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14 14:22:46수정됨 |
Name | 샨르우르파 |
Subject | 남녀떡밥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사람들의 진짜 문제. |
* 주의: 이 글은 남성 현역병들의 열악한 처우, 여성들의 경력단절이나 성범죄 문제같은 합리적인 문제제기를 하는 사람을 겨냥한 게 아닙니다. (특히 넷상에서) 성별 떡밥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부류를 말합니다. 흔히 남녀떡밥으로 불타는 사람들은 자기 성별이 가부장제에서 많은 불이익을 받았다고 말합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요. 여성들은 말할 것도 없고, 남성들도 가부장제가 남성에게도 불리한 점이 있었다고 합니다. 남성다움과 가부장으로서의 자세를 강요하고, 징병의 의무 등 남성들이 불리한 면도 떠맡았다면서. 전부 사실입니다. 가부장적 문화는 여러 병폐가 있었고 현재는 지속불가능해졌지만, 남성들이 가부장스러움을 어필하면서 여러 불리한 점을 떠맡았기 때문에 수천년 이상 유지될 수 있었을 겁니다. 신분제스러운 시스템이라 따지면 여성에 더 불리했지만, 남성이 반대급부로 많은 걸 책임지지 않았다면 여성들이 가부장제를 그토록 오래 유지되도록 암묵적으로나마 동의하지 않았겠죠. 그러면서 남녀떡밥으로 불타오르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불리함이 없어진 성평등한 사회를 원합니다. 진짜 문제는, 남녀떡밥으로 불타는 사람들이 진짜 성평등을 원하는 것인가에 있습니다. 다들 성평등한 사회를 소리높여 이야기하지만, 진짜 성평등한 사회가 온다면 받아들일까요? 성평등한 사회의 여러 면모를 이야기하면 바로 감이 잡힙니다. 먼저 남성에게. 1.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여성 CEO나 상사들을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보게 될 겁니다. 이들을 차별하지 않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셨습니까? 2.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남성의 일방적인 섹스판타지나 성관계 의사를 여성에 강제하기 어려울 겁니다. 여성들도 나름의 성적 판타지와 성적 자기결정권을 가지게 될 거고, 이것을 존중하기를 원할 테니까요. 이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셨습니까? 3.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남자들도 지금보다 집안일을 더 많이 하게 됩니다. 그렇게 할 수 있겠습니까? 4.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여성이 성범죄를 주장했을 때 함부로 꽃뱀이라고 비하하는 등 2차 가해를 하지 않습니다. 그럴 자신 있습니까? 다음으로는 여성에게. 1.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여성들도 '안보상황 등 경우에 따라' 남성처럼 징병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를 받아들일 준비가 있습니까? 2.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결혼자금에서 지금보다 더 많은 비율을 부담해야 할 겁니다. 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까? 3.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자주적으로 사는 대신 더 많은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그래도 괜찮으십니까? 4. 성평등한 사회에서는, 옛날만큼 '날 지켜줄 수 있는 마초적인 이미지'의 남성을 더 찾기 어려워질 겁니다. 그래도 괜찮으십니까? 슬프게도 남녀떡밥에 몰입하는 부류는 이런 질문에 말을 못 하거나, 이런저런 핑계로 위 제안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런 생각이 듭니다. 얘들이 말하는 성평등은 핑계고, 현실은 기성 가부장제의 부조리함을 핑계삼아 자기 성별을 권리만 있지 헌신은 없는 특권집단으로 만들려는 부류가 아닐까? 과거 가부장제 남성도 이 정도의 특권을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적어도 신분제 하에서의 여성이 동의할 정도로는 남성의 헌신과 의무를 주장했죠. 사실 남녀떡밥으로 불타는 사람들은 이거 말고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지만 여러 문제점들의 근본 원인은 위와 같은 마인드에 있다고 봅니다. 점점 성평등해지는 사회에서, 의외로 변화에 제일 적응하지 못하는 부류는 이들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 (수정): 표현이 과격하다는 운영진의 지적이 있어서 순화했습니다. 7
이 게시판에 등록된 샨르우르파님의 최근 게시물
|
나름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만 문제는 글이 너무 과격한 표현으로 작성되었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반박하면 당신들은 내가 말한 그런 부류다라는 함의를 포함하게 되는 공격적 글인 셈이지요.
