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12/14 11:45:25 |
Name | 구글 고랭이 |
Subject | 윤석열 "아내 '이렇게까지 검증' 발언은 부적절..與, 선거개입" |
https://news.v.daum.net/v/20211214112223601 https://news.v.daum.net/v/20211214112945954 김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관련 의혹에 대해선 "작년에 경찰의 내사보고서가 언론에 공개됐는데 참 기가찰 노릇"이라고 말했다. 계좌 거래내역을 전부 공개하라는 의견에는 "말이 안된다"며 "이 사건의 단서가 됐던 부분에 대해 다 공개했고, 검찰이 1년 반 동안 계좌를 전부 열어봤다"며 "만약 시세 조정 공범 혐의가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경선 때 기소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씨의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학문적으로 표절이고 학위로 인정하기 곤란하다면 학위가 취소되어야 하고, 취소하기 전에 반납해야 한다. 그게 상식”이라면서도 “제 처에게 듣기로는 논문 요약에 ‘유지’를 ‘yuji’라고 표현 한 것에 과오가 있기는 하지만, 그 논문이 3D 관한 사실상 실험논문이기 때문에 누구 것을 베껴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표절이 학위를 취소할 만큼 과연 심하냐에 대해서는 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이 자율적으로 판단해서, (일반적으로) 표절률을 문제 삼는 건 20% 이상인데 그 정도 나와서 (논문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한다면 제 처의 성격상 스스로 반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준표가 주가조작 관련해 계좌 공개하라니까 의혹이 있는 시점이 아닌 엉뚱한 시점의 내역을 공개한 윤석열 https://kongcha.net/?b=34&n=26602 '윤석열 부인' 논문.."표절률 43%, 기사·블로그 짜깁기" https://news.v.daum.net/v/20210708201010997 윤석열이 이번에 언론인터뷰에서 자기 처와 관련하여 토론을 했습니다. 벌써부터 내로남불의 싹이 보이는군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구글 고랭이님의 최근 게시물
|
현미경으로 확대하면 "괴생물체"가 뭔가 보이긴 하겠죠 틀린 말은 안한듯 ㅋㅋ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6706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그저 맹물일 뿐이었는데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그 속에 수많은 생명체가 꿈틀대고 있었다. 크기는 매우 작아서 벼룩보다 적혈구보... 더 보기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6706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그저 맹물일 뿐이었는데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그 속에 수많은 생명체가 꿈틀대고 있었다. 크기는 매우 작아서 벼룩보다 적혈구보... 더 보기
현미경으로 확대하면 "괴생물체"가 뭔가 보이긴 하겠죠 틀린 말은 안한듯 ㅋㅋ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6706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그저 맹물일 뿐이었는데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그 속에 수많은 생명체가 꿈틀대고 있었다. 크기는 매우 작아서 벼룩보다 적혈구보다 훨씬 더 작았다. 고배율의 현미경이 아니면 확인할 수 없는 크기였다. 모양도 제각각이어서 길쭉한 막대형, 원형, 타원형 등등이었고 움직이는 방식도 다양했다.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하나의 또 다른 거대한 세상이었다. 레이후엔훅은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영국의 왕립학회에 서신으로 보냈다. 처음엔 왕립학회에서도 레이후엔훅의 발견을 믿지 못했다. 그러나 세포를 발견했던 로버트 훅이 직접 수차례 검증에 나서 레이후엔훅의 보고를 확인하기에 이른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36706
레이후엔훅의 가장 위대한 성과는 미생물을 발견한 것이다. 1670년대 어느 날 우연히 빗방울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다가 깜짝 놀랐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그저 맹물일 뿐이었는데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그 속에 수많은 생명체가 꿈틀대고 있었다. 크기는 매우 작아서 벼룩보다 적혈구보다 훨씬 더 작았다. 고배율의 현미경이 아니면 확인할 수 없는 크기였다. 모양도 제각각이어서 길쭉한 막대형, 원형, 타원형 등등이었고 움직이는 방식도 다양했다.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하나의 또 다른 거대한 세상이었다. 레이후엔훅은 자신이 발견한 내용을 영국의 왕립학회에 서신으로 보냈다. 처음엔 왕립학회에서도 레이후엔훅의 발견을 믿지 못했다. 그러나 세포를 발견했던 로버트 훅이 직접 수차례 검증에 나서 레이후엔훅의 보고를 확인하기에 이른다.
윤석열, 아내 '허위경력'에 "부분적으론 모르나 전체적 허위는 아냐"
https://news.v.daum.net/v/20211214115609131
개그콘서트가 망한 이유.news
https://news.v.daum.net/v/20211214115609131
개그콘서트가 망한 이유.news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