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6/06 14:07:08 |
Name | 당근매니아 |
File #1 | telegram_cloud_document_2_5471959794493435683+(1).mp4 (6.44 MB), Download : 5 |
Subject | 러시아가 노바 카호프카 댐을 폭파했습니다. |
https://www.fnnews.com/news/202306061314355136 https://youtu.be/Bn4AYFnBFgo 카호브카 수력 발전소 붕괴 예측 https://goo.gl/maps/5wRHpA24kuocKGST7 카호프카댐은 댐이자 수력발전소입니다. 구체적인 위치는 구글맵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지도상에서는 헤르손에서 약 40km 정도 상류로 보이네요. 댐 폭파로 인해서 모아놨던 수원이 일시에 드네프르 강으로 흘러내려갈 건데, 이 강 하구에는 우크라이나 남부지방의 대도시이자 전략적 요충지인 헤르손이 위치해 있습니다. 유튜브 쪽에 올라온 예측 영상을 보니 피해 규모는 아래와 같이 예상됩니다. 범람수위 : 4.8m 범람너비? : 5km 범람속도 : 24.4km/h 헤르손시까지 홍수가 도달하기 위한 시간 : 2시간 계속 수위상승시간 : 14시간 홍수 지속시간 : 3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측 대반격을 예고하면서 제대로 방어해내기 어렵다는 계산이 서자, 댐을 폭파해서 후방 지역을 요새화할 시간을 벌고 헤르손의 기반시설을 파괴하여 진격속도를 감소시킬 작정으로 보입니다. 헤르손의 도로가 박살나고 나면 우크라이나 남부지역은 드네프르 강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황이라, 기갑전력이 러시아군 점령지 쪽으로 도하할 방법이 사실상 없어지는 모양새입니다. 이 경우 우크라이나는 결국 자포리자 - 토크마크 라인에 올인해서 남부지역 보급을 끊는 수 밖에 없어 보이네요. 토크마크는 도시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남부지역을 지나가는 철도보급망의 중심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당근매니아님의 최근 게시물
|
러시아의 침략 행위는 당연히 비판받아야 마땅한 것이지만, 현재의 러시아는 사회주의, 공산주의와는 무관합..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결로 바라보는 것보다는, 미국을 위시한 자유주의 해양 세력과, 그들을 추월하고자 하는 권위주의 내륙 세력과의 대결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 싶읍니다. 물론 저도 무지렁이입니다만..
무관이라고 알고 있던게 오히려 옛날 시각입니다.
전에 여기도 적은거 같은데 911테러당시 러시아 소행이라 의심한 fbi의 보고서에 푸틴의 민주주의는 선거조작으로 인해 독재 공산주의로 퇴보했고 2차 체첸 사태등 제국주의를 향한다고.
그냥 껍데기만 민주주의 칭호 달은 것에 많은이들이 속았을 뿐입니다.
현 기업 상태만 봐도 국가가 밀어주는 국영기업들이 휘어잡고 그러다 보니 석유 가스 산업이 전부라서 러시아를 거대 주우소라고 불러왔습니다.
국가가 통제하는 경제.
북중러의 공통사항이자 공산주의의 특징이죠
빠른곳은 911때부터 ... 더 보기
전에 여기도 적은거 같은데 911테러당시 러시아 소행이라 의심한 fbi의 보고서에 푸틴의 민주주의는 선거조작으로 인해 독재 공산주의로 퇴보했고 2차 체첸 사태등 제국주의를 향한다고.
그냥 껍데기만 민주주의 칭호 달은 것에 많은이들이 속았을 뿐입니다.
현 기업 상태만 봐도 국가가 밀어주는 국영기업들이 휘어잡고 그러다 보니 석유 가스 산업이 전부라서 러시아를 거대 주우소라고 불러왔습니다.
국가가 통제하는 경제.
북중러의 공통사항이자 공산주의의 특징이죠
빠른곳은 911때부터 ... 더 보기
무관이라고 알고 있던게 오히려 옛날 시각입니다.
전에 여기도 적은거 같은데 911테러당시 러시아 소행이라 의심한 fbi의 보고서에 푸틴의 민주주의는 선거조작으로 인해 독재 공산주의로 퇴보했고 2차 체첸 사태등 제국주의를 향한다고.