홍차넷에는 이런 이유로 관련 공지가 있습니다.
https://redtea.kr/?b=8&n=156
거친 표현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소모적 논쟁에 대해 글쓴이에게는 큰 책임이 있습니다.
이후 글을 작성하실 때나 댓글을 작성하실 때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 반박하면 당신들은 내가 말한 그런 부류다라는 함의를 포함하게 되는 공격적 글인 셈이지요.
홍차넷에는 이런 이유로 관련 공지가 있습니다.
https://redtea.kr/?b=8&n=156
거친 표현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소모적 논쟁에 대해 글쓴이에게는 큰 책임이 있습니다.
이후 글을 작성하실 때나 댓글을 작성하실 때 주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광범위한 인간 개조 없이는 남녀떡밥은 결코 해결되지 않을 것이며, 현 체제에서 안티페미니즘이 주류가 될 일은 없을 것이며, 결국 (유전공학 등의)기술을 이용한 인간 개조를 통해서 페미니스트 유토피아가 실현되리라 봅니다. 예를 들어 지금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은 "안전할 권리", (No means no 운동과 같은)"성적 결정권" 같은 권리들을 요구하고 있는듯 합니다. 그런데 이런 권리들은 인간의 본성 상 실현될 수가 없는 권리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Psycho-Pass와 유사한 감시체제를 구... 더 보기
제가 생각하기에, 광범위한 인간 개조 없이는 남녀떡밥은 결코 해결되지 않을 것이며, 현 체제에서 안티페미니즘이 주류가 될 일은 없을 것이며, 결국 (유전공학 등의)기술을 이용한 인간 개조를 통해서 페미니스트 유토피아가 실현되리라 봅니다. 예를 들어 지금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은 "안전할 권리", (No means no 운동과 같은)"성적 결정권" 같은 권리들을 요구하고 있는듯 합니다. 그런데 이런 권리들은 인간의 본성 상 실현될 수가 없는 권리들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Psycho-Pass와 유사한 감시체제를 구축해서, 여성 대상 범죄가 1년에 한건 정도로 줄어든다고 해도, 여전히 페미니스트들은 "다음엔 내 차례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호소할거에요. No means no 같은 주장도 실현하기 위해선 결국 성적 접촉를 여러 단계로 구분해서 각 단계마다 여성의 명시적 허가를 얻어야만 하는데, 이 역시 남성의 성 본능을 완전히 통제하지 않는 이상 실현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페미니스트들의 요구사항은 현 체제의 필요와 많은 부분이 호환됩니다. 체제 입장에서는 범죄율이 줄어들 수록 체제가 안정되니, 감시사회를 구축해야할 유인이 충분하고, 페미니스트들이 요구하는 "안전할 권리"는 체제의 필요와 호환됩니다. 여성 입장에서 성추행, 성희롱으로 여겨질 수 있는 남성의 성 행동 역시 체제 입장에서는 불안요인이고, 따라서 남성의 행동을 감시하고 통제해야할 유인이 충분하거든요. 그래서 언론이나 높으신 분들이 페미니즘에 우호적인 스탠스를 취하는 것이겠죠. 아직까지는 기술의 한계로 인해 페미니즘 의무교육 같은 다소 원시적인 수단으로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려 하지만, 나중에 유전공학이나 뉴럴링크 같은 인간 개조 기술이 충분히 발전하면, 광범위한 인간 개조를 통해 저런 문제들을 해결하려 들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페미니스트들의 요구사항은 현 체제의 필요와 많은 부분이 호환됩니다. 체제 입장에서는 범죄율이 줄어들 수록 체제가 안정되니, 감시사회를 구축해야할 유인이 충분하고, 페미니스트들이 요구하는 "안전할 권리"는 체제의 필요와 호환됩니다. 여성 입장에서 성추행, 성희롱으로 여겨질 수 있는 남성의 성 행동 역시 체제 입장에서는 불안요인이고, 따라서 남성의 행동을 감시하고 통제해야할 유인이 충분하거든요. 그래서 언론이나 높으신 분들이 페미니즘에 우호적인 스탠스를 취하는 것이겠죠. 아직까지는 기술의 한계로 인해 페미니즘 의무교육 같은 다소 원시적인 수단으로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려 하지만, 나중에 유전공학이나 뉴럴링크 같은 인간 개조 기술이 충분히 발전하면, 광범위한 인간 개조를 통해 저런 문제들을 해결하려 들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너무 쉬운것 같은데..이거 동의를 못하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 같은데요? (여성 1번제외)
성평등의 문제가 아닌 것도 좀 섞여있는것 같고..
