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1/31 10:10:03수정됨
Name   Zel
Subject   코로나 바이러스 뉴스 모음
1. 7번째 국내환자 확진입니다

https://news.v.daum.net/v/20200131095849188

28세 남자이고 우한에서 입국한 한국인입니다.

2. 총 사망자는 213명이고 이 중 새롭게 생긴 43명 중 42명은 후베이성에서 사망자가 나왔고 1명만 헤이룽성이어서 아직 초기 감염자들에서 사망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총 환자수는 어제부로 사스를 추월하였습니다.

3. 여행제한, 국경봉쇄 등이 부분적 혹은 전면적으로 이뤄진 나라들은: 북한, 필리핀, 러시아, 이태리, 말레이시아, 홍콩, 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 파키스탄, 마카오, 케냐, 싱가포르, 이스라엘, 몽골, 에콰도르, 호주 등이고 나라에 따라 수위는 다양합니다.

CNN 종합 (https://edition.cnn.com/asia/live-news/coronavirus-outbreak-01-30-20-intl-hnk/index.html)

4. NEJM에서 역학 리포트와 증례를 발표하였습니다.

역학리포트는 중국 CDC 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크게 다른 내용은 없습니다.
평균 환자연령 59, 남자가 56%로 약간 더 많고, 1월1일 이전에 수산물시장과 연관이 없는 환자도 45%였습니다.
재생산수치 (한 명의 평균감염성)은 2.2  평균잠복기 5.5일입니다.

증례는 좀 더 놀라운데, 바로 무증상감염자에 관한 독일리포트입니다.
"However, it is notable that the infection appears to have been transmitt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of the index patient, in whom the illness was brief and nonspecific."

잠복기 1명이 4명 (사실은 2차 감염 2명, 3차감염 2명) 을 전파시킨 리포트여서 잠복기 감염을 뒷받침 하는 케이스리포트가 NEJM에 실렸다는게 무게감이 느껴집니다. 그래프를 보면 미친 속도입니다.


그래프 설명을 약간 하면 Index Patient (0번환자라고 합시다) 라는 사람이 중국 살다 독일 방문해서 비즈니스 미팅하고 4일만에 떠납니다. 이 환자는 무증상였습니다.

1,,2 번 환자들은 이 0번 환자와 같은 미팅을 했습니다. 더 문제는 3,4번 환자는 0번환자는 안 만나고, 1번 환자만 저렇게 포인트 컨택하고 발병을 했는데.. 이 그래프대로라면 특히 3번 환자는 1번 환자와 0번환자가 처음 만난 날과, 그 다음날 즉 건너 건너 딱 2일만 잠복기일 수 밖에 없는 1번환자를 만났는데 발병했습니다. 보고도 안믿깁니다.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c2001468?query=featured_home

5. 아산 주민들은 교민 수용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 이런 훈훈한 내용도 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310716376521?did=DA&dtype=&dtypecode=&prnewsid=

6. WHO의 조치에 이동제한이 빠져서 전문가들도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메르스때 민간쪽 최고 권위자 중 한 분이었던 엄중식교수도 이동제한이 들어가야 한다고.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6613

7. 일선의료기관은 중국 간병인 문제에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의 감염과 달리 의료계종사자들의 감염은 2차감염의 위험도가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수준이 다르게 관리하여야 합니다. 간병인의 상당수가 중국교포라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가 절실합니다.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6468


8. 또다른 바이러스 권위자 김우주교수의 인터뷰입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차 감염은 '시간 문제'"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0688&fbclid=IwAR1T2nZW_qn38JSxuQeV0Ij_t9ed29LYH5G-O-NoNNmW3lBCPvTzesxoa-w

"무증상 감염의 경우에는 기침으로 전파되기 보다 코나 목 점막에 있는 바이러스가 코를 부비는 등 손에 묻어서 주변에 전파가 될 수 있다"며 "또 주변 휴지나 환경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다" 라는 해석을 붙였는데 설득력 있다고 보여집니다.

9. NEJM 증례보고로 전문가들 의견이 바뀌고 있습니다. 방금 CNN에 올라온 소식입니다. (2월 1일 오전 12시 20분)
무증상 감염에 대한 확신한다는 내용입니다.

"There’s no doubt after reading this paper that asymptomatic transmission is occurring,” said Dr. Anthony Fauci, director of the National Institute for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lays the question to rest.”

