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05 06:56:26
Name   은머리
Subject   백인으로 산다는 것
https://youtu.be/-VgLOAxq9xw
Deserving


John Green은 소설가이자 비디오블로거 또는 vlogger입니다. 새책을 출판하며 이 모든 결과물이, 자신이 부유한 미국에서 태어나고 백인이며 게다가 남성이라는 운좋은 혜택 덕에 생겨난 일이지 자신이 잘 나서 이뤄 낸 결과물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해요. 그의 겸손에 편승해 본다면 영어가 모국어인 사실만 해도 엄청난 혜택이긴 하죠. 내용이 대충 그렇단 말씀이고 영상을 보실 필요까지는 없어요. 다 영어;;

https://youtu.be/6CmzT4OV-w0
Louis CK-Being White


루이스 CK는 백인남성으로 태어나서 '존나' 좋다는 예찬을 잔뜩 늘어놓으며 인종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을 역설적인 방법으로 유쾌하게 풀어내고 있어요. 특히 'I'm a white man. You can't even hurt my feeling!'이란 대사는 정말 센스있고 우리의 감성을 훅 치고 들어오는 데가 있어요.

https://www.gofundme.com/put-allie-in-college-fight-racism



사진에 나오는 백인여자아이는 보수적이고 보통 레드넥 스테이트로 통하는 테네시에 있는 사립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부유한 가정의 고등학생이에요. 고등학교 교내에서 들을 수 있는 5과목의 대학교양수업을 미리 수강해 듣기도 하고(AP courses) 학점도 훌륭한 모범생이죠. 그리고 그만큼 공부에 대한 열정도 대단합니다. 옆에 있는 흑인친구는 남친이에요. 일 년 전 쯤 부모님에게 흑인남친에 대해 알려드렸더니 뭐라고 말을 꺼내기도 전에 사진을 보여주자마자 대화는 단절되고 당장 헤어지라는 불호령이 떨어졌죠. 남친과 함께 다시 부모를 대면해 보았지만 결국 한 달 전 부모님은 딸에게 학비 지원을 일절 않겠다 선언했어요. 아이는 각종 장학금을 신청해 보기도 했지만 학비를 감당하려면 일 년에 만불은 있어야 하는데 차도 없어 일을 못하니 역부족이죠. 그래서 크라우드펀딩 웹사이트인 gofundme에 사연을 게시 해 학비를 모금 중이에요. 10만불(대략 1억 천만원)이 목표금액이고 현재 36000불이 넘는 금액이 모였네요.

저거 보는데 '아~감동이다'란 느낌은 없고 백인으로 태어나면 흑인을 남친으로 고수하는 따위도 하나의 서사를 만들어내고 수만불을 끌어모으기도 하단 생각에 이르렀어요. 참고로 미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4년제 대학에 바로 입학하는 이들은 전국에서 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보통 각자의 사정 때문에 시간을 두고 대학을 가게 되죠. 백인으로 산다는 것, 무엇으로도 뒤집어지지 않는 피부색의 혜택이 묘하게 서늘하게 다가오는 사연이네요.




7
  • 춫천


1일3똥
무엇으로도 뒤집어지지 않는 혜택 이란 말에 공감합니다.
은머리
요즘 트럼프와 변함없는 그의 지지자들의 행태는 정말 못돼처먹었단 말밖엔...
미국에서 백인으로 사는건 상류층에 태어난것만큼의 축복이죠. 거기다 백인 상류층이면 ㄷㄷㄷ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홍차넷이라 줄이겠습니다 ㅋㅋ
은머리
그래도 소위 미국의 백인엘리트들이 privilege를 privilege다라고 인정하곤 하던 목소리들이 가치중심에 있단 믿음이 있었는데 트럼프가 득세하고 나서 진짜 짜증 많이 나요...
트럼프가 당선되서 그런 사람들이 갑자기 생겨난것도 아니고 그러려니 생각합니다.
미국은 원래부터 양면성이 존재해왔고 트럼프는 결과지 원인이 아니거든요.
트럼프가 망해서 4년뒤 지지자들은 그냥 입닥하고 조용히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백인+남성+영어모국어는 진짜 최ㅣㅣㅣㅣㅣㅣㅣㅣ소한 인생 60%는 먹고 들어가는 것 같아요 ㅋㅋ
거기다 미국국적이면 80%, 거기다 또 상류층이면 95%이상은 그냥 살아지는 것? ㅋㅋㅋㅋ