성평등의 문제가 아닌 것도 좀 섞여있는것 같고..
남성에게 라고 말씀하신건 다 당연히 납득가능한건데요;;;
말씀대로 이전 세대가 가부장제에서 차별한 업보를 지금 세대에게 역차별로 넘기기, 그로인한 이익추구가 시작되면서 논쟁이 격화되는거죠.
말씀대로 이전 세대가 가부장제에서 차별한 업보를 지금 세대에게 역차별로 넘기기, 그로인한 이익추구가 시작되면서 논쟁이 격화되는거죠.
앗 예비대학원생이다. 젠더 스터디로 진학하셔요 ㅇㅅㅇ? 본문에 전개하신 상황 바탕으로 연구설계 하나 가능하겠네요.
파이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덧붙이자면, 본문에서 양극단이라 지적하셨던 사람들 모두 강력한 도덕적 동기를 지니고 싸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요.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정서가 선행하고 + 이를 조절할(강화든 완화든) 도덕적 프레임워크가 서로 다르기에 그럴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동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악마화하고 자신의 '논리'를 바탕으로 서로를 찍어누르려 하지요. 실제로 그런 논리배틀은 끝이 나지 않지만... 더 보기
파이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덧붙이자면, 본문에서 양극단이라 지적하셨던 사람들 모두 강력한 도덕적 동기를 지니고 싸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요.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정서가 선행하고 + 이를 조절할(강화든 완화든) 도덕적 프레임워크가 서로 다르기에 그럴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동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악마화하고 자신의 '논리'를 바탕으로 서로를 찍어누르려 하지요. 실제로 그런 논리배틀은 끝이 나지 않지만... 더 보기
앗 예비대학원생이다. 젠더 스터디로 진학하셔요 ㅇㅅㅇ? 본문에 전개하신 상황 바탕으로 연구설계 하나 가능하겠네요.
파이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덧붙이자면, 본문에서 양극단이라 지적하셨던 사람들 모두 강력한 도덕적 동기를 지니고 싸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요.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정서가 선행하고 + 이를 조절할(강화든 완화든) 도덕적 프레임워크가 서로 다르기에 그럴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동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악마화하고 자신의 '논리'를 바탕으로 서로를 찍어누르려 하지요. 실제로 그런 논리배틀은 끝이 나지 않지만요 ㅠㅅㅠ 지엽적인 부분에서 어느 한 쪽의 문제를더 강하게 성토할 수는 있겠다만 그마저도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고, 총합을 따져서 한쪽의 도덕적 우위를 주장한다는 것도 불가능하고요. Sexuality와 morality를 다룬 연구들에서 이런 의제들을 종종 다루어요.
그나마 다행인 건 젠더스터디나 페미니즘 연구의 대다수는 세계와 젠더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도 함부로 재단하지 않는다는 거고, 그럼에도 씁쓸한 건 그런 운동이나 연구 중 서로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는 접근의 파급력이 크다는 거죠.
파이어가 되지 않기를 바라며 덧붙이자면, 본문에서 양극단이라 지적하셨던 사람들 모두 강력한 도덕적 동기를 지니고 싸우고 있을 가능성이 커요.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정서가 선행하고 + 이를 조절할(강화든 완화든) 도덕적 프레임워크가 서로 다르기에 그럴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동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상대를 악마화하고 자신의 '논리'를 바탕으로 서로를 찍어누르려 하지요. 실제로 그런 논리배틀은 끝이 나지 않지만요 ㅠㅅㅠ 지엽적인 부분에서 어느 한 쪽의 문제를더 강하게 성토할 수는 있겠다만 그마저도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고, 총합을 따져서 한쪽의 도덕적 우위를 주장한다는 것도 불가능하고요. Sexuality와 morality를 다룬 연구들에서 이런 의제들을 종종 다루어요.
그나마 다행인 건 젠더스터디나 페미니즘 연구의 대다수는 세계와 젠더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도 함부로 재단하지 않는다는 거고, 그럼에도 씁쓸한 건 그런 운동이나 연구 중 서로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는 접근의 파급력이 크다는 거죠.
[얘들이 말하는 성평등은 핑계고, 현실은 기성 가부장제의 부조리함을 핑계삼아
자기 성별을 권리만 있지 헌신은 없는 특권집단으로 만들려는 부류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이부분이 가장 동감이 됩니다.
