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12/08 02:32:11
Name   hojai
Subject   디지털 경제는 '암호화폐'로 실체화 된걸까? <3>
(이글은 코인 투자론이 아니고요)

과연 '경제적 실체'란 무엇일까?
에 대한 스스로 고민을 담고자 하는 글입니다.

비즈니스 하시는 분들도 끊임없이 고민하시는 분야이고 사실 학자들의 고민도 그것입니다.
기업의 생성 연원은 무엇이고 그 가치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국가는 왜 만들어졌는가? 화폐란 무엇인가? 국가는 거래의 어느 수준까지 책임질 수 있는 것일까?  

기업을 하시는 분들은 잘 아시지만, 기업이란 철저하게 '토지'와 '영토'의 관점에서 국가의 철저한 감시에 놓입니다. 회사 설립 한번 하려면 등기소와 세무소를 밥먹듯이 들락거려야 합니다. 물건을 사고 팔면 기업은 부가세를 내야 하죠. 통장을 만들어도 개인이 거래할때와는 차원이 다른 감시를 받습니다. 그렇다고 법적인 땅과 등기권이 기업의 전부는 아닙니다. 실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재화' '서비스'를 만들어서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가능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경쟁자와 전혀 다른 차원의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죠. 전략도 필요하고, 또한 노하우를 가진 직원들도 필요합니다. 경영학에서는 이러한 전체적인 비즈니스 플로우와 전략 시스템, 심지어 브랜드까지 한 묶음으로 엮여 "실체"가 있다고 평가받기도 하지만, 글쎄요, 그것은 순전히 학자들의 입장이고요. 일반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전혀 그런 모든 것을 고려해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를 평가하지 못하죠. 겨우, 회계 장부상에 드러나는 매출과 지출의 관점에서 '이익' 정도를 간신히 따라 잡는게 전부일 뿐입니다.

사실 비트코인의 발명은 '블록체인'의 혁신성이 충격적이라기 보다는
워낙 초국가적인 모험적, 반국가적 성향이 짙었다는 점이죠.
실제 코인업계 내부에서도 "금지당하면 어쩌지?"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정말, 정말이지 높았습니다.
그래서 올 9월에 중국에서 비트코인 금지, 뉴스가 나왔을 때 200만원 대 후반으로 추락하기도 했었죠
지난 4~5년 간 주류 언론이 폈던 시각 역시 마찬가지구요.

"코인은 마약거래, 해킹 수금을 위한 블랙 화폐일 뿐"
"정부 강력히 단속하고, 필요하면 세금 걷어야"

여기서 중요한 가치 판단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비트코인은 지난 20년간 반복됐던 '경제적 실체'가 있는 물건이냐? 아니냐? 가 바로 그것입니다.
제게 비트코인을 물어보신 분들의 대부분의 질문의 초점은 "실체" 입니다.

실체의 본연적 의미는 "(투자에 대한) 법적인, 혹은 실체적 보호를 받을 수가 있는가?"
에 모아집니다.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는 이유는 은행이 예금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기 때문이고
우리가 주식을 사고 채권을 사는 이유는,
사실상 기업을 챙기는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그리고 정부와 금융권이 적어도 거래되는 주식에 대해서는
실체적인 가치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죠. 여기까지는 우리가 경험을 통해서 1~2% 의 위험이 있더라도 신뢰를 하게 됩니다.

문제는 암호화 화폐들은 국가 개념에 정면으로 대항하는 무국적, 기술 기반의, 상호협력하는 시스템이 전부인
그야말로 인터넷 베이스드 '비즈니스 모델'이 사실상 가치의 전부라는 얘기입니다.
이것을 믿고 투자를 한다고 하니,
상식을 가진 현대인의 입장에서는 도저히 이해를 할 수가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지난 20년간 돈을 가진 아주 많은 분들은
끊임없이 강남 부동산에 투자를 합니다. 사실상 확률이 높거든요.
끊임없이 삼성전자에 투자를 하지요. ROI 라는 뚜렷한 지표가 있거든요.

"암호화 화폐는 화폐로서 기능할 수 없고, 사실상 튤립 투기와 같다" 라는 시각이 나오는 것을
당연히 우리는 온 몸으로 이해하고 있지요.
그 누구도 아직 그것을 증명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1


    유리소년
    일단 지금 재산은닉의 기능은 충실히 하는 것으로 보이네요. 금이랑 비슷한 성격의 투자재라고 해야하나.. 무게도 안잡아먹고 송금도 훨씬 빠르고 거래내역리스크도 빗코인 보유자 전부가 나눠 짊어지는 금이죠.
    재산 은닉 안됩니다. 마음만 먹으면 거의 정확하게 다 밝혀낼 수가 있는게 암호화 화폐입니다.
    세금 추징하려면 다 하죠. 문제는 아직은 그럴 분위기는 아니라는 거구요. 결국 조만간 다 됩니다.
    국가가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해외로 송금해도 결국은 다 찾아낼 수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거래하려면 결국 신분증 다 제출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39 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19 + 당근매니아 25/05/08 1103 20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313 17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602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583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40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729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669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573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555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297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184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510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796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74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37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39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80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82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54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73 28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1715 38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22 25/04/29 786 8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436 2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5 당근매니아 25/04/28 1013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