그래서 제가 그들에게 열폭하는 것도 있는 것 같아요. 인종관계없이 그냥 미국국적에 대해 열폭하는게 제일 크지만요 ㅋㅋ
인생치트키 다 가졌으면서... 진짜 노력 요오오오만큼만 해도 인생 필텐데
당장 편하고 싶어서 그거 안하고 발전 없이 그날이 그날로 사는 애들 보면 정말 화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미국국적 그렇게 쓸거면 나나줘라.. 하는 소... 더 보기
백인+남성+영어모국어는 진짜 최ㅣㅣㅣㅣㅣㅣㅣㅣ소한 인생 60%는 먹고 들어가는 것 같아요 ㅋㅋ
거기다 미국국적이면 80%, 거기다 또 상류층이면 95%이상은 그냥 살아지는 것? ㅋㅋㅋㅋ

그래서 제가 그들에게 열폭하는 것도 있는 것 같아요. 인종관계없이 그냥 미국국적에 대해 열폭하는게 제일 크지만요 ㅋㅋ
인생치트키 다 가졌으면서... 진짜 노력 요오오오만큼만 해도 인생 필텐데
당장 편하고 싶어서 그거 안하고 발전 없이 그날이 그날로 사는 애들 보면 정말 화나요 ㅋㅋㅋㅋㅋㅋㅋㅋ
미국국적 그렇게 쓸거면 나나줘라.. 하는 소리가 목구멍까지 올라옵니당.
근데 이런 시선도 편견이겠죠 :/ 지네 나름대로 뭐 힘든 점도 있겠고... 하지만 짜증나는 건 사실이에요 ㅋㅋ
은머리
머.. 인생 거저 사는거져!
열심히 살지 않아도 생존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동기부여의 문제라 화내실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열심히 해도 미국은 socioeconomic ladder를 올라가기는 힘든 사회라 그런 측면도 있구요.
Rosinante
너무 짜증내지마세요. 한국에서 열심히 공장다니는 제3국 노동자가 잉여롭게 사는 저에게 '그렇게 살거면 한국 시민권 내놔라'라고 말하면 얼마나 황당하겠어요.
그렇게 황당하니까 열폭이죠 ㅋㅋㅋㅋㅋ 입 밖으로 낸 적은 없어요 ㅋㅋㅋ 뭔가 억울하지만 뭐 운으로 그렇게 국적뽑기(?)가 그렇게 된걸 어쩌겠어여 ㅋㅋㅋㅋㅋㅋㅋㅋ
사나남편
미국에서 한국 국적의 덩치좋고 몸좋는 호남형 남자또한 좋더만요...
베누진A
사람들 다 마찬가지에요 ㅋㅋ 우리 모두는 그 어떤 다른 일부의 누군가가 입지 못하는 혜택을 "그냥 우연히" 입고 있으면서도 그 고마움을 모르고, 그걸 당연하게 여기거나 혹은 자기 자신을 우쭐거리게 하는 데에 쓰는 데에 그치거나 뭐 그렇죠.

저는 지금까지의 인생의 1/3을 병 때문에 시름시름 앓던 저로서는, "그저 건강하게 사는 것" 자체가 엄청난 특권이었답니다.
은머리
건강이 최고죠. 몸도 마음도 건강, 언제나 건강하시기를..
베누진A
그런데 이건 너무 "특권"의 기준을 낮게 잡은 것 같긴 해요 ㅋㅋ 인간이라면 당연히 누려야 하는 것을.. 하지만 전세계에 전쟁, 범죄, 가난, 질병 등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들이 전세계 인구의 몇%나 될까, 생각하면 이 현실이 너무 슬퍼지는 거죠.
Rosinante
글 잘 읽었습니다. 아래 영상은 대선 전 트럼프 지지자들에게 트럼프 사상 테스트를 한 코미디센트럴 영상인데, 정말 웃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4Zdx97A63s
Putting Donald Trump Supporters Through an Ideology Test: The Daily Show
은머리
ㅋㅋㅋ 재밌네요 ㅋ
O Happy Dagger
https://www.youtube.com/watch?v=YbVFy7nx88Q
Janis Ian-Society's Child (1967)


