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1/21 15:25:05 |
Name | 은머리 |
Subject | 아마추어 할머니 화가의 성공적인 뻘짓 |
http://www.amusingplanet.com/2017/01/ecce-homo-botched-painting-that-saved.html 세실리아 히메네즈는 83세의 고령 아마추어 화가입니다. 스페인의 보르하라고 하는 조그마한 마을에 성당이 있는데 이 성당 안에서는 역사적으로 많이 유명하지는 않지만 지역화가로선 각광받는 화가가 옛날에 교회 벽에 그린 예수의 초상화가 있습니다. 너무 오래 돼 형체를 잃어가고 있었지요. 벽화의 예수초상화 물감이 떨어져 나가 복구가 시급해지자 비록 벽화재건에 대해 아는 것은 없지만 맘씨 고우신 할머니 아마추어 화가가 발벗고 나섰습니다. 할머니는 교구 신부님, 교회를 관리하는 사람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수 년에 걸쳐 붓끝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벽화재건작업을 이어나갔습니다. 작업이 생각보다 오래 걸려 휴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할머니는 2012년 여름 어느 날 휴가를 떠납니다. 휴가에서 돌아오면 나머지 작업을 끝내놓으리라 생각하신 게지요. 할머니가 작업하다 만 벽화의 재건상태는 이러했습니다. ![]() 그런데 할머니가 휴가에서 돌아오고 보니 자신의 반쯤 그리다 만 벽화재건작업이 외부에 유출되어 엄청난 비웃음을 사고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할머니의 미완성 재건작은 인터넷에서 각종 밈으로 돌아다니며 웃음거리가 되어버렸습니다. 할머니는 너무나 속상하신 나머지 며칠 동안 식음을 전폐하시고 울기만 하셨답니다. 심지어는 원래 화가의 후손으로부터 진품을 망쳐놓았다고 소송당할 뻔하기도 했습니다. 희한하게도 시골도시 보르하는 이 떠들썩한 비웃음의 소재 덕분에 갑자기 유명세를 타게 됩니다. 할머니의 손길이 얼마나 형편없는지 구경하기 위해 관광객이 속속들이 모여들고 할머니는 오히려 사람들 사이에서 일약 스타가 됩니다. 할머니의 우스꽝스러운 작품 덕에 기념품은 불티나게 팔리고 판매액의 약 49%는 꼬박꼬박 할머니 앞으로 입금되고 있습니다. 나머지는 원래 화가의 가족들에게 입금됩니다. ![]() ![]() 인생은 한방.. 아니.. 심성이 고우면 하늘도 알고 도와주십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은머리님의 최근 게시물
|
http://www.thehistoryblog.com/archives/45260
이거 진짜 맞나봐요 ㅎ.
이 글에선 할머니가 4년 동안 작업했다고 나와요. 벽화라면 프레스코라는 기법을 사용해야 오래가는데 원작의 화가인 마티네즈는 벽에다 그냥 무턱대고 물감으로 그려버려서 물감이 뚝뚝 떨어져 나와서 누가 복원을 시도했든 거의 창작수준으로 해야할 지경이었대요. 그리고 이미 거의 같은 사이즈의 같은 그림을 캔버스에다 유화로 그려놓은 적도 있어서 원... 더 보기
이거 진짜 맞나봐요 ㅎ.
이 글에선 할머니가 4년 동안 작업했다고 나와요. 벽화라면 프레스코라는 기법을 사용해야 오래가는데 원작의 화가인 마티네즈는 벽에다 그냥 무턱대고 물감으로 그려버려서 물감이 뚝뚝 떨어져 나와서 누가 복원을 시도했든 거의 창작수준으로 해야할 지경이었대요. 그리고 이미 거의 같은 사이즈의 같은 그림을 캔버스에다 유화로 그려놓은 적도 있어서 원... 더 보기
http://www.thehistoryblog.com/archives/45260
이거 진짜 맞나봐요 ㅎ.
이 글에선 할머니가 4년 동안 작업했다고 나와요. 벽화라면 프레스코라는 기법을 사용해야 오래가는데 원작의 화가인 마티네즈는 벽에다 그냥 무턱대고 물감으로 그려버려서 물감이 뚝뚝 떨어져 나와서 누가 복원을 시도했든 거의 창작수준으로 해야할 지경이었대요. 그리고 이미 거의 같은 사이즈의 같은 그림을 캔버스에다 유화로 그려놓은 적도 있어서 원작을 구경할 수도 있대요. 개인이 소지하고 있었다고 하는군요. 그걸 그대로 벽에 카피했을 거래요. 여튼 그걸 복구하려던 할머니 덕에 마을이 하루아침에 유명해져 버려서 일명 '멍키 지져스'라고 하는 저 그림이 세계명화 못지 않게 많은 방문객 수를 자랑한다고 하는군요.
