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1/02/17 12:52:24 |
Name | 이그나티우스 |
Subject | 공기업, 신규채용 30% 줄이고 퇴직자 자회사 재취업 2배로 |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02/17/KOQUBU6Z7FG6ZCXQQ56JMAXTN4/ 알리오 공시에 따르면 공기업 신규채용이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30% 감소했다고 합니다. 공공기관 전체의 경우에는 17.8%가 감소했고, 거기서 준정부기관과 기타공공기관을 뺀 순수 공기업만 보면 31.8%가 감소했습니다. 숫자로만 보면 공기업 채용인원은 19년 1만 1283명에서 20년 7690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기사에서는 기존 직원의 자회사 재취업 문제를 더 비중있게 비판하고 있는데, 자회사 재취업보다는 신규채용 급감이 더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사실 공기업 채용인원이 전체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건 사실인데 이제 대학을 졸업한지 5년도 넘었는데, 솔직히 제 주위를 둘러보면 대학을 나와서 정상적으로 취업을 한 사람들이 오히려 소수이고, 대학원에 가거나 시험공부를 하거나 아직도 취준을 하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상 대졸자/초대졸자/고졸자->직장인으로 이어지는 다리 자체가 끊어지는 느낌이고, 그냥 매달 월급받는 직장에 안착하는 케이스가 특이케이스, 잘 풀린 케이스인 것 같습니다. 청년실업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눈을 낮춰서 중소기업을 가야 한다.", "수도권만 고집하지 말고 지방으로 가야지.", "사무직을 하려고 하니 취업이 안 된다. 생산직이나 기술직으로 가라." 등등의 시대착오적인 코멘트가 꼭 달립니다. 아마도 높은 확률로 이 글에도 그런 댓글이 달릴 것 같기는 한데, 그런데 통계는 그런 이야기가 틀렸다는걸 보여줍니다. 2020년 기준으로 유효구인배율이 0.39를 기록했는데, 이건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이 100명이면, 일자리 개수는 39개밖에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구직자 100명 중 61명은 눈을 낮추거나, 지방으로 가거나, 생산직/기술직으로 돌려도 일자리를 구할 수 없다는 뜻이죠. 물론 코로나 충격이 있기는 했겠지만, 코로나가 없던 2019년에도 이미 유효구인배율은 0.49에 불과했기 때문에 코로나가 종료되어도 실업문제의 극적인 개선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청년실업은 단순히 실업자가 존재한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는게, 사회 초년생 시절에 이후의 커리어 형성에 도움이 되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채 저임금/비숙련 노동을 전전할 경우 이후에도 계속 그런 일자리에 머물면서 고용취약계층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그런 취약계층의 증가는 사회불안과 복지비용 상승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기성세대가 단순히 '어리석은' 청년세대를 비웃는 것으로 끝날 이야기는 아닙니다.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이그나티우스님의 최근 게시물
|
음... 공공기관직원 입장에서 말씀드리자면 이건 매우 복합적인데
1. 공공기관의 인건비와 TO는 기재부 관리사항으로 TO 한두개 늘리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님
2. 총액인건비제 하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건비가 전체적으로 급증하여 기재부에서 신규 TO에 매우 부정적
3. 출자회사로의 재취업이 직고용하던 직렬을 자회사로 업무를 이관하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차원에서) 된게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음
4. SoC 공기업의 경영합리화는 대 국민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직결될 가능성이 높고, 이미 경평 등에서 우수한 기관들은 뭘 더 어쩌란건지...
마 여튼 그정도 생각이 드는군요.
1. 공공기관의 인건비와 TO는 기재부 관리사항으로 TO 한두개 늘리기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님
2. 총액인건비제 하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건비가 전체적으로 급증하여 기재부에서 신규 TO에 매우 부정적
3. 출자회사로의 재취업이 직고용하던 직렬을 자회사로 업무를 이관하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차원에서) 된게 아닌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음
4. SoC 공기업의 경영합리화는 대 국민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직결될 가능성이 높고, 이미 경평 등에서 우수한 기관들은 뭘 더 어쩌란건지...
마 여튼 그정도 생각이 드는군요.
