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3/14 09:19:38수정됨 |
Name | 귀여운무민 |
File #1 | 1.jpg (24.7 KB), Download : 63 |
File #2 | 12_vert.jpg (171.0 KB), Download : 67 |
Subject |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긍정 46.2% vs 부정 50.3% [TBS-KSOI] |
http://tbs.seoul.kr/news/newsView.do?method=daum_html2&typ_800=9&idx_800=3464655&seq_800=20457288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의 격차가 5주 연속 오차범위 내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TBS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천 한명에게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6.2%는 '잘하고있다'고 평가했고, 50.3%는 '잘 못하고있다'고 답했습니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0.5%, 국민의힘 33.4%로 조사됐습니다. 국민의당은 8.6%, 정의당은 3.7%의 지지율을 보였습니다. 국민 41.2% 윤석열 당선인 국정 수행 못할 것..17대 대선 이후 가장 높아 https://news.v.daum.net/v/20220314091135250 리얼미터가 미디어헤럴드 의뢰를 받아 10~11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1.2%(전혀 못할 것 29.0%, 못할 것 12.2%)는 윤 당선인이 국정 수행을 잘 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당선인이 국정 수행을 잘 할 것이라는 반응은 52.7%(매우 잘할 것 35.2%, 잘할 것 17.6%)였다. 긍·부정 격차는 11.5%포인트로 오차범위를 벗어났다. 윤 당선인은 지난 4 명의 대통령 당선인 중 가장 국정 수행 기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국정 수행을 잘 할것이라는 반응이 79.3%(못할 것 13.9%)였다. 20대 대선과 같이 양당 후보의 접전이 펼쳐졌던 18대 대선에 당선된 박근혜 전 대통령도 국정 수행을 잘 할것이라는 답변이 64.4%, 못할 것이라는 답변인 27.2%였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 당선 직후 국정 수행을 잘 할것이라는 비율이 74.8%, 못할 것이라는 비율이 10.6%로 긍·부정 격차가 64.2%포인트에 달했다. 한편 윤 당선인이 인수위원회 인선을 마치는 등 활동을 본격화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부정 격차가 커졌다.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일주일 전보다 5.8%포인트 하락한 38.1%였다. 문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4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11월 4주차 이후 처음이다. TBS 의뢰 KSOI 조사 결과에서 대선 직후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나왔네요. 아마 임기 말년까지 40%대를 찍을 거 같습니다. 미디어헤럴드-리얼미터의 경우는 많이 빠지긴 했는데 개인적으로 리얼미터는 별로 신뢰하지 않기도 하고 편차가 너무 커져서 별로 믿어지지는 않습니다. 리얼미터에서 윤석열 당선인에 대한 기대치도 조사한 게 있는데 윤석열 개인에 대한 평가라기보다는 국힘-민주당 여론이 그만큼 반반으로 갈렸다고 해석하면 될 거 같습니다. 1. tbs 의뢰 ksoi, 11~12일 조사 :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2. 미디어헤럴드 의뢰 리얼미터, 10~11일 조사 : 문재인 대통령, 윤석열 당선인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각 여론조사 업체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 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귀여운무민님의 최근 게시물
|
리얼미터의 경우는 문통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윤석열에 대한 평가는 반반 갈렸구요. 윤석열의 경우는 시작하자마자 야당 180석에 지지율 50%대로 시작할거라 국정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됩니다.
문재인은 임기 초기에 70%대의 지지율이 있었고 정국이 그에게 유리했지만, 윤석열은 초반부터 50%대 지지율이고 야당 180석에 그에게 표를 준 유권자 절반이 그에게 비우호적이라는 차이점이 있지요. 그렇게 순탄치 않을거고 무리수를 둔다면 조기 레임덕 가능성이 있습니다.
윤석열 누가 찍었나?..심층 출구조사 해보니
https://news.v.daum.net/v/20220311211608087
전 퇴임 이후 평가가 더 딸어질거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정책을 나서서 집행한게 별로 없어서요. 실패한 정책은 김현미, 장하성, 김상조 등이 타겟이 되었고요.