이거 진짜 맞나봐요 ㅎ.
이 글에선 할머니가 4년 동안 작업했다고 나와요. 벽화라면 프레스코라는 기법을 사용해야 오래가는데 원작의 화가인 마티네즈는 벽에다 그냥 무턱대고 물감으로 그려버려서 물감이 뚝뚝 떨어져 나와서 누가 복원을 시도했든 거의 창작수준으로 해야할 지경이었대요. 그리고 이미 거의 같은 사이즈의 같은 그림을 캔버스에다 유화로 그려놓은 적도 있어서 원작을 구경할 수도 있대요. 개인이 소지하고 있었다고 하는군요. 그걸 그대로 벽에 카피했을 거래요. 여튼 그걸 복구하려던 할머니 덕에 마을이 하루아침에 유명해져 버려서 일명 '멍키 지져스'라고 하는 저 그림이 세계명화 못지 않게 많은 방문객 수를 자랑한다고 하는군요.
저도 그림이나 예술에 대해 잘 모릅니다만..
제가 알고 있는 프레스코화는 벽에 회반죽을 칠한후에 회반죽이 마르기 전에 수성으로 안료를 녹여 그림을 그리는 겁니다.
수분이 증발해 회반죽이 마르고나면 수정을 할 수가 없지요.
수정을 하려면 해당부위의 회반죽을 긁어내고 처음부터 다시 회반죽을 발라 다시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일반적인 유화같이 물감이 마르고 그 위에 물감을 덧칠해 그림을 완성하는게 아닙니다.
복원중이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니고 실력이 없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처음 저 상태로 공개됐을때 복원 전문가들도 그림 복원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냈었던 걸로 기억... 더 보기
제가 알고 있는 프레스코화는 벽에 회반죽을 칠한후에 회반죽이 마르기 전에 수성으로 안료를 녹여 그림을 그리는 겁니다.
수분이 증발해 회반죽이 마르고나면 수정을 할 수가 없지요.
수정을 하려면 해당부위의 회반죽을 긁어내고 처음부터 다시 회반죽을 발라 다시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일반적인 유화같이 물감이 마르고 그 위에 물감을 덧칠해 그림을 완성하는게 아닙니다.
복원중이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니고 실력이 없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처음 저 상태로 공개됐을때 복원 전문가들도 그림 복원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냈었던 걸로 기억... 더 보기
저도 그림이나 예술에 대해 잘 모릅니다만..
제가 알고 있는 프레스코화는 벽에 회반죽을 칠한후에 회반죽이 마르기 전에 수성으로 안료를 녹여 그림을 그리는 겁니다.
수분이 증발해 회반죽이 마르고나면 수정을 할 수가 없지요.
수정을 하려면 해당부위의 회반죽을 긁어내고 처음부터 다시 회반죽을 발라 다시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일반적인 유화같이 물감이 마르고 그 위에 물감을 덧칠해 그림을 완성하는게 아닙니다.
복원중이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니고 실력이 없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처음 저 상태로 공개됐을때 복원 전문가들도 그림 복원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전 이 기사가 더 사실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209041746261
기사에 따르면 무단복원은 아니었나 보네요.
제가 알고 있는 프레스코화는 벽에 회반죽을 칠한후에 회반죽이 마르기 전에 수성으로 안료를 녹여 그림을 그리는 겁니다.
수분이 증발해 회반죽이 마르고나면 수정을 할 수가 없지요.
수정을 하려면 해당부위의 회반죽을 긁어내고 처음부터 다시 회반죽을 발라 다시 그림을 그려야 합니다.
일반적인 유화같이 물감이 마르고 그 위에 물감을 덧칠해 그림을 완성하는게 아닙니다.
복원중이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니고 실력이 없어서 저런 그림이 나온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처음 저 상태로 공개됐을때 복원 전문가들도 그림 복원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의견을 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전 이 기사가 더 사실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209041746261
기사에 따르면 무단복원은 아니었나 보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