요즘 트렌드로는 스펙 좋으면 뭐해 회사에서 뭘 하는지 모르는데 회사에서 내가 어떻게 쓰일지를 고민하고 자소서에 담아야지! 경력자 입장에서 자소서 보면 왜 안 뽑혔는지 솔직히 알겠다 + 그러게 중고등학교때부터 부모님 선생님 말 잘듣고 시키는 공부 열심히 하지 말고 알아서 반항하고 살았어야지 반항 안한 니들 잘못이지 + 그러게 공기업 취업준비를 왜 하냐 남들 하는 거 그냥 따라서 하니까 그런 거 아니냐 정도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공기업 취준이 생각없이 대충 남들 따라하는 진로면 대체 뭐가 생각있는 진로인지 모르겠고(독립예술이라도 해야되나), 인턴 하나도 제대로 안하던 시절에 경력 쌓으신 분들이 인턴 서너개씩 하고 실무 강의까지 듣는 취준생들에게 대체 뭘 자랑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지만요.
대한민국에서 공기업 취준이 생각없이 대충 남들 따라하는 진로면 대체 뭐가 생각있는 진로인지 모르겠고(독립예술이라도 해야되나), 인턴 하나도 제대로 안하던 시절에 경력 쌓으신 분들이 인턴 서너개씩 하고 실무 강의까지 듣는 취준생들에게 대체 뭘 자랑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지만요.
같은 생각입니다.
의대나 공학계열의 일부 전공 등을 제외하면 사실 학부과정의 학생이 정규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것만으로는 기업체가 원하는 "즉시 투입 가능한 전력"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기업체가 엔트리 레벨의 지원자들에게 실무능력을 요구하고 싶다면 먼저 고교/대학과 연계하여 재학중인 학생들이 CO-OP이나 방학 중 인턴쉽 등으로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탁월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인턴 한번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학부과정의 졸업자들에게 실무능력 운운하는 것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 더 보기
의대나 공학계열의 일부 전공 등을 제외하면 사실 학부과정의 학생이 정규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것만으로는 기업체가 원하는 "즉시 투입 가능한 전력"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기업체가 엔트리 레벨의 지원자들에게 실무능력을 요구하고 싶다면 먼저 고교/대학과 연계하여 재학중인 학생들이 CO-OP이나 방학 중 인턴쉽 등으로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탁월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인턴 한번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학부과정의 졸업자들에게 실무능력 운운하는 것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 더 보기
같은 생각입니다.
의대나 공학계열의 일부 전공 등을 제외하면 사실 학부과정의 학생이 정규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것만으로는 기업체가 원하는 "즉시 투입 가능한 전력"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기업체가 엔트리 레벨의 지원자들에게 실무능력을 요구하고 싶다면 먼저 고교/대학과 연계하여 재학중인 학생들이 CO-OP이나 방학 중 인턴쉽 등으로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탁월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인턴 한번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학부과정의 졸업자들에게 실무능력 운운하는 것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으로밖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물론 그래봤자 일자리의 절대량 자체가 부족해서 결국에는 자리뺏기 싸움으로 귀결되겠지만.)
이런 상황에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공무원/공기업 준비를 하게 된 학생들에게 "부모 용돈 타 쓰는 주제에.", "위험한 길을 선택한 것은 너희들 책임.", "남들 하는 것 따라하기만 하니 그모양이지." 식의 손가락질을 하는 것은... 참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습니다. 말하는 것은 개인 자유지만 너무 잔인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의대나 공학계열의 일부 전공 등을 제외하면 사실 학부과정의 학생이 정규 교과과정을 이수하는 것만으로는 기업체가 원하는 "즉시 투입 가능한 전력"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기업체가 엔트리 레벨의 지원자들에게 실무능력을 요구하고 싶다면 먼저 고교/대학과 연계하여 재학중인 학생들이 CO-OP이나 방학 중 인턴쉽 등으로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탁월한 극소수를 제외하면 인턴 한번 하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학부과정의 졸업자들에게 실무능력 운운하는 것은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으로밖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물론 그래봤자 일자리의 절대량 자체가 부족해서 결국에는 자리뺏기 싸움으로 귀결되겠지만.)
