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9/05/25 21:28:49
Name   경제학도123
Subject   기독교인들의 '방언' 현상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기독교인으로서 신앙생활을 시작한 대학생입니다.
사실 원래는 가족들이 다 무교여서 종교에 대한 반감이 심했는데, 어찌어찌 만난
룸메이트가 신학과여서 전도를 받아 지금 교회에 다니고 있습니다 ㅎㅎ
그런데 오늘로 한달 쯤 다녔는데, 기독교라는 종교가 제 생각보다 기복신앙이나 초자연적인 현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서 놀랐습니다...
오늘 예배를 하면서 찬송가를 부르는데, 아는 교회 몇몇 분들은 '방언'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겪으시더라구요...
그냥 '와라랑라라라라' 이런 소리를 반복하시는데, 뭔가 이게 뭔가 쉽기도 하고 조금은 무섭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회 형제님들 말로는 사도행전에 '방언'에 대한 기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종교적으로 그닥 문제가 없다라고 하셨는데...
조금 뭐랄까... 잘 이해도 안되고 아무튼 그렇네요..
혹시 다른 홍차클러 분들은 방언을 겪으신 적 있으신가요?
그리고 기독교인의 '방언' 현상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ㅠㅠ...



0


앞으로걷는밤게
나는 신앙이 좋다와라라라라라라라라 하는거에요. 30년 넘게 살면서 ㄹㅇ 방언을 하는 사람은 단 한명도 못봤습니다.
기도할때 하는 에베베베베베베는 통성기도는 해야겠고 내 기도 내용은 남들에게 들리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합니다.
1
소원의항구
https://redtea.kr/?b=28&n=732

여기를 참조하시면 좋을것 같네요.
5
블레쏨
성경에 나오는 방언은 외국어를 말하는 거였던걸로 기억해요.
2
구밀복검
다른 종교에도 다 비슷한 현상 있습니다. 가장 일상적인 건 무당의 '신내림'이죠. 별로 특이할 게 없는 '자연현상'입니다.
신학적으로는 문제되지 않습니다. 말씀대로 성서에도 방언 쓴 사례들 많이 나오거든요. 대신 그리 높이 쳐주고 그렇지도 않습니다. 어차피 다른 종교에도 다 있는 현상이라서 개신교의 위대함과는 관련이 없거든요. 물론 교회 현장에서는 그런 게 마케팅이 되기 때문에 '은사'라고들 치켜세우면서 신심의 증거라고 우깁니다만 그냥 그런 건 적당히 거르면 됩니다.
1
개신교 기복신앙은 기독교랑 무관하게 발생한거라...
1
침묵의공처가
그렇게 보기에는 축복하고 복을 주고 등등은 성경 초기부터 나오는 얘기 아닌가요. 이교도 멸망시키고 그 땅을 차지하고..
1
구약성경에 나온 모습은 그리스도교 교리의 중심이 아닙니다. 구약의 내용은 유대교의 경전일 뿐이죠.
1
침묵의공처가
구약의 야훼랑 신약의 야훼는 다른가요?
1
구약의 야훼는 징벌자, 단죄자의 모습이 강합니다.

유대교는 민족주의 종교이고, 구약성서는 연맹왕국이었던 유다왕국의 통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쓰여왔고요.

반대로 신약성경은 범민족적인 시야에서 쓰여졌습니다. 작성된 시기도 제정분리 이후이기 때문에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기위한 요소도 없고요.

집필 시기와 집필 주체, 집필한 사상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같은 대상이라고 해도 보이는 모습과 교리가 다르죠.
2
기아트윈스
트랜스 (trance) 현상은 그냥 자연현상입니다. 별로 특별할 건 없습니다.
1
개신교가 아니라 방언 자체어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눈치 보면서 방언하는 흉내 내시는 신자들 보면 뭐랄까... 웃기다기보다는 안타깝더군요....
1
호미밭의 파스꾼수정됨
방언은 당시 로마제국의 각 도시로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이 다른 나라 사람에게 교리를 알릴 수 있도록 신이 허락한 일종의 언어적 기적이었습니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것처럼 외국어를 배운 적이 없던 초대 교인들이 한날 한시에 외국인 앞에서 능숙한 헬라어나 각종 외국어로 복음을 전했던 것이 시초죠. 당대에도 이런 쇼적인 가치 때문인지 의미없는 방언들이 난립하자 바울 사도가 직접 신약성서의 서신서를 통해 의미있는 방언은 [방언을 말하는 사람 + 그 방언을 해석하는 사람]이 있어야 성립한다고 일종의 기준을 정해주기도 했었습니다.
1
경제학도123
호밀밭의 파수꾼 저도 재밌게 읽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93 철학/종교기독교인들의 '방언' 현상에 대하여... 13 경제학도123 19/05/25 4636 0
7125 철학/종교사람 인생에서 환경과 노력 6 [익명] 19/05/16 2116 0
6924 철학/종교이런 것도 부정행위가 될 수 있을까요? 3 소반 19/04/10 3852 0
6891 철학/종교[천주교]교리과정 중 찰고, 많이 빡센가요? 20 TheORem 19/04/04 8872 0
6795 철학/종교두려움으로 인해 질문해요 13 [익명] 19/03/19 3268 0
6675 철학/종교프랑스 철학은 과대평가 되어 있을까요? 13 Fate 19/02/28 5615 0
6622 철학/종교고기를 못 굽는다의 정의는 뭘까요? 14 야미 19/02/22 5032 0
6617 철학/종교기독교인이 이런 마인드를 가져도될까요 9 [익명] 19/02/21 2466 0
6569 철학/종교이정도 것들도 하나님이 벌을 주시나요 30 [익명] 19/02/16 3634 0
6493 철학/종교종교에 관하여 질문 8 [익명] 19/02/08 2846 0
6429 철학/종교까까오톢 질문 3 장생 19/01/30 3447 0
6371 철학/종교여자에게 써먹을만한 유치한 장난 뭐뭐 있나요?? 13 HeatWade 19/01/22 6203 0
6369 철학/종교불교 서적을 읽어보고자 합니다. 3 [익명] 19/01/22 2020 0
6189 철학/종교요즘 신앙적으로 이것때문에 힘듭니다. 5 [익명] 18/12/31 3328 0
6096 철학/종교슈퍼맨이 신(神, God)일까요? 11 [익명] 18/12/17 3054 0
6062 철학/종교오락이랑 취미랑 다른 점 말해보기 3 여름에가입함 18/12/11 3774 0
5876 철학/종교오디오 케이블 바나나 단자 재질 문의 1 별빛 18/11/12 4159 0
5848 철학/종교미사 전례복 관련 질문 3 당신은누구십니까 18/11/07 4478 0
5739 철학/종교집착을 버리는 것이 해답일까? 29 [익명] 18/10/26 3600 0
5730 댓글잠금 철학/종교성경이 진리라면 기독교는 왜 분열하고 서로 이단이라고 그래요? 13 이진 18/10/24 5802 0
5637 철학/종교부활한 나사로의 심정은 어땠을까? 2 [익명] 18/10/12 2229 0
5545 철학/종교니체에 대한 비판은 무엇이 있습니까? 니체를 비판한 철학자는 무엇이 있습니까? 8 파랑새의나침반 18/09/29 4975 0
5315 철학/종교사랑을 다룬 철학책은 뭐가 있을까요? 25 원림 18/08/24 3047 0
4898 철학/종교만일 어려운 철학책을 같이 읽는 모임이 있다면...? 19 메아리 18/06/25 5068 0
4887 철학/종교................... 6 [익명] 18/06/24 258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