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7/23 07:58:39 |
Name | 풀잎 |
Subject | “리콴유가 남긴 다인종주의·반부패 정책이 싱가포르의 힘” |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3/07/20/IOQLOE2EFVCAHHP2DOO6J26MUE/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3/07/20/3QMUX3RNENDV7LORQ4RC4IDCA4/ 이브라힘 에디터는 “리 전 총리가 늘 강조했던 다인종주의가 싱가포르가 발전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고 평가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가 다수를 이루고, 말레이계와 인도계가 소수 인종인 국가다. 생전 리 전 총리는 “그 어떤 인종과 민족도 더 우월하지 않으며 싱가포르 국민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 다른것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국민들도 아래처럼 생각하면 참 좋겠습니다. “그 어떤 인종과 민족도 더 우월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에 사는 국민이라면 자 국민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풀잎님의 최근 게시물
|
네...제 생각에는 요즘은 홍콩의 반사이익을 아주 많이 누리는 것 같아요. 일단 사회주의/독재가 어느정도 성장을 이끄는 건 맞는 것 같은데 아프리카는 왜 저러고 있는지... ㅠㅠ
우리의 다음 성장 동력은 뭘까 영어공부와 교육일까 궁금합니다.
결가지로...
홍콩 대신에 한국으로도 많이들 글로벌다국적쪽에서 옮기는것을 검토하거나 지사 내었다는데 우리나라는 꽤 폐쇄적인지... 그 이후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해외에서 국내물건 사는 것/ 인증제도에 막혀서 어려운것도 있으니 그런 장벽들을 어서 정부가 잘 해결했으면 합니다.
... 더 보기
우리의 다음 성장 동력은 뭘까 영어공부와 교육일까 궁금합니다.
결가지로...
홍콩 대신에 한국으로도 많이들 글로벌다국적쪽에서 옮기는것을 검토하거나 지사 내었다는데 우리나라는 꽤 폐쇄적인지... 그 이후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해외에서 국내물건 사는 것/ 인증제도에 막혀서 어려운것도 있으니 그런 장벽들을 어서 정부가 잘 해결했으면 합니다.
... 더 보기
네...제 생각에는 요즘은 홍콩의 반사이익을 아주 많이 누리는 것 같아요. 일단 사회주의/독재가 어느정도 성장을 이끄는 건 맞는 것 같은데 아프리카는 왜 저러고 있는지... ㅠㅠ
우리의 다음 성장 동력은 뭘까 영어공부와 교육일까 궁금합니다.
결가지로...
홍콩 대신에 한국으로도 많이들 글로벌다국적쪽에서 옮기는것을 검토하거나 지사 내었다는데 우리나라는 꽤 폐쇄적인지... 그 이후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해외에서 국내물건 사는 것/ 인증제도에 막혀서 어려운것도 있으니 그런 장벽들을 어서 정부가 잘 해결했으면 합니다.
대신, 대기업들이 알아서 해외 영어사이트 만들어서 글로벌 올리브영 같은걸로 해외고객 유치를 하던데요. 돈을 쓰고 싶어도 못만들게 만드는 국내 사람들 대상으로만 좋게만드는 시스템에서, 외국인 대상 글로벌 고객 대상으로 몇 년안에 시스템이 변경되면 좋겠습니다.
우리의 다음 성장 동력은 뭘까 영어공부와 교육일까 궁금합니다.
결가지로...
홍콩 대신에 한국으로도 많이들 글로벌다국적쪽에서 옮기는것을 검토하거나 지사 내었다는데 우리나라는 꽤 폐쇄적인지... 그 이후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해외에서 국내물건 사는 것/ 인증제도에 막혀서 어려운것도 있으니 그런 장벽들을 어서 정부가 잘 해결했으면 합니다.
대신, 대기업들이 알아서 해외 영어사이트 만들어서 글로벌 올리브영 같은걸로 해외고객 유치를 하던데요. 돈을 쓰고 싶어도 못만들게 만드는 국내 사람들 대상으로만 좋게만드는 시스템에서, 외국인 대상 글로벌 고객 대상으로 몇 년안에 시스템이 변경되면 좋겠습니다.
반부패 정책 얘기는 진짜 우습네요. 다른 독재자들이 무식하게 기업가들 불러다가 쪼인트 까고, 국고를 지 스위스은행 계좌로 옮겨담고 있을 때, 리콴유는 인텔리하게 자기네 일가가 싱가폴 경제 장악했을 뿐 아닙니까. 비판하는 언론인은 잡아처넣는 대신 스마트하게 막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해서 입다물고 만들고 말이죠. 야당이 지지율에 비례한 의석을 절대 얻을 수 없는 정치체제를 만들고, 자기 성벽에 입각해서 부부생활까지 개입한 인간을 빨아주는 걸 볼때마다 우습기 짝이 없습니다.
부패는 정의와 효율 양면을 깎아 먹는 암세포인데, 싱가포르는 개발독재를 성공시킨 국가들 중에서도 탁월하게 후자 측면의 관리는 잘 한 편이라 부패를 '정책'으로써는 잘 다루었다고 봅니다. 물론 그러거나 말거나 저도 말씀하신 이유들로 싱가포르 모델의 정체성을 부정적으로 간주합니다.
싱가포르에서 다른 동남아 출신 노동자들이 받는 대우와 위치를 생각하면 차라리 한국이 나은 면도 있지 싶은 정도에요.(물론 둘이 도토리 키재기)
Singapore’s founding father thought air conditioning was the secret to his country’s success
https://www.vox.com/2015/3/23/8278085/singapore-lee-kuan-yew-air-conditioning
딴 얘기지만, 에어컨이 최고! :)
지금도 싱가폴 대학 연구소에서는 신기한 에어컨 개발하고 있죠.
https://www.vox.com/2015/3/23/8278085/singapore-lee-kuan-yew-air-conditioning
딴 얘기지만, 에어컨이 최고! :)
지금도 싱가폴 대학 연구소에서는 신기한 에어컨 개발하고 있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