이런 상황에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공무원/공기업 준비를 하게 된 학생들에게 "부모 용돈 타 쓰는 주제에.", "위험한 길을 선택한 것은 너희들 책임.", "남들 하는 것 따라하기만 하니 그모양이지." 식의 손가락질을 하는 것은... 참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습니다. 말하는 것은 개인 자유지만 너무 잔인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위에서 여러분들이 설명해주신것처럼 공기업 및 공공기관의 인건비와 TO 모두를 기재부가 틀어쥐고 있어서(그리고 전혀 늘려주지 않기 때문에) 일선 현장에서 인력부족을 느낀다 한들 실제 신규 채용 증가와 연결되기 매우 어렵습니다. 게다가 자회사 및 공무직 전환 이슈도 있죠.
거기에 눈에띄는 신규채용 수치 감소에는 지난 몇년간(13~18년도 정도) 총액인건비 자체의 증가없이 임금피크제 등으로 만들어낸 인건비 여력으로 꽤 큰 규모의 신규채용을 지속해온 후유증도 있을것입니다.
공공기관에 있다보면 우리나라 기재부는 정말로 딱딱한 재질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거기에 눈에띄는 신규채용 수치 감소에는 지난 몇년간(13~18년도 정도) 총액인건비 자체의 증가없이 임금피크제 등으로 만들어낸 인건비 여력으로 꽤 큰 규모의 신규채용을 지속해온 후유증도 있을것입니다.
공공기관에 있다보면 우리나라 기재부는 정말로 딱딱한 재질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사기업 다니는데... 차부장급의 직원 자회사 재취업은 회사나 개인이나 실보다 득이 더 많습니다.
저희 회사도 자회사가 6개 정도 되는데, 회사 부장급이 자회사로 가면 사장으로, 차장이 가면 이사급으로 갑니다. 임기가 2년이니 2년마다 부장 6명, 차장 6명을 내보낼 수 있는거죠. 임원 달기는 어려운 고참 부장을 정년까지 데리고 있느냐, 아니면 압박넣어서 내쫒느냐 보다는 자회사 사장으로 가서 2년 임기 하고 하는거 봐서 갱신도 해줄게.. 하고 순순히(?) 내보내야 아래 사람들이 승진도 하고 팀장도 되고, 빠지는 인원만큼 충원도 하고 그러는거죠.
저희 고참 부장들중 임원은 어렵겠다 싶은 분들은 협력사 사장님들 임기 만료 되면 그 자리 노립니다.
이것도 어느정도 인정 받고 타이밍도 좋아야 가는거지, 못가는 사람이 더 많죠...
저희 회사도 자회사가 6개 정도 되는데, 회사 부장급이 자회사로 가면 사장으로, 차장이 가면 이사급으로 갑니다. 임기가 2년이니 2년마다 부장 6명, 차장 6명을 내보낼 수 있는거죠. 임원 달기는 어려운 고참 부장을 정년까지 데리고 있느냐, 아니면 압박넣어서 내쫒느냐 보다는 자회사 사장으로 가서 2년 임기 하고 하는거 봐서 갱신도 해줄게.. 하고 순순히(?) 내보내야 아래 사람들이 승진도 하고 팀장도 되고, 빠지는 인원만큼 충원도 하고 그러는거죠.
저희 고참 부장들중 임원은 어렵겠다 싶은 분들은 협력사 사장님들 임기 만료 되면 그 자리 노립니다.
이것도 어느정도 인정 받고 타이밍도 좋아야 가는거지, 못가는 사람이 더 많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