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18/08/27 09:37:28
Name   뒷장
Subject   빈곤층 울린 '소득주도성장'… 1인가구 포함 땐 더 낙제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82451351#Redyho

가계소득동향에 1인 가구가 빠져있는 건 모르는 사람이 많죠. 비중이 가장 높고 취약성도 높은데말이죠.



0


경제라는 것은 항상 주어가 가장 중요하지요.
경제가 힘들다는데 누구한테 힘든 것이냐..

커뮤니티에서 일부 네티즌들이 요새 "한국 성장률 2.9퍼는 결코 나쁘지않은 수치고 수출도 코스피도 나쁘지 않다. 경제 힘들다는 건 전부 자한당조중동한경매경일베의 프레임이다"라고 하는거 꽤 재밌습니다. ㅋㅋ 앞문장은 맞는데 뒷문장은 흠..
1
프레임을 씌우려는 모습은 충분히 보이던데요 ㅎㅎㅎㅎ
만악의 근원까지야 아니겠지만서도, 애쓰는 모습은 그야말로 약겨울 지경인데요 뭐.
망무새들은 문통 취임 첫날때부터 계속 나라망한다고 고사를 지냈는데, 그렇다면 첫해엔 전혀 먹히지 않던 언론의 프레임이 왜 요즘은 먹히는가를 높으신 분들이 생각해봐야지요. 결국 프레임과 별개로 사람들의 체감경기가 안좋아서 그런거겠죠.
1
뭐 골대 맞추다 보면 골 들어갈 때도 있으니까요.

체감 경기가 정말 안좋은지 아니면 체감 경기가 안좋다는 말이 잘 먹히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명박 때도 박근혜 때도 지금보다 더 체감 경기가 안좋을 때도 많았는데 요즘 그거 조금 떨어졌다고 엄청나게 물어 뜯으니 사람들이 속는거 같은데, 요즘 들어 mb-근혜 정부때 기사들을 다시 읽어보면 그야말로 기가 찹니다 ㅋㅋㅋ 말 그대로 아전인수 / 침소봉대라서요.

정부가 정상적으로 정책활동을 하고 있고 경기 변동폭은 자유 시장경제체제인 이상 정부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 더 보기
뭐 골대 맞추다 보면 골 들어갈 때도 있으니까요.

체감 경기가 정말 안좋은지 아니면 체감 경기가 안좋다는 말이 잘 먹히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명박 때도 박근혜 때도 지금보다 더 체감 경기가 안좋을 때도 많았는데 요즘 그거 조금 떨어졌다고 엄청나게 물어 뜯으니 사람들이 속는거 같은데, 요즘 들어 mb-근혜 정부때 기사들을 다시 읽어보면 그야말로 기가 찹니다 ㅋㅋㅋ 말 그대로 아전인수 / 침소봉대라서요.

정부가 정상적으로 정책활동을 하고 있고 경기 변동폭은 자유 시장경제체제인 이상 정부가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는데 무슨 하나부터 열까지 다 정부 탓을 하니 ㅋㅋ 우스울 노릇이죠. 지금 만약 MB 처럼 사대강 하고 자원외교 한다고 싸돌아 다니면 무슨 기사가 나올지 뻔하죠. 그런 언론들이 문정부의 경제정책 실패를 논한다? 글쎄요. 얼마나 믿어줘야 하나요?
제가 언론의 영향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하는 것일수도 있습니다만, 근년간 지지율은 결국 언론과 별개로 체감경기 따라가는 것 같습니다. 박근혜는 순실게이트 이전 언론들의 집단 호위를 받았지만 16 총선에서 무기력하게 참패했으니까요.
1
찾아보니 새누리당 내홍/분열 때문이기도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는 ‘가계 부채 상승, 청년층의 고실업률 등 경제정책 실패’ 를 1순위 이유로 꼽고 있군요. 말씀대로 체감경기를 따라간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유야 어쨌든 문정부도 이제는 고민해야 할 때가 오긴 했네요. 이쯤해서 필살기 안 쓰면 총선 망할지도 모르겠군요.
소득 주도 성장 때문이 맞긴 맞는건가요? 원인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데요.
타이틀 기가막히게 잘 뽑았네요. 보니까 역시 한경 ㅋㅋㅋ

웃고 갑니다.
전 안 웃긴데 ㅠㅠ
왜냐면 1인가구는 제외되는지 몰랐거든요.
뭐 사람 죽은걸로 구라치는 한경 기사인데 안 웃을 수가요.

말씀 드렸다시피 수치 자체는 팩트죠. 안좋은 현상인거 맞고요. 근데 타이틀을 ‘빈곤층 울린 소득 주도 성장’ 으로 뽑은건 정말 저열한거죠. 그렇게 타이틀을 뽑았으면 둘의 상관 관계를 논리적으로 분석이라도 해놓든가요.
퓨질리어
역시 한경 답네요 ㅋㅋㅋ
https://www.kihasa.re.kr/web/news/report/view.do?menuId=20&tid=51&bid=79&ano=10731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분배를 더 악화시켰다는 일각의 주장과 관련해서는 대다수의 참석자들이 고개를 저었다. 토론자로 나선 조영철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 때문에 1분위 가구의 소득이 저하됐다는 주장은 논거가 취약하다”며 “소득수준이 제일 낮은 1분위를 보면 70대 이상 고령인구 가구가 급속하게 증가했는데 이들은 대다수가 무직으로 최저임금을 10% 올리든 20% 올리든 상관없는 분들”이라고 지적했다.]
퓨질리어
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노인 가구의 소득을 보장하는 정책이 필요하고,
상위 계층의 소득 증가가 문제이므로 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이 요구된다는 취지로 결론을 맺고 있는데
마치 소득주도성장을 성토하는 통계인 것 마냥 포장을 했네요 ㅋㅋㅋ
탐라에 글 쓰신거 보고 여기에 복붙하려고 왔더니 이미 달아놓으셨군요 ㅋㅋ
켈로그김
난 언제쯤 안심하고 문정부를 욕할 수 있을 것인가(...)
1
오마이갓 제가 본문에도 썼듯이 이 기사를 가져 온 이유는 [가계소득동향에 1인가구는 포함되지 않는다]를 말하고 싶어서였어요.

