비대면 녹화강의로 제공하는 것이 교수자 입장에서도, 학생 입장에서도 훨씬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통계분석 수업의 경우 강의실에서 하려면 모든 학생들이 랩탑을 지참해야 하고, 학생의 랩탑에 배터리 이슈가 강의 중에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몹시 곤란했는데 녹화를 해서 올려주니까 그럴 일이 없어졌습니다. 사실 통계실습 강의의 경우 교수가 작성하는 코드를 잘 이해하고 따라해보는게 중요한데, 대면 현장강의에서는 학생이 강의 흐름을 따라오지 못할 경우 성취도가 급락하는 일이 많습니다. 녹화강의로 하면 학생들은 수업을 듣다가 잠시 멈춰두고 교수가 강의한 내용을 이해해보고, 코드도 천천히 봐가면서 따라해볼 수 있고, 자기가 나름대로 이해한대로 다른 방식으로 코드를 써보는게 가능하니까 오히려 비대면이 훨씬 더 좋았습니다.


비대면 강의의 문제도 몇 가지가 생각이 납니다. 우선, 비대면 강의의 질이 교수자별로 엄청난 차이가 난다는 건데요, 그나마 강의도 열심히 하는 사람이고 컴퓨터나 태블릿 등 전자기기 활용을 잘 하는 분들은 오히려 이 상황에서 여러 교수법을 시도해보면서 꽤 괜찮은 강의를 제공해주지만 불성실하게 하는 사람들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형편없이 하더군요. 심지어 PPT도 없이 그냥 음성녹음만 하는 교수가 있다는 얘기를 후배들에게 듣고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아니 무슨 1인 팟캐스트도 아니고... 원래부터 열심히 하던 사람은 비대면 상황에서 더 공을 들여서 수업을 준비하고 원래부터 강의 대충하던 분은 익숙치 않은 비대면이라는 걸 핑계삼아 더 개판치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네요.

두번째는 학생들 조별토론을 하기가 힘들다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보통 세시간 수업이면 1시간 40분에서 2시간 가량은 강의를 하고 30분 정도는 토론 주제 던져주고 토론을 시킨 다음에 그 토론 내용 공유하고 피드백을 해왔는데 비대면 상황에서는 그게 참 어렵습니다. Zoom에서 소회의실 기능을 이용하면 학생들끼리 토론이 가능하고 교수도 들어가서 토론 내용 들을 수가 있는데, 교수가 모든 소회의실에 한번에 들어가있을 수 없으니 한 소회의실에 들어가있을 때 다른 조는 잘 하고 있는지, 무슨 얘기를 나누고 있는지 알기가 어려워요. 더 큰 문제는... 자기들끼리는 토론을 잘 하고 있었는지 모르겠는데 소회의실에 교수 아이디가 뜨자마자 학생들이 부담을 느끼는 듯한 표정을 보이더라는 거죠. 그래서 코로나 첫 학기에만 조별토론 해보고 그 뒤로는 100% 강의로...


2년 간 비대면 강의를 해왔고 이제 일부 대학 강의실에는 학생들이 돌아오기 시작했습니다. 비대면 강의를 해보면서 배운 것도 많아서 저에게는 꽤 괜찮은 경험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대학생활은 수업이 전부가 아니고, 수업도 교수의 강의가 전부가 아닙니다. 어서 모든 대학생들이 강의실로 돌아오기를, 학생들이, 학생과 선생이 즐겁게 만나면서 대학생활을 함께 해나갈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15
  •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래서 하스스톤 인벤에 가서 '내가 비대면 수업을 연습해야 되는데 제발 와서 방송좀 봐줘라'고 글을 올렸고, 들어왔던 시청자 한 명 두고 하스스톤 전장 방송을 하면서 혼자 떠들기를 연습했습니다.

-> 홍차넷에서 구하셨음 시청자 두 배는 늘었을텐데 ㅠ ㅠ
2
물냉과비냉사이
참 묘안인데... 왜 생각을 못해쓸까요 ㅠㅠ
20, 21학번 학부생들은 오늘 대면강의를 처음해본다는데,
저는 비대면 강의(줌수업)을 오늘 처음 해봤습니다 ㅋㅋㅋ
마이크 켜져있으면 어떡하지 링크 나만 몰라서 못들어가면 어떡하지 뭐 이런저런 걱정 끝에 어떻게 잘 들은거 같네요
교수님 화이팅입니당
물냉과비냉사이
좋은 수업들으시기를 기원합니다.
타는저녁놀
고생 많으십니다. 가르치는 직업은 아니지만 비대면 시국에서 강연 여러 차례 했는데... 사람들 리액션을 못 보고 혼자 떠드는 게 진짜 힘들더라고요. 대면일 땐 농담을 던지면 먹혔는지 망했는지 즉각즉각 피드백 받으면서 끌고 나갈 수가 있는데.. 농담은 안 하게 되더라고요. 농담 뿐 아니라 사람들이 얼마나 따라오는지 이런 분위기도 못 보니 당연히 질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겠고 일단 정신력 소모도 너무 큽니다.
물냉과비냉사이
저도 비대면때는 주의환기를 위해 동원하는 농담이나 수업 내용 연관된 트리비아들 얘기를 거의 못했어요. 비대면일때는 반응을 못보니까 그런 말 자체가 너무 어색하게 느껴지더라고요.
1
비어-도슨트
제가 가장 크게 느꼈던 것은 비대면 수업 환경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는 것이에요.