상당히 강한 어조로 이야기합니다. 감염내과라는 사람들을 알면 이정도의 강도는 이례적인 쎈 어조입니다.

10. 2020년 2월 2일 오후 5시 (미국 동부시각)부터 미국은 최근 14일 동안 중국에 간 적이 있던 외국인은 모두 입국거부를 예고했습니다.

https://edition.cnn.com/asia/live-news/coronavirus-outbreak-01-31-20-intl-hnk/h_ec834f6633cf88e481dd1f1edf48088d



10


    사나남편
    정부도 한곳으로 정해졌으면 밀고 나가고 인근 주민들 세금 혜택이라도 줘서 보상해주고 하면됬을텐데..
    귀차니스트
    스폐인 독감이 생각나는데...그렇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주지육림
    무증상으로 전염이 가능하면 통제가 가능하긴 한가요;;;
    저 발표를 아마 직접 들었으면 흥분한 청중들의 질문으로 발표장이 마비되었을 듯..
    1
    구슬밀크티
    독일 케이스는 진짜 어떻게 된 건지 경악스럽네요...
    신종코로나가 정도가아니라 거의 코로나의 병기 진화급이네요..
    메디앙
    저게 진짜면.........

    아 생각하기 싫습니다...ㅠ
    쿠르드
    3번 환자 뭐죠 덜덜...
    소노다 우미
    무증상감염이라니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Darker-circle
    설상가상..
    헐..
    근데 무증상이란것이 정확하게 어떤건가요..??
    증상이 없으니 신체에 가해지는 데미지도 없다고 보면 될까요..??
    음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몸에 들어오면 세포내에 들어가서 증식해야 합니다. 이 시기를 배양기라고 표현하는데 이때는 드러나는 증상이 없거든요. 따라서 데미지도 없는게 사실입니다. 근데 세포안에서 나온 다음에도 증상이 없을 수가 있어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무증상기와 배양기는 다른 거지요. 저 증례보고도 따라서 좀 조심스럽게 접근하긴 하는데.. 0번환자는 무증상기라고 해도 배양기가 아닐수는 있는데 1번환자가 3번환자에 옮길때는 거의 배양기일 수밖에 없으니 지금 이 패닉이 있는 거지요. 아직까지 단순 보고기 때문에 이걸 다 믿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만 저널이 의사들의 신뢰가 하늘같은 NEJM 에 논문 발표국이 독일이다 보니 더더욱 경각심이 드는게 사실입니다.
    점심먹으며 주변 몇몇 의사들에게 보여줬는데 전부 반신반의...
    4