그냥 껍데기만 민주주의 칭호 달은 것에 많은이들이 속았을 뿐입니다.
현 기업 상태만 봐도 국가가 밀어주는 국영기업들이 휘어잡고 그러다 보니 석유 가스 산업이 전부라서 러시아를 거대 주우소라고 불러왔습니다.
국가가 통제하는 경제.
북중러의 공통사항이자 공산주의의 특징이죠
빠른곳은 911때부터 민주주의가 아니란 시각이었고 적어도 현재 러시아를 민주주의라 부르는 사람은 보기 힘듭니다
전에 여기도 적은거 같은데 911테러당시 러시아 소행이라 의심한 fbi의 보고서에 푸틴의 민주주의는 선거조작으로 인해 독재 공산주의로 퇴보했고 2차 체첸 사태등 제국주의를 향한다고.
그냥 껍데기만 민주주의 칭호 달은 것에 많은이들이 속았을 뿐입니다.
현 기업 상태만 봐도 국가가 밀어주는 국영기업들이 휘어잡고 그러다 보니 석유 가스 산업이 전부라서 러시아를 거대 주우소라고 불러왔습니다.
국가가 통제하는 경제.
북중러의 공통사항이자 공산주의의 특징이죠
빠른곳은 911때부터 민주주의가 아니란 시각이었고 적어도 현재 러시아를 민주주의라 부르는 사람은 보기 힘듭니다
설령 국가가 자본가들을 상대로 정치적, 경제적으로 상당한 우위를 점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생산수단에 대한 사적 소유권을 전면으로 부정하는 것까지 나아가서 자본가 계급을 제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상정하고 있지 않다면, 공산주의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 싶읍니다. 권위주의적인 면모가 다분한 자본주의까지 공산주의라고 부르는 것은 좀 곤란하지 않나 싶어요.
중국도 시진핑에 의해 공산으로 돌아섰다고 평가되더군요.
기존 후진타오등 개방기엔 민진국퇴라해서 사기업들의 경쟁을 통해 성장잔다는 모토였지만 시진핑은 모택동 시대에 있던 국진민퇴를 다시 꺼냈다는겁니다.
동시에 경제통계마저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를 했는데 이는 결국 기업의 자율경쟁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라서. 월가 쪽에서 더 이상 수익낼 사업은 불가능하고 판단, 중국 탈출준비하느라 중국내 고용과 상품 줄이고 난리라는군요.
imf도 중국의 문제에 평가하길 실적 낮은 공기업들이 사기업을 지배하기 때문에 중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더 보기
기존 후진타오등 개방기엔 민진국퇴라해서 사기업들의 경쟁을 통해 성장잔다는 모토였지만 시진핑은 모택동 시대에 있던 국진민퇴를 다시 꺼냈다는겁니다.
동시에 경제통계마저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를 했는데 이는 결국 기업의 자율경쟁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라서. 월가 쪽에서 더 이상 수익낼 사업은 불가능하고 판단, 중국 탈출준비하느라 중국내 고용과 상품 줄이고 난리라는군요.
imf도 중국의 문제에 평가하길 실적 낮은 공기업들이 사기업을 지배하기 때문에 중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더 보기
중국도 시진핑에 의해 공산으로 돌아섰다고 평가되더군요.
기존 후진타오등 개방기엔 민진국퇴라해서 사기업들의 경쟁을 통해 성장잔다는 모토였지만 시진핑은 모택동 시대에 있던 국진민퇴를 다시 꺼냈다는겁니다.
동시에 경제통계마저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를 했는데 이는 결국 기업의 자율경쟁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라서. 월가 쪽에서 더 이상 수익낼 사업은 불가능하고 판단, 중국 탈출준비하느라 중국내 고용과 상품 줄이고 난리라는군요.
imf도 중국의 문제에 평가하길 실적 낮은 공기업들이 사기업을 지배하기 때문에 중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조를 바꿔야 한다.
즉 공기업을 통해 사기업을 지배하는 공산주의를 짚은겁니다.
알리바바 사태도 같은 원인이잖습니까.
중국은 또 기업내 의무적으로 공산당원을 배치시키고 당원이 3명 인가 이상이면 공산당 에이전트를 설립할수 있도록 법제화 되어있답니다.