(아 물론 제가 강의력이 딸려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ㅋㅋㅋ)

수업을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도 너무 많은게 비대면인 상황에서도 느껴질 정도 였습니다.

심지어 기출문제를 그대로 시험에 내도 이전 선배들에 비해서 풀어낸 학생들이 적었습니다.

특히나 코로나 2년차였던 작년은 1년차에 비해서도 많이 낮더군요.

아무래도 2년차는 이미 이전 1년 간의 학습 환경이 지속되면서 더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추... 더 보기
제가 가장 크게 느꼈던 것은 비대면 수업 환경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학습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는 것이에요.

(아 물론 제가 강의력이 딸려서 그런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ㅋㅋㅋ)

수업을 따라오지 못하는 학생들도 너무 많은게 비대면인 상황에서도 느껴질 정도 였습니다.

심지어 기출문제를 그대로 시험에 내도 이전 선배들에 비해서 풀어낸 학생들이 적었습니다.

특히나 코로나 2년차였던 작년은 1년차에 비해서도 많이 낮더군요.

아무래도 2년차는 이미 이전 1년 간의 학습 환경이 지속되면서 더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다시 대학 정상화가 되고 학생들을 직접 볼 수 있게 되었으니 너무 좋고 즐겁게 강의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물냉과비냉사이
중요한 부분을 빼먹었네요... 저는 평균적으로 성취도가 많이 떨어졌다기보다는 하위권이 너무 밑바닥으로 내려가서 격차가 커졌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강의실의 분위기가 주는 긴장과 의무감이 비대면에선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런 부분에서 특히 공부를 덜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더 취약했던것 같습니다.
4
좋은 체험수기 줍줍하고 갑니다 ㅎㅎ 세부전공이 온라인 학습에 걸쳐 있어, 코로나가 교육에 일으킨 일종의 자연실험은 계속 관심두고 있어요.

메타연구 자료들은 적합한 방식을 사용하면 대면과 비대면 사이 효과차이는 없는 걸로 결론 내렸지만, 학생과 교수자가 비대면 학습에 필요한 태도, 기대, 습관을 내면화 하는 건 한순간에 되지는 않아보여요. 초중고 12년에 걸쳐 내면화 한 대면학습의 질서, 그리고 대면적 상호작용의 일상성에 따른 비대면(혹은 매개된 대면)의 이질성은 크지요.

그래도 코로나라는 급전환으로 모두가 온라인을 겪었으니, 블렌디드는 현장에 더 잘 녹아들 수 있지 않을까 예측하고 있습니당
3
사이시옷
Nonmun 쓰시는겁니가?
넵 요 주제는 씁니다!
물냉과비냉사이
교수자 학습지 모두가 온라인 교육을 경험한게 앞으로 좋은 영향있을듯해요
Beer Inside
- 학생들의 의지만 충분하면 플립러닝이 좋지요. 미리 녹화강의 들어오고 강의시간에는 질문 대답 그리고 토론만하는...

- 비대면 강의의 문제점은 시간 때우기를 할 수 없다는 것 입니다. 아무리 떠들어도 시간을 다 채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분명히 대면강의를 하면 시간이 모자라는 분량의 이야기를 비대면 강의를 하면 시간이 절반 정도 밖에 경과 되지 않았습니다. 강의 중간에 쓸데 없는 이야기를 하면 환기 시켜주는 시간이 있어야 하는데 비대면 강의에서는 그 시간을 넣기가 어려웠습니다.
2
물냉과비냉사이
선생도 학생도 중간에 한템포 쉬어가야 할 필요가 있는데 진짜 강의만 100% 하게되서 배로 피곤하더군요 ㅎㅎ 학생들도 듣기 빡셌을듯.
홍차넷 선생님들 커밍 아웃 ^__^
수고하셨습니다 ㅠ 비대면 수업도 녹화본을 그냥 올리는 방식이랑 실시간 비대면 두종류가 있더군요 후자가 훨씬 힘들어보였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758 7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4 + The xian 25/04/07 216 6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270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1)]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김비버 25/04/06 369 3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277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8 + 명동의밤 25/04/05 871 9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822 33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790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603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080 8
15355 꿀팁/강좌2. 인스타툰을 위한 초보적인 기초를 해보자! 12 흑마법사 25/04/02 568 16
15354 일상/생각이상적인/사악한 아름다운 한국 사회 11 골든햄스 25/04/02 935 9
15352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2. 캐릭터 설정은 어떻게 했나 15 토비 25/04/02 592 21
15351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1. 왜 했나, 왜 그런걸 했나 82 토비 25/04/02 1465 43
15350 오프모임4월 5일 5시 학동역 세종한우 갑시다. 20 송파사랑 25/04/01 995 6
15349 정치젊은 공화국의 미망 - 12·3 계엄과 장기 내란 3 meson 25/04/01 752 7
15348 경제[개업인사] 법률사무소 간성 김태웅 변호사 개업인사 135 김비버 25/03/31 1901 102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4 kaestro 25/03/31 413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406 5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715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97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654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55 명동의밤 25/03/26 2260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 25/03/26 531 5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21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