Come to my door, baby
Face is clean and shining black as night
My mother went to answer
You know that you looked so fine

Now, I could understand your tears and your shame
She called you 'Boy' instead of your name
When she wouldn't let you inside
When she turned and said, "But honey, he's not our kind"

She says I can't see you any more, baby
Can't see you anymore
은머리
가사내용이 꼭 맞는데다 노래도 좋아요.
O Happy Dagger
저때보다는 조금 나아지지 않았나 싶기는 한데... 요즘 돌아가는걸 보면 어찌될지 모르겠네요.
루이 CK 짱이에요. 천박한 발언만 늘어놓는 거 같지만 은연중에 깊숙하게 찔러오는 맛이 있죠.
은머리
종합예술의 정수는 유머인 것 같아요. 인간을 웃게 하는 건 카타르시스처럼 터지는 찰나의 희열을 끌어내는 작업이고 휘발성이 강해서 붙잡아 두기 여간 힘든 것이 아닌데 미국의 스탠딩 코미디는, 실은 그네들은 같은 이야기를 반복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매번 상당한 만족감을 줘요. 이건 고도의 기술인데 선천적이지 않으면 안될 거예요. 천재만이 할 수 있는..
https://www.youtube.com/watch?v=ufdvYrTeTuU
How Louis CK Tells A Joke
Rosinante
스탠드업 코미디언들의 팟캐스트를 자주 듣는데, 그들이야 말로 노력의 반복이라고 스스로들 말합니다.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다고, 끊임없이 대본을 쓰고 연구하고 무엇보다 많이 실패해봐야 한다고 해요. 물론 타고난것도 없진 않겠지만,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게 가장 큰 덕목이라고들 말합니다. ^^
은머리
오 그런가요. 저런 것도 노력하면 되는군요!
파란아게하
럭키루이 저도 좋아합니다.
저도 나중에 저런 코미디를 할 거여용
춫천
은머리
루이 완전 천재.
춫천충은 춫천.
뒷맛이 깔끔하지 않은 에피소드예요... 사진 후방에서 '싸우자!' 하는 표정으로 버티고 선 파란 옷 아짐이 혹시 엄만가.
4년제 현역 입학이 5%라니 처음 알았어요. 숫자의 충격이네요.
은머리
입학률 타임라인에 올린 적 있는데 그 때 모이라 님이 놀라운 비율이라고 댓글 다셨었어요 ㅎㅎㅎ.
아쿠 머릿속 청소세포가 또 시키지 않은 거까지 청소해부러 ㅋㅋㅋ
barable
물론 미국은 기회의 땅이고 미국인들은 더 많은 기회를 가지고 있으며 백인은 특권이죠. 그러나 텍사스의 갤버스턴같은 도시에서 백인 남성으로 태어나겠냐고 묻는다면 전 그냥 한국의 시골 촌구석에서 태어나면 안되냐고 반문할 것 같습니다. 그런 곳에서 백인으로 태어난 사람들이 조금만 열심히해도 인생이 잘풀릴 것 같지는 않아요.
은머리
말씀 잘 하셨어요. 그렇잖아도 무조건 백인을 원망하는 것 같아 보여서 아주 살짝쿵 '글을 잘못 썼나' 싶었거든요. 영상 두 개는 트럼프가 백악관 입성하기 전에 제가 느꼈던, 미국의 주류가치가 백인 스스로 백인으로서의 특권을 인정함으로써 불평등을 부각시켜 그걸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어요. 그냥 미국생활 하면서 그런 가치의 보호를 '나름' 받고 산단 느낌인 이유의 예를 든 것인데 요즘은 미국이 어쩌려고 이러나란 생각이 많이 들어요. 물론 각종 차별의식은 누가 지도자로 등극하면서 갑자기 촉발하는 것은 아니나 인간의 도덕이란 순수... 더 보기
말씀 잘 하셨어요. 그렇잖아도 무조건 백인을 원망하는 것 같아 보여서 아주 살짝쿵 '글을 잘못 썼나' 싶었거든요. 영상 두 개는 트럼프가 백악관 입성하기 전에 제가 느꼈던, 미국의 주류가치가 백인 스스로 백인으로서의 특권을 인정함으로써 불평등을 부각시켜 그걸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어요. 그냥 미국생활 하면서 그런 가치의 보호를 '나름' 받고 산단 느낌인 이유의 예를 든 것인데 요즘은 미국이 어쩌려고 이러나란 생각이 많이 들어요. 물론 각종 차별의식은 누가 지도자로 등극하면서 갑자기 촉발하는 것은 아니나 인간의 도덕이란 순수하게 도덕적이면서 유지되기보다, 많은 부분 모두들 시침을 떼고 도덕적인 척, 방향키를 쥐고 걸음이 틀어질까 조심하며 나아간단 생각이에요. 그런데 행정부수장이며 그 지지자들이 가드를 완전 놓고 PC를 파괴해 버리니 정말 당황스러워요.