공산당이 기업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죠.
한중잡작기업에서 근무했었습니다만 중국인 부사장이 한국에 한분 계셨습니다.
회사 정관상에도 명시된 바이고.
그 중국인 부사장은 업무엔 관심 없고 출근 안하는 날도 많지만 출근해도 10시쯤 와서 점심먹괴 퇴근이거나 회식때 출근.ㅋ
그 분이 공산당이 꼽아넣은 낙하산이었죠.
회사도 아예 그 분에겐 조치후 보고 식으로 결재란을 따로.
중국이 러시아와 또 다른 모습이긴한데 앞으로 얼마나 고전 공산주의와 닮아갈진 몰라도 공산주의 2.0정도 되지 않는가. 민주주의도 변해왔듯 말입니다
기존 후진타오등 개방기엔 민진국퇴라해서 사기업들의 경쟁을 통해 성장잔다는 모토였지만 시진핑은 모택동 시대에 있던 국진민퇴를 다시 꺼냈다는겁니다.
동시에 경제통계마저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를 했는데 이는 결국 기업의 자율경쟁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이라서. 월가 쪽에서 더 이상 수익낼 사업은 불가능하고 판단, 중국 탈출준비하느라 중국내 고용과 상품 줄이고 난리라는군요.
imf도 중국의 문제에 평가하길 실적 낮은 공기업들이 사기업을 지배하기 때문에 중국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조를 바꿔야 한다.
즉 공기업을 통해 사기업을 지배하는 공산주의를 짚은겁니다.
알리바바 사태도 같은 원인이잖습니까.
중국은 또 기업내 의무적으로 공산당원을 배치시키고 당원이 3명 인가 이상이면 공산당 에이전트를 설립할수 있도록 법제화 되어있답니다.
공산당이 기업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죠.
한중잡작기업에서 근무했었습니다만 중국인 부사장이 한국에 한분 계셨습니다.
회사 정관상에도 명시된 바이고.
그 중국인 부사장은 업무엔 관심 없고 출근 안하는 날도 많지만 출근해도 10시쯤 와서 점심먹괴 퇴근이거나 회식때 출근.ㅋ
그 분이 공산당이 꼽아넣은 낙하산이었죠.
회사도 아예 그 분에겐 조치후 보고 식으로 결재란을 따로.
중국이 러시아와 또 다른 모습이긴한데 앞으로 얼마나 고전 공산주의와 닮아갈진 몰라도 공산주의 2.0정도 되지 않는가. 민주주의도 변해왔듯 말입니다
중국은 명칭만 공산당이지 실질적인 이념은 그냥 평범한 권위적 전체주의 독재국가죠. '공산주의' 딱지 붙어서 몹쓸 국가라는 소리는 현상에 그다지 부합하지 않는다고 봅니다. 러시아도 소련시절 회귀를 원하는 러시아공산당은 따로 있습니다. 푸틴과는 상관없는 정당이구요.
위에서부터 말씀하시는 공산주의에 관한 정의가 제가 알고 있는 거랑 조금 다른 듯 하네요.
관치 계획경제 성향이 강한것을 공산주의라고 정의하신다면 대한민국도 꽤 오래 공산주의를 한게 되지 않나요?
관치 계획경제 성향이 강한것을 공산주의라고 정의하신다면 대한민국도 꽤 오래 공산주의를 한게 되지 않나요?
네 맞습니다. 그래서 그것만 가지고 공산주의라고 할 수는 없지요.
근데 위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공산주의로 회귀해 간다고 하면서 근거로 말씀하시는게 민주주의가 아니고, 국가가 모든 것을 통제하려고 한다 라고 하신 것 아닌가요? 최소 제가 이해하기론 그렇게 보입니다.
그 말씀대로면 우리나라도 상당히 장기간 공산주의 국가였던 것이지요. 말씀하신 내용은 꼭 공산주의 독재 국가가 아니라도 권위주의 체계면 흔히 드러나는 모습으로 보여요.
러시아와 중국이 다시 공산주의적이 되어간다 라고 하는게 요즘의 상식은 아닌지라, 좀더 설명이 필요할듯 합니다.