    저는 사실 저널에서 이 표가 가장 마음에 걸립니다...
    1
    무증상 감염일수도 있고, 자연내 다른 소스에 의한 1차감염 두가지 가능성이 모두 있겠군요. 극초기에도 마켓 관련 없는 감염자들이 있어서 이래저래 자연으로부터 멀티 소스였다고 생각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별빛사랑
    무슨 인종차별도 아니고 이런 비상사태에 입국제한을 못 한다는 것이 참 기가 차는군요.
    1
    정치적 스탠스들이야 다들 있겠지만 괜히 여기에 연연하면서 더더욱 문제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의사협회는 이동제한을 며칠 전부터 주장하고 있지만 정치적 주장이라 여당 대변인에게 일축당했지요. 의협회장의 그 동안 행보가 자초한거지만 그렇다고 메시지가 의미 없는건 아니죠. 이미 WHO 규정 따위의 권위는 자기 스스로가 바닥에 떨어뜨렸습니다. 전문가들도 일치된 주장이 아니고 특히 잠복기 감염에 대해서는 다들 주장들이 다르지만, 하나하나 사례가 나옴에 따라서 서로 토의를 통해 합의를 도출해야 할 겁니다.
    1
    별빛사랑
    그사람 아직도 의사협회 회장 하고 있군요. 역시 공부하는 뇌와 현명한 뇌는 다른가봅니다. 의사들 수준이 참.
    DX루카포드
    진짜 그놈의 정치때문에..위험을 경고하는 목소리를 정치질이라며 도리어 몰아가고 있죠. 정치병자 눈엔 정치병자밖에 안보이는 상황. 공포를 유발하지 않으려는 정보통제라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럼 적어도 역공은 하지 말아야할텐데 말이죠..
    2
    소노다 우미
    입국제한은 하면 안되는 카드 같고, 입국시 3-4일간 격리수용 후 입국 허가정도가 맞지 않나 싶긴 합니다.
    격리 수용을 할려면 2주를 해야 하고 안하면 안해야 해서... 어디던가 2주 격리 시키는 나라인가 지역이 있었습니다.
    1
    소노다 우미
    2주 무섭네요...
    세리엔즈
    티벳인가가 그럴겁니다 ㄷㄷㄷ
    이게 근데 2주 격리 시설도 문제인데 격리수용이랑 입국제한에 대한 실제 프로세스 지불비용(경제적인 부분뿐만아니라)이 엄청 차이가 나고... 난이도도 크게 달라지긴 하지요. 사실 격리조치만 들어가도 관광객들은 거의 관광 포기하지 않을까싶긴해요 비즈니스 목적만 들이겠다면 합목적을 달성할거같긴한데 어렵긴하네요
    한국은 불가능한 옵션 같습니다. 배도 있고 숫자도 어마어마.. 교포, 유학생 등
    DX루카포드
    3,4일은 아무 의미가 없는 조치죠..이미 군산 확진자는 음성판단 받은 이후에도 발병했습니다.
    자몽망고향수정됨
    출입국관리법 제11조에 따르면 법무부 장관은 '감염병 환자' 등 공중위생상 위해가 끼칠 염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외국인에 한해 입국을 금지할 수 있다. 고만 적혀져 있기 때문에 '중국 국적 소지자' 라는 이유로 전면 금지 하기엔 근거가 부족합니다. (현재, 감염병 환자를 입국 금지시키는 것보다 인도적인 차원과 경제비용을 고려하여 격리치료하는 것이 더 낫기에 첫 신종코로나 감염자도 한국에서 치료를 받고 있죠.-_-)

    더구나 헌법 제76조에 따른 대통령은 내우·외환·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에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한 재정·경제상의 처분... 더 보기
    출입국관리법 제11조에 따르면 법무부 장관은 '감염병 환자' 등 공중위생상 위해가 끼칠 염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외국인에 한해 입국을 금지할 수 있다. 고만 적혀져 있기 때문에 '중국 국적 소지자' 라는 이유로 전면 금지 하기엔 근거가 부족합니다. (현재, 감염병 환자를 입국 금지시키는 것보다 인도적인 차원과 경제비용을 고려하여 격리치료하는 것이 더 낫기에 첫 신종코로나 감염자도 한국에서 치료를 받고 있죠.-_-)

    더구나 헌법 제76조에 따른 대통령은 내우·외환·천재·지변 또는 중대한 재정·경제상의 위기에서 국가의 안전보장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으로 필요한 재정·경제상의 처분을 하거나 이에 관해 법률의 효력을 가지는 명령을 발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습니다만, 이 조항 또한 긴급 재정 경제명령이라 발동하기 쉽지 않을 겁니다.

    또한 국제법상 입국제한이 힘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 입국제한을 할 수도 있습니다만(국제보건규칙, 법적구속력 유), 현 who 사무총장이 친중인사라 선포안하겠죠.ㅜ ㅠ <-포.인.트.

    https://www.who.int/ihr/procedures/pheic/en/

    +추가자료. who 보기 힘드신 분은 이걸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h1D2ecftTmcJ:www.nih.go.kr/CDC/cms/cmsFileDownload.jsp%3Ffid%3D28%26cid%3D1308%26fieldName%3Dattach1%26index%3D1+&cd=1&hl=ko&ct=clnk&gl=in


