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23 22:44:14
Name   sisyphus
Subject   반대급부라는 도덕적 의무감과 증여 사회
문화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에게 인간의 존재는 곧 관계입니다. 그에 따르면, 주고받음이 곧 인간 사회의 기초 입니다. 갑과 을 사이의 교환이 관계의 시작이 됩니다. 그는 메시지의 교환, 친족의 교환, 재화의 교환, 이 세 가지를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서, 인간은 [되돌려 받을 수 없는 교환], 즉 [증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 갑은 을에게 을은 갑이 아니라 병에게 증여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일방향적으로 전체가 순환이 되는 증여시스템을 이룹니다. 경제랑 비슷하지만, 준 사람과 받은 사람의 입장이 바뀌지 않습니다. 받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 증여는 누군가가 탕진이나 희생을 하지 않는 이상 이루어 질 수 없습니다.
핑퐁 게임이 아닌, 아무 대가없는 증여를 받게 된 인간은 [반대급부]라는 의무감이 생깁니다. 여기서 인간성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형성된 것이 친족제도입니다. 가족 제도는 온전히 돌려 줄 수 없는 (핑퐁이 불가능한)증여체계입니다. 배우자의 부모님께 받은 증여를 손주로 증여해줄 수 없으며, 사위나 며느리에게 증여를 하게 됩니다. 후대로 증여가 이루어지죠. 친족제도는 이런 이유로 근친상간을 금지하고, 증여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레비스트로스의 말을 들어보면, 인류는 곧 증여이며, 좀 더 나아가서 제 느낌엔 이 증여는 반독점을 지향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 쓴 글조차, 과거의 누군가에게 받은 생각을 다시 여기에 증여하고 있는 것입니다. 메시지, 친족, 재화 어느 하나 지금은 증여가 잘 되고 있는 것 같지가 않네요. 사실 언제나 그랬을겁니다.

여기서 좀 더 나가면 이 교환의 불균형을 바로잡을 때 윤리가 등장한다는 레비나스의 논리가 기가막힙니다. 이 불균형을 바로 잡는자, [책임을 타자보다 먼저 짊어지려는 고집]을 가진 자가 윤리적 당위성을 가지게 되죠. 레비스트로스 입장에선 이 또한 증여의 일부로 보지 않았을까 합니다.

윤리를 명확히 정의할 수 없지만, 증여를 받고 반대급부로 일어나는 그 어떤 의무감이 다른 증여를 하게 만들고, 그렇게 인간성이 만들어지고 인간 사회가 돌아가는 게 아닐까요?



6
  • ㅊㅊ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819 철학/종교속초, 강릉 여행 가볍게(?) 정리 30 수영 20/07/27 6114 9
10810 철학/종교반대급부라는 도덕적 의무감과 증여 사회 sisyphus 20/07/23 5043 6
10766 철학/종교자제력, 지배력, 그리고 이해력 12 기아트윈스 20/07/10 5658 28
10587 철학/종교유교(儒敎)에 대한 비판 83 ar15Lover 20/05/14 8447 2
10423 철학/종교한국 개신교와 '일부' 11 토끼모자를쓴펭귄 20/03/23 4936 5
10344 철학/종교"증거장막"이란 단어의 본래 의미 5 소원의항구 20/03/04 6440 7
10204 철학/종교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완) - 시너지: ‘계약서에 서명하기’를 매개의 실천으로 읽기 호라타래 20/01/20 4947 3
10191 철학/종교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4) - 두 이론을 함께 생각하기 2 호라타래 20/01/17 5259 4
9306 철학/종교소앙 조용은의 '육성교'와 '대동종교' 치리아 19/06/12 6863 7
8877 철학/종교자유의 역설 2 right 19/02/18 4751 1
8798 철학/종교탐구하지 말아야 할 지식 17 녹차김밥 19/01/25 5703 1
8752 철학/종교율법주의 : 최후의 유혹 32 구밀복검 19/01/11 7815 26
8620 철학/종교인생은 아름다워 22 기아트윈스 18/12/08 6253 41
8383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2 메아리 18/10/16 6448 19
8254 철학/종교7가지 사소한 너무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들 4 파랑새의나침반 18/09/20 6235 0
8191 철학/종교0.999...는 어디서 왔는가? 0.999...는 무엇인가? 0.999...는 어디로 가는가? 19 파랑새의나침반 18/09/09 8213 16
8054 철학/종교대형교회를 처음 가게 됬습니다. 18 태정이 18/08/14 5896 0
7764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5 기아트윈스 18/06/28 9280 16
7470 철학/종교마구잡이로 쓰는 종교이야기 - 이단과 사이비 3 기쁨평안 18/05/02 5544 1
7452 철학/종교저항으로서 장자 8 메아리 18/04/28 5530 8
7424 철학/종교적대적 현실 하에서 全生을 실현하려는 실천의 하나 : 무(武) - 2 1 메아리 18/04/22 3830 4
7423 철학/종교적대적 현실 하에서 全生을 실현하려는 실천의 하나 : 무(武) - 1 메아리 18/04/22 4597 4
7260 철학/종교감동(感動) 18 기아트윈스 18/03/22 5492 21
7258 철학/종교간략하게 알아보는 희년 이야기 10 기쁨평안 18/03/21 6074 14
7234 철학/종교대치동 서울교회 박노철목사측 불법용역들의 폭력적 진입영상 10 jsclub 18/03/14 66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