자기 성별을 권리만 있지 헌신은 없는 특권집단으로 만들려는 부류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이부분이 가장 동감이 됩니다.
남자 입장은 이미 다 동의되가는 내용 아녀요? 실력으로 올라가면 불만 없습니다. 땡보직 정치력 또는 할당제로만 올라가니 그렇죠.
오히려 여성입장에서 놔야하는건 전혀 바뀌지 않는거 같은데요
오히려 여성입장에서 놔야하는건 전혀 바뀌지 않는거 같은데요
저희 집 근처 경찰서에서 남경이 범인 잡았는데 그 공로를 아무것도 안한 여경에게 몰아주다가 들통나서 뉴스에 뜬적이 있는데 이것말고도 지금 사회에 여러곳에서 부조리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데 지금 젊은 남성들이 분노하는 큰 이유는 여성혐오가 아니라 여성들 업신여기고 희롱 하는 분위기의 주체였던 기성세대들의 평등과 공정이 아닌 무조건적인 여성 우대에 화가 나있고 그거에 편승한 여성들에게도 분노하는거이죠
사망률만 봐도 남자들이 더 가혹한데 사회 분위기가 가혹하게 지내는 남자들을 눈여겨 보지 아니하고 능력있는 여성들이 아닌 능력미달의 여성들을 승진 시키고 치켜세우니까 갈등이 일어날수밖에....
사망률만 봐도 남자들이 더 가혹한데 사회 분위기가 가혹하게 지내는 남자들을 눈여겨 보지 아니하고 능력있는 여성들이 아닌 능력미달의 여성들을 승진 시키고 치켜세우니까 갈등이 일어날수밖에....
글이나 댓글들이나,, 다 어려운 말로 써놨지만 결국은 내가 소속된 이익집단이 더 이익을 봤으면 한다는말이잖아요.
이기적인 사람들이라는 말을 순한맛으로 과도하게 몰입하는 사람이라고 하는거겠죠..
그리고 의무와 선택을 비교하는건 좀 아닌듯합니다
이기적인 사람들이라는 말을 순한맛으로 과도하게 몰입하는 사람이라고 하는거겠죠..
그리고 의무와 선택을 비교하는건 좀 아닌듯합니다
다른 곳에서 본 글들이 불쾌하고 답답하셨나 봅니다. 그 마음 공감합니다 ㅜㅜ. 선생님께서 쓰신 글을 읽고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을 드리고 싶어졌는데요, 혹시 가부장적 사회를 묘사할 때 쓰이는 ‘기울어진 운동장(https://femiwiki.com/w/기울어진_운동장)’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그리고 이 표현에 대해 어떻게 느끼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양쪽 성별에 대해 굉장히 보수적인 시각으로 쓰신 것 같아요.. 현대의 남녀는 두 조건 다 동의할 겁니다.
문제가 되는 건 자기 성별만 저 조건을 받아들인다고 생각하고 타 성별을 공격하는 사람들이예요. 남초 사이트에서는 여자들 권리만 좋아하고 정부에서도 특별 대우하는 계층마냥 엄청나게 까댑니다. 여초 사이트에서는 남자들은 가부장적 권리도 누리고 여자들이 경제적 지원도 해주길 바란다며 한남 취급하죠. 둘다 반박할 다른 성별이 없는 공간에서 과격한 일반화가 일어나고, 자기들끼리 뒷받침 사례를 끌어오며 이런 관념을 강화합니다. 이 분위기에서 몇 없는 상대방 성별은 커뮤니티를 중단하고, 더 공격적인 일반화가 성행하게 되죠.
문제가 되는 건 자기 성별만 저 조건을 받아들인다고 생각하고 타 성별을 공격하는 사람들이예요. 남초 사이트에서는 여자들 권리만 좋아하고 정부에서도 특별 대우하는 계층마냥 엄청나게 까댑니다. 여초 사이트에서는 남자들은 가부장적 권리도 누리고 여자들이 경제적 지원도 해주길 바란다며 한남 취급하죠. 둘다 반박할 다른 성별이 없는 공간에서 과격한 일반화가 일어나고, 자기들끼리 뒷받침 사례를 끌어오며 이런 관념을 강화합니다. 이 분위기에서 몇 없는 상대방 성별은 커뮤니티를 중단하고, 더 공격적인 일반화가 성행하게 되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