    또한 입국제한으로 다른 곳을 우회하여 들어왔을 경우, 입국자가 숨기면 확인 할 방법이 없습니다. 만약 숨기고 입국했을 시 입국자가 쉬쉬하다 2차 3차 감염이 나타나 숨은 슈퍼전파자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부분이 젤 위험한 것 같습니다.
    1.WHO가 비상사태 (PHEIC) 를 선포했습니다. WHO가 이동제한을 권고하지 않는다 정도의 스탠스기 때문에, 그리고 이미 물리적 구속력과 정당성은 없습니다. 저 글 자체가 비상사태 이전 글이에요 (PHEIC)
    2. 세계 62개국이 어떤식으로든 이동제한을 시작했습니다. 이중 직접적인 제한은 약 15개국이고 점점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3. 미국은 심지어 오늘 부로 중국 국적이 아니라 중국을 경유한 외국인도 입국사증 ban을 때리고 있습니다.
    4. 국가가 아니라 항공사가 전면 운항 중지 시킨 곳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항공사가... 더 보기
    1.WHO가 비상사태 (PHEIC) 를 선포했습니다. WHO가 이동제한을 권고하지 않는다 정도의 스탠스기 때문에, 그리고 이미 물리적 구속력과 정당성은 없습니다. 저 글 자체가 비상사태 이전 글이에요 (PHEIC)
    2. 세계 62개국이 어떤식으로든 이동제한을 시작했습니다. 이중 직접적인 제한은 약 15개국이고 점점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3. 미국은 심지어 오늘 부로 중국 국적이 아니라 중국을 경유한 외국인도 입국사증 ban을 때리고 있습니다.
    4. 국가가 아니라 항공사가 전면 운항 중지 시킨 곳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항공사가 델타항공으로 전면 중국발 노선을 중단하였습니다.
    5. 저 팩트 체크는 며칠 전 상황에 jtbc가 주장한 것으로 현 시점에선 거의 의미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저기에 메이는 동안 국민들의 안전은 더 위험해 집니다. 지금은 당파주의에 급급할때가 아닙니다.
    1
    DX루카포드수정됨
    ['감염병 환자' 등 공중위생상 위해가 끼칠 염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외국인]은 근거가 부족한게 아니라 근거 그 자체입니다. 중국이 넓으니 '국적만'으로는 부족해도 감염발생지 성 출발, 체류기간 등으로 판단할 수 있죠.
    자몽망고향
    그 외국인의 국적으로 다른 그 중국 국적 소지자를 전면 금지한다는 자체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저도 현 상황에서 한국들어온다는 것이 너무 싫습니다.-_-) 그리고 앞서 언급했듯이 입국자가 숨기면 어떻게 판단할 수 있겠습니까. 지금도 모르거나 숨기고 입국한 사람이 있는데 말입니다.
    우한에서 귀국한 교민들 검사 끝나면 확진자수 20~30으로 훅 뛰는거 아닐지...
    일본 비율을 단순 적용하면 7-8명 신환 생길겁니다.
    아 2번은 감염을 안시켰고 3,4번이 1번에 감염이 되었는데 김우주 교수도 비슷한 표현을 하더군요. 몸에 안들어간 1번환자의 바이러스가 묻지 않았을까 하는.. 3번과 1번이 얼마만큼의 밀접한 접촉을 오래 했는지에 대해선 논문에 안실려서 모르겠더라고요.
    자몽망고향수정됨
    4번 내용의 전문인 https://www.nejm.org/doi/10.1056/NEJMc2001468 보고 왔습니다.

    We are reporting a case of 2019-nCoV infection acquired outside of Asia in which transmission appears to have occurr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in the index patient.

    내용을 보면 무증... 더 보기
    4번 내용의 전문인 https://www.nejm.org/doi/10.1056/NEJMc2001468 보고 왔습니다.

    We are reporting a case of 2019-nCoV infection acquired outside of Asia in which transmission appears to have occurr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in the index patient.

    내용을 보면 무증상 감염(inapparent infection) 보다는 잠복기(incubation period) 동안 전염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현재 무증상 감염에 대한 정의가 매우 불분명하다고 들었습니다. (자신이 감염된 지 인지 하지 못한 경우, 조사대상자의 허위 증언,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환자, 소아나 치매환자 등 자가 증상 설명 불가능한 자도 무증상 감염에 포함시켜야 하는 지에 대한 여부) 때문에 겉으론 멀쩡해 보여도 전파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고요.