여기서 1분위소득이 어떻고 등등을 말하고자 했다면 이 기사를 가져오지 않았을 거 같네요. 것에 관해 읽을만한기사는 천지삐끼리인데...

그래서 굳이 따지자면 이 기사는 문정부만 찝어서 까는 것도 아니에요.

지금까지 어떤 정부도 1인가구를 통계에 포함한 경우는 없으니 비교대상이 없잖아요?

그런데 까놓고 생각해야할 건 이런 내용의 기사는 진보매체... 더 보기
오마이갓 제가 본문에도 썼듯이 이 기사를 가져 온 이유는 [가계소득동향에 1인가구는 포함되지 않는다]를 말하고 싶어서였어요.

여기서 1분위소득이 어떻고 등등을 말하고자 했다면 이 기사를 가져오지 않았을 거 같네요. 것에 관해 읽을만한기사는 천지삐끼리인데...

그래서 굳이 따지자면 이 기사는 문정부만 찝어서 까는 것도 아니에요.

지금까지 어떤 정부도 1인가구를 통계에 포함한 경우는 없으니 비교대상이 없잖아요?

그런데 까놓고 생각해야할 건 이런 내용의 기사는 진보매체(그런 게 있는지도 모르겠지만)에서 먼저 다뤄볼만한 내용 아닌가요?

그래서 전체 가구수의 30프로에 육박하는 1인가구가 통계에서 제외되고 있는 게 문제라는 생각은 안 드시나요? 앞으로 그 비중은 더 커질거라고 보는데요.
정확히 어떤 의미로 누구를 향해 쓰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좀 ㅉㅈ] 이라는 표현은 그 자체로 과하게 공격적이고 이 글을 읽는 회원 모두에 대한 무례인 것 같습니다.

공격적인 표현에 대해 시정권고 드리니 주의 부탁드립니다.
네 지우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29525 4
38877 게임한화생명·T1>젠지>디플러스 기아>KT?, 규모의 싸움 ‘쩐(錢)’ 쓴 한화생명이 증명했다 3 swear 24/09/19 1113 0
38876 사회끝까지 기록 찍고 물러나는 더위…20일부턴 전국 '많고 거센 비' 7 the 24/09/19 1242 0
38875 경제"월 50만원 부으면 5년 뒤 4027만원"…中企 재직자 저축공제 나온다 8 Groot 24/09/19 1454 0
38874 스포츠‘대시’ 이대성, 십자인대 파열…시즌아웃 위기 1 danielbard 24/09/19 1040 0
38873 정치(단독)"대통령과 여사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영선 발표" 24 매뉴물있뉴 24/09/19 1942 0
38872 정치"군, '훈련병 얼차려 사망' 수사자료 고의 파기"…충격 폭로 5 활활태워라 24/09/18 1585 0
38871 국제헤즈볼라 호출기 동시 폭발…8명 사망·2750명 부상(종합) 15 다군 24/09/18 3571 0
38870 정치윤 대통령 15사단 방문…“전투식량·통조림 충분히 보급하라” 23 알탈 24/09/17 2061 0
38869 정치윤석열 정부의 모순된 ‘노동약자’ 프레임 3 오호라 24/09/17 1197 1
38868 사회내년 고교 무상교육 없어지나…중앙정부 예산 99% 깎여 6 야얌 24/09/17 2072 0
38867 사회아버지의 결단, 어느날 달라진 제사....기리는 마음이 중요한 것 6 swear 24/09/17 1646 0
38866 국제저체중 추세가 우려되는 선진국 일본 42 오호라 24/09/16 3635 1
38865 정치코레일 암울한 미래… 달릴수록 ‘부채 늪’ 무려 21.3조 21 야얌 24/09/16 2044 1
38864 국제제2차 트럼프 암살 시도 발생 7 공무원 24/09/16 2409 0
38863 사회신장 이식받은 남편, 기증한 아내…이들의 ‘삶’ swear 24/09/15 1443 1
38862 기타매직펜으로 일기도 그리던 '날씨 아저씨'…김동완씨 별세(종합2보) 1 다군 24/09/15 1384 0
38861 스포츠기금을 개인연금에…? 돈관리 손놓은 대한체육회 1 swear 24/09/15 1327 0
38859 기타내가 죽으면 게임 계정 어떻게?…기업마다 천차만별 2 다군 24/09/14 1481 0
38858 정치[한일비전포럼]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3 dolmusa 24/09/14 1173 0
38857 IT/컴퓨터손님 폰으로 자신에게 카톡 선물하기 한 대리점 직원 6 whenyouinRome... 24/09/13 1938 1
38856 IT/컴퓨터미 FDA,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승인 5 아란 24/09/13 1505 1
38855 정치“대통령실 이전, 방탄창호 15.7억 빼돌려” 감사원 적발 14 SOP 24/09/13 1962 0
38854 게임'스카웃' 이예찬, 롤드컵 못 갈 수 있다 11 swear 24/09/12 1730 0
38853 경제현대차·美 GM, 승용·상용차 공동으로 개발·생산한다 9 다군 24/09/12 140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