장관들 이름은 별로 알고싶지 않은데 말입니다.
장관들 이름은 별로 알고싶지 않은데 말입니다.
저는 실정도 많이 했지만 전반적으로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문재인 업적 떠오르지 않는다"는 교수가 봐야 할 외신
https://news.v.daum.net/v/20210929184501474
찾아 보면 문재인 정부가 잘못한 것도 많겠지만 앞에서 열거한 것처럼 업적이라 불러도 좋을 것들도 많습니다. 싱가포르 매체가 보도하는 한국의 모습만 본다면 이른바 "눈 떠 보니 선진국"이라는 말이 실감이 될 정도입니다.
대일정책이나 초기 방역 같은건 저도 만족했습니다. 업적이 아예 없다는 말은 아니예요. 하지만 실정이 실무자에게 분산되어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평가는 나빠질거라는 생각은 동일합니다.
다른건 몰라도 "눈 떠 보니 선진국"은 과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전정권에서도 선진국이었어요.
다른건 몰라도 "눈 떠 보니 선진국"은 과장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전정권에서도 선진국이었어요.
눈떠보니 선진국이라는 말은 눈 뜨기 전에는 후진국이었다는 말이 아니라 눈을 떠보니 어느새 선진국이 되어 있다는 말이죠. 그동안에는 선진국과 우리 사이에 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이라도 있는 것처럼 알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서 그런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계기가 되는 일들이 이 정권의 기간 내에 많이 있었다는 말 정도 아닐까 합니다. 모두 이 정권의 공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요.
아니요. 박근혜 정권에서도 이미 지표상 선진국이었는데요;;;; 오히려 개도국 혜택때문에 일부러 어닌척 한것도 있고.. 방역이나 문화계에서 인상적인 이벤트가 있어서 실감했을 뿐이죠.
한국이 선진국 된건 좀 되었습니다.
한국이 선진국 된건 좀 되었습니다.
국민의힘+국민의당 지지율은 하나로 봐야죠. 이번 대선 KSOI 여론조사는 매우 정확했습니다. 지선까지는 국힘이 이기겠죠.
들쑥날쑥 여론조사, 신뢰·정확도 의문..본지 마지막 조사는 尹-李 0.7%P차
https://news.v.daum.net/v/20220310095821822
안 후보와의 단일화 전 본지가 KSOI에 의뢰해 지난 4일 발표한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는 윤석열 44.4%, 이재명 43.7%로, 두 후보간 격차는 0.7%p인 것으로 나타났다.
들쑥날쑥 여론조사, 신뢰·정확도 의문..본지 마지막 조사는 尹-李 0.7%P차
https://news.v.daum.net/v/20220310095821822
안 후보와의 단일화 전 본지가 KSOI에 의뢰해 지난 4일 발표한 차기 대선후보 지지도는 윤석열 44.4%, 이재명 43.7%로, 두 후보간 격차는 0.7%p인 것으로 나타났다.
웰빙을 노래하다 단 2~3년 만에 '나만 아니면 돼!' 가 되었던게 15년 전이었는데,
자산가치를 부르짖다 조만간 삶의 질 하락을 걱정해야 할 때가 오고 있죠.
중산층 이상이야 살림살이 좀 팍팍해지는 정도겠지만, 중하층 이하로는 생존의 문제가 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최저임금 전선은 낙관적으로 보고 있고요. 안 올리면 사람이 죽을텐데요.
자산가치를 부르짖다 조만간 삶의 질 하락을 걱정해야 할 때가 오고 있죠.
중산층 이상이야 살림살이 좀 팍팍해지는 정도겠지만, 중하층 이하로는 생존의 문제가 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상대적으로 최저임금 전선은 낙관적으로 보고 있고요. 안 올리면 사람이 죽을텐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