    혹시 아시는 정보가 있으면 추가로 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한국이 세계 최단시간(약간 오바같지만 ㅎㅎ) 검사법 개발했다네요.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www.korea.kr/special/policyFocusView.do?newsId=148868670&pageIndex=1&pkgId=49500742&pkgSubId=&pkgSubs=&exceptNewsId=&cardYn=&cateId=&cateIds=§Id=§Ids=&dataValue=
    레터 제목이 일단 무증상기 (asymptomatic) 고, 잠복기와 혼용되게 쓰이고 있고, 잠복기는 대부분 무증상기입니다. 하지만 무증상기는 잠복기가 아닐 수도 있고요. 정의상 subclinical 한 경우 (무증상이나 잠복기)도 있고요. 지금 그걸 따지는 건 큰 의미가 없고, 오히려 보건적으론 잠복기라는게 더 무섭습니다. 현재 한국은 WHO기준만 따르고 있는데, WHO의 편향성이 문제되는 이 시점에선 너무 나이브합니다. 국내학자들도 자신의 관점과 생각으로만 이야기하지만, 권위에의 호소를 하자면 9번의 서술에 무게가 더 실리고, 어쨌거나 중국이 오피셜하게 발표한 내용을 마음대로 재단하는건 옳지 않습니다. 이 건은 controversy가 있으면 좀 더 비관적인거에 키를 맞춰야 합니다.
    DX루카포드
    중국이 조처잘하고 있단 분들이 무증상감염발표에서는 선택적으로 중국 발표를 의심하시더군요..ㅡㅅㅡ
    자몽망고향
    네, 본문의 4번의 내용이 무증상 감염에 관한 레포트라 적혀져 있었고, 본문에서 확인하니 잠복기로 적혀져 있는 것을 보아 전술했듯이 정의가 매우 불분명하다고 적은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후술한 것처럼 겉으론 멀쩡해 보여도 전파력이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고 하고요. 제가 들은 내용을 확인하고 싶어 댓글을 달았는데 zel님께서 맞다고 하니 안심입니다. :)
    DX루카포드
    잠복기 무증상기 구별 이야기는 좀 바보같아요. 학술적으로야 어찌되든 환자본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무자각상태면 전염 위험성에 두가지가 무슨 차이가 있습니까? 정밀검사하면 잠복기는 증상발견할 수 있다..아니 자각을 해야 정밀검사를 하죠??

    조사하면 다 나와 ㅡ 범죄를 인지해야 조사를 하죠. 그래서 법원보다 검찰이, 검찰보다 경찰이 더 강한 권력기관인건데.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논문에서도 두가질 막 혼용해서 쓰고 있는 입장이고요. 그냥 무증상 감염 이게 직관적으로 이해하기도 쉽습니다. 일반인에게 바이러스 전파 기전을 다 설명할 필요도 없고요. 이미 설명안되는 부분이 너무 많기때문에 소위 말하는 '과할 정도로 방역' 한다는게 여기에 적용되어야 하는데 문제는 현 방역이 의미도 없을거 같아서 좌절스러운거지요.
    김치찌개
    아 제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11 7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6 meson 25/04/12 441 2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1 + 치킨마요 25/04/11 644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828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425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709 5
    15375 일상/생각우리 강아지 와이프^^;; 6 큐리스 25/04/09 675 5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21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540 4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2 알료사 25/04/09 571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424 3
    15371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727 18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398 12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389 0
    15368 일상/생각우연히 폭싹 속았수다를 보다가.. 8 큐리스 25/04/08 643 0
    15367 영화지쿠악스 내용 다 있는 감상평. 2 활활태워라 25/04/08 366 1
    15366 경제[의료법인 법무실] 병원관리회사(MSO) 설립, 운영 유의사항 - 사무장 병원 판단기준 1 김비버 25/04/08 429 1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783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425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2 김비버 25/04/06 534 5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406 2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1218 10
    15360 일상/생각계엄 선포 당일, 아들의 이야기 6 호미밭의파스꾼 25/04/04 985 36
    15359 오프모임내란 수괴가 만든 오프모임(4) 5 노바로마 25/04/04 919 4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2989 11
    15356 정치[불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선고 146 T.Robin 25/04/04 5238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