근데 위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공산주의로 회귀해 간다고 하면서 근거로 말씀하시는게 민주주의가 아니고, 국가가 모든 것을 통제하려고 한다 라고 하신 것 아닌가요? 최소 제가 이해하기론 그렇게 보입니다.
그 말씀대로면 우리나라도 상당히 장기간 공산주의 국가였던 것이지요. 말씀하신 내용은 꼭 공산주의 독재 국가가 아니라도 권위주의 체계면 흔히 드러나는 모습으로 보여요.
러시아와 중국이 다시 공산주의적이 되어간다 라고 하는게 요즘의 상식은 아닌지라, 좀더 설명이 필요할듯 합니다.
서포트벡터 님//
폐쇄와 개방이란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자본주의 민주주의에서 경제통계 공개안할수는 없지요. 그런 내용은 간과하시는듯 합니다.
사업실적 공개안하는 기업이나 국가에 투자하실분은 없을겁니다.
이는 드라이브를 위한 계획 수준은 아니라는것이죠.
우리나라 경제가 드라이브 수준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시기전에.
우리가 그렇게 통제받는 국가였으면 외자기업들이 들어오겠으며 여차하면 튈려고 준비하겠습니까 라고 질문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아마 국내 정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너무 나가신것 같습니다.
더... 더 보기
폐쇄와 개방이란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자본주의 민주주의에서 경제통계 공개안할수는 없지요. 그런 내용은 간과하시는듯 합니다.
사업실적 공개안하는 기업이나 국가에 투자하실분은 없을겁니다.
이는 드라이브를 위한 계획 수준은 아니라는것이죠.
우리나라 경제가 드라이브 수준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시기전에.
우리가 그렇게 통제받는 국가였으면 외자기업들이 들어오겠으며 여차하면 튈려고 준비하겠습니까 라고 질문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아마 국내 정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너무 나가신것 같습니다.
더... 더 보기
서포트벡터 님//
폐쇄와 개방이란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자본주의 민주주의에서 경제통계 공개안할수는 없지요. 그런 내용은 간과하시는듯 합니다.
사업실적 공개안하는 기업이나 국가에 투자하실분은 없을겁니다.
이는 드라이브를 위한 계획 수준은 아니라는것이죠.
우리나라 경제가 드라이브 수준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시기전에.
우리가 그렇게 통제받는 국가였으면 외자기업들이 들어오겠으며 여차하면 튈려고 준비하겠습니까 라고 질문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아마 국내 정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너무 나가신것 같습니다.
더 궁금하시면 외신과 월가 기업들에 질의해보실것 추천드립니다.
저는 그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것이니까요
폐쇄와 개방이란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자본주의 민주주의에서 경제통계 공개안할수는 없지요. 그런 내용은 간과하시는듯 합니다.
사업실적 공개안하는 기업이나 국가에 투자하실분은 없을겁니다.
이는 드라이브를 위한 계획 수준은 아니라는것이죠.
우리나라 경제가 드라이브 수준이 아니다.라고 주장하시기전에.
우리가 그렇게 통제받는 국가였으면 외자기업들이 들어오겠으며 여차하면 튈려고 준비하겠습니까 라고 질문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아마 국내 정치에 만족하지 못하는 상황에 너무 나가신것 같습니다.
더 궁금하시면 외신과 월가 기업들에 질의해보실것 추천드립니다.
저는 그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것이니까요
우연한봄 님// 실제로 한국에 외국인투자가 크게 증가한 건 민주화 이후입니다. 독재자들은 말씀하신 이유로 해당국이 투자유치를 받기 어렵게 만듭니다. 물론 그렇다고 박정희, 전두환 시기의 대한민국이 공산주의 국가인 건 아닙니다.
한편 중국은 개방 후 외국투자자들이 많이 들어갔고 여전히 많습니다. 물론 그게 공정한 시장이 있어서는 아닙니다만.
우연한봄 님// 공산주의는 님 마음대로 누군가의 평가로 정의하는게 아니고 독재나 국가독점 형태의 자본주의등과도 다른 요소를 갖기때문에 다르게 표현합니다. 사회주의도 마찬가지고요. 체제를표현하는 표현들이 다 그렇습니다. 공산주의를 대충 뭐라도 비판하기위한 마법의 단어처럼 가져다 쓰니까 쓸데없는 주장과 이상한 근거들이 뒤섞이는거고요. 공산주의라는 단어 없이도 소련 붕괴 후 러시아나 개방 이후 중국을 비판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는데 말이죠
우연한봄 님//
제가 딱히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 지금 큰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구요, 소련조차도 해외자본을 유치했고 경제통계를 발표했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를 가름하지 못합니다.
