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5/18 15:38:54 |
Name | 곰곰이 |
Subject | 국과수는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어떤 방식으로 보장하나요? |
요즘 어떤 범죄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사건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핵심 도구는 바로 [국과수의 DNA 검사 결과]라 할 수 있겠죠. 그 어떤 진술도, 정황도, 거짓말 탐지기도 DNA 검사 결과만 나오면 즉시 모든 사실관계가 바로잡히는 상황을 우리는 각종 매체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기사를 볼 때마다 드는 궁금증이, '국과수도 결국 사람이 일하는 곳인데, 수사관들 사이에서 이렇게 저렇게 결과를 조작하면, 멀쩡한 사람도 바로 살인자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입니다. DNA 검사 결과가 이렇게 강력한 증거로 쓰이는 만큼 '절대 사실이다.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할 텐데요. 대부분의 일에서 어느 정도의 증빙은 그럭저럭 가능하지만, 100% 확실한 증빙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 참 궁금합니다. 국과수에서 일어나는 모든 절차에 블록체인 같은 개념으로 기록을 남기는 건가요? 완전한 크로스체크란 무엇일까요? 각 수사기관은 어떻게 국과수의 조사 결과를 100% 신뢰할 수 있는 걸까요? 저는 물론 수사관과 국과수를 신뢰합니다만, 이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없어 매번 궁금하던 차에, 혹시 알고 계신 회원님들이 계실까 궁금하여 질문드려봅니다. (판사님 저는 완전범죄를 모의하는 것이 아닌 순수한 과학적 궁금증으로 이 글을 작성했읍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곰곰이님의 최근 게시물
|
국과수에서 일해본 적은 없지만 왠만한 분석기기는 Audit Trail 기능이 있어서 문제 없을 것 같네요. 제약쪽에서도 Data Integrity가 의무라 동일하게 적용할 것 같습니다.
블라인드 처리도 됩니다. 검시하는 사람은 이게 뭐하는 사건의 뭐하는 샘플인지 모르고 의뢰받고 결과를 회신하는...
의뢰를 넣으면 중간에 익명처리가 된채로 검시자에게 전달되고
결과가 회신되면 다시 그 결과에 이름을 적어서 답변되는 뭐 그런식...
의뢰를 넣으면 중간에 익명처리가 된채로 검시자에게 전달되고
결과가 회신되면 다시 그 결과에 이름을 적어서 답변되는 뭐 그런식...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2515
관련된 국제 인증이 있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정확도와 투명성 그리고 독립성을 갖추기 위한 인증 항목들이 있고 그것들이 다 인정될 때 얻을 수 있는 국제 인증이 있으므로 믿고 맡길 수(?) 있는 것입니다. 한 두명이 조작할 마음을 먹었다고 조작이 가능한 수준이면 인증이 불가할겁니다.
관련된 국제 인증이 있습니다.
윗분들 말씀대로 정확도와 투명성 그리고 독립성을 갖추기 위한 인증 항목들이 있고 그것들이 다 인정될 때 얻을 수 있는 국제 인증이 있으므로 믿고 맡길 수(?) 있는 것입니다. 한 두명이 조작할 마음을 먹었다고 조작이 가능한 수준이면 인증이 불가할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