그리고 '조금만 열심히 해도 인생이 잘 풀릴 것 같지 않은' 백인들의 많은 숫자가 트럼프를 지지했는데 미국의 경제문제는 이민지가 아닌 금융권이 망친 것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화살을 엉뚱한 곳으로 돌리고 공격하고 있으니 그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아웃 어브 안중이 돼버렸어요. 전 트럼프가 당선되리라곤 정말 상상도 못했지만 막상 그가 대통령이 되자 트럼프 자신은 고약한 나르시시시트일지 모르나 멀쩡한 참모들도 많을테니 약간은 '나름 무난하게 하겠지 뭐'란 기대를 하기도 했어요. 그런데 완전 최악이에요 ㅠㅠ.
마르코폴로
모든 경상도 사람에게 해당하진 않지만, tk성골 같은게 한국사회에도 존재해요. 미국과 비슷한 것 같아요.
은머리
정치적으로 호남비하를 일삼음으로써 영남지역주의를 살찌우려 꾀하는 이들이 tk성골쯤 되겠네요. 호남이 빨갱이소굴이라야 기득권이 유지되는 집단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72 일상/생각옛기억, 반성, 기록 6 로오서 17/02/15 3328 0
4871 일상/생각[벙개후기] 어제 만났던 분들 44 와이 17/02/15 4332 11
4870 일상/생각나 이런 여잔데 괜찮아요? 33 진준 17/02/15 5697 6
4869 일상/생각연애 편지 14 Toby 17/02/15 4764 20
4863 일상/생각발렌타인데이에 관한 짧은 썰 11 열대어 17/02/14 4815 3
4857 일상/생각내 동생 쫀든쫀득 13 님니리님님 17/02/12 5149 15
4852 일상/생각글이 너무 깁니다. 티타임 게시판에 쓸까요? 5 알료사 17/02/12 3555 0
4844 일상/생각어렸을 때 사진 몇장 투척합니다 12 와이 17/02/11 4373 6
4843 일상/생각짝사랑 하면서 들었던 노래들 1 비익조 17/02/11 3703 0
4835 일상/생각다큐 - 질량을 살아내는 사람들의 이야기 5 깊은잠 17/02/11 3985 1
4834 일상/생각불성실한 짝사랑에 관한 기억 (2) 6 새벽3시 17/02/11 4102 7
4833 일상/생각살아온 이야기 24 기쁨평안 17/02/11 4880 29
4815 일상/생각엄마. 16 줄리엣 17/02/09 5040 25
4807 일상/생각피아노를 팔았습니다. 7 집정관 17/02/08 4889 0
4802 일상/생각조금 달리 생각해보기. 9 tannenbaum 17/02/07 5730 6
4795 일상/생각상담하시는 코치님을 만났습니다. 3 Toby 17/02/07 5062 8
4783 일상/생각고3 때 12 알료사 17/02/06 4689 32
4781 일상/생각이제, 그만하자. 13 진준 17/02/06 5300 0
4778 일상/생각나랑만 와요 48 민달팽이 17/02/05 5373 20
4775 일상/생각백인으로 산다는 것 32 은머리 17/02/05 7130 7
4773 일상/생각불성실한 짝사랑에 관한 기억 26 새벽3시 17/02/05 4053 8
4772 일상/생각(데이터, 사진)졸업을 앞두면서 나를 돌이켜보기 11 베누진A 17/02/05 6790 3
4761 일상/생각[번개] 노래불러요 55 The Last of Us 17/02/04 4719 3
4750 일상/생각히키코모리가 되어버렸습니다.. 27 배차계 17/02/02 6378 3
4735 일상/생각그러하다. 11 새벽3시 17/02/01 4548 1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