말씀대로 외신과 월가 기업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 것이라면 그들의 평가가 이렇다 하는 레퍼런스와 그들의 주장의 근거에 대해 말씀해 주셔야 맞는것이죠. 우연한봄님께서 이것이 월가의 주장이다 라고 주장하신다고 해서, 설령 그것이 사실이라 한들 그것이 월가의 주장이 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권위를 사용하고 싶으시면 그들의 얘... 더 보기
제가 딱히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 지금 큰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구요, 소련조차도 해외자본을 유치했고 경제통계를 발표했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를 가름하지 못합니다.
말씀대로 외신과 월가 기업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 것이라면 그들의 평가가 이렇다 하는 레퍼런스와 그들의 주장의 근거에 대해 말씀해 주셔야 맞는것이죠. 우연한봄님께서 이것이 월가의 주장이다 라고 주장하신다고 해서, 설령 그것이 사실이라 한들 그것이 월가의 주장이 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권위를 사용하고 싶으시면 그들의 얘... 더 보기
우연한봄 님//
제가 딱히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 지금 큰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구요, 소련조차도 해외자본을 유치했고 경제통계를 발표했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를 가름하지 못합니다.
말씀대로 외신과 월가 기업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 것이라면 그들의 평가가 이렇다 하는 레퍼런스와 그들의 주장의 근거에 대해 말씀해 주셔야 맞는것이죠. 우연한봄님께서 이것이 월가의 주장이다 라고 주장하신다고 해서, 설령 그것이 사실이라 한들 그것이 월가의 주장이 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권위를 사용하고 싶으시면 그들의 얘기를 들고 오셔야지 본인의 얘기에 그들의 이름을 덧붙인다고 해서 그들의 권위가 추가되지 않지요. 제가 아무 말이나 말씀드린 다음에 "이것은 노벨상 수상자의 말이다"라고 해서 그게 진짜로 노벨상 수상자의 말이 되지 않지요.
지금 태클이 걸리는건 말씀하신 주장 사항 전반이 아니라 "공산주의에 대한 자의적인 정의" 이것 하나입니다. 말씀하신 "외신 기사"나 "월가의 보고서" 하나만 링크해 주시면 서로 편하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왜 이렇게 단순한 얘기로 논의를 돌리시는 건지 이해를 못하겠군요. 주장하는 분께서 입증을 하셔야지 왜 제가 그걸 찾아봐야 할까요?
제가 딱히 우리나라 정치 상황에 지금 큰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구요, 소련조차도 해외자본을 유치했고 경제통계를 발표했었습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를 가름하지 못합니다.
말씀대로 외신과 월가 기업들의 평가를 보고 배운 것이라면 그들의 평가가 이렇다 하는 레퍼런스와 그들의 주장의 근거에 대해 말씀해 주셔야 맞는것이죠. 우연한봄님께서 이것이 월가의 주장이다 라고 주장하신다고 해서, 설령 그것이 사실이라 한들 그것이 월가의 주장이 되지 않습니다.
그들의 권위를 사용하고 싶으시면 그들의 얘기를 들고 오셔야지 본인의 얘기에 그들의 이름을 덧붙인다고 해서 그들의 권위가 추가되지 않지요. 제가 아무 말이나 말씀드린 다음에 "이것은 노벨상 수상자의 말이다"라고 해서 그게 진짜로 노벨상 수상자의 말이 되지 않지요.
지금 태클이 걸리는건 말씀하신 주장 사항 전반이 아니라 "공산주의에 대한 자의적인 정의" 이것 하나입니다. 말씀하신 "외신 기사"나 "월가의 보고서" 하나만 링크해 주시면 서로 편하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데 왜 이렇게 단순한 얘기로 논의를 돌리시는 건지 이해를 못하겠군요. 주장하는 분께서 입증을 하셔야지 왜 제가 그걸 찾아봐야 할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