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9/14 11:14:58
Name   눈부심
Subject   어떤 밈
http://www.theatlantic.com/politics/archive/2016/09/its-not-easy-being-green/499892/?utm_source=atlgp

밈이라고 하면 인터넷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어떤 것인데 보통 너도 나도 사용하는 짤방일 수도 있고 어떤 표현일 수도 있을 거예요. 오늘 힐러리의 민주당 선거 캠페인진영의 홈페이지에서는 도널드 트럼프진영이 마음대로 가져다 쓰는 Pepe the Frog라는 인터넷 밈을 우리가 터부시해야할 백인우월주의의 표상이라고 공식선언을 했죠. 이 사이트에 들어가려면 팝업창에서 "Donald Trump is temperamentally unfit for the presidency(도널드 트럼프의 성품은 대통령으로서 자격미달이다)."라는 문장에 동의를 해야 해요.  

Pepe the Frog는 이렇게 생겼어요. 일명 거만떠는 듯한 smug face

원래 이 개구리캐릭터는 아티스트 맷 퍼리가 2005년에 처음으로 창작해낸 거였어요. 백인우월주의와 아무 상관없이 때로 야시꾸리하긴 했지만 대체로 양호한 캐릭터였죠. 온라인에서 특별히 유명하게 퍼진 건 아니고 그냥 여기 저기 팝스타들이나 십대들이 간간이 시시껄렁한 밈으로 써먹곤 하던 캐릭터였어요.

그런데 요즘 이 캐릭터가 일명 smug face라고 해서 잘난 척 씩 웃는 듯한 살짝 거만한 표정을 한 그림이 나찌 개구리 아바타로서 종종 등장을 하고 있어요. 주로 인종혐오적 반유대인멘트가 인터넷에 돌 때 따라다니는 이미지예요.

최근에 힐러리가 트럼프 지지자들의 반은 ‘통탄할 집단’이라는 멘트를 날리면서 뜨거운 감자가 되었는데 트럼프의 아들이 힐러리를 비웃듯 아래와 같은 밈을 만들어 트윗을 날리면서 개구리캐릭터가 더욱 백인우월주의를 대표하게 된 거예요. 트럼프와 그 지지자들은 인종차별주의자들이라는 말을 많이 들으니까요.


기자가 캐릭터의 창작자인 맷 퍼리를 만나서 심경이 어떤지 물어봤어요. 맷에 의하면 저 개구리캐릭터는 자신의 창작물인 < Boy's Club > 이라는 만화 속에 등장하는 네 명의 캐릭터 중 한 명이에요. 초기에는 친구나 지인들과 돌려보는 잡지에나 나오는 수준이었죠. 이 개구리 캐릭터에게 세 명의 룸메이트가 있는데 개, 곰, 이리가 걔네들이에요. 이들은 모여서 장난 치고 피자를 먹고 파티나 하러 다니는 우리네 보통의 20대 젊은이들이에요. 개구리 Pepe이 바지를 발목에까지 쭉 내려 소변을 보는 이미지가 만화에 있었는데 친구가 '넌 소변볼 때 바지를 발끝까지 다 내리고 눈대며?' 물으면 'Feels good man~' 이러는 정말 시덥잖은 장면이 유행을 타면서 '너 기말고사 봤다며?'하면 'Feels good man~'이라는 멘트와 함께 개구리 Pepe의 이미지가 밈으로 돌아다니거나 아니면 비디오영상이 만들어지거나 하는 방법으로 퍼지기 시작했어요.

이 개구리 캐릭터로 인해 여기 저기로부터 찔끔찔끔 수입이 들어오기는 했지만 캐릭터 Pepe을 이용해 공식적으로 의류생산라인을 런칭한 건 아주 최근의 일이에요. 캐릭터 Pepe이 온라인 상에서는 다양한 이미지로 유행했는데 이런 저런 이미지로 인해 기분이 상하지는 않았냐고 기자가 물으니 전혀 그렇지 않았다고 대답해요. 지금까지의 일련의 현상들이 오히려 맷 자신에게 영감을 주었고 이런 시끌벅적함이 자랑스럽다고 말을 해요. 극우들 사이에서 각광받는 점에 대해서 어떠냐고 물으니 그 점에 대해서도 기분이 상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는군요. 이 Pepe이라는 캐릭터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돌아다닌 게 이번 일이 처음은 아니고 아주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벼라별 유행을 타고 돌아다닌다고 말을 하죠. 나찌를 연상시키는 유행에 대해서도 동요하지 않는다고 말해요. 변화를 거듭하는 과정의 한 단면일 뿐이라고요. 물론 현재 돌아다니고 있는 정치적인 이미지는 자신의 의도에 역행하는 거지만 자신이 세상에 내어놓은 캐릭터를  대중이 마음대로 전유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산해내는 과정을 바라보는 것이 하나의 즐거움이란 말을 해요. 고작 소소하고 행복한 일상을 살 뿐인 젊은 개구리캐릭터가 대중에 의해 나쁜 녀석이 됐다가 슬픈 녀석이 됐다가 하는 변화무쌍함을 목도하면서요.

힐러리가 Pepe에 대해 단언한 내용을 읽었냐고 물었죠. 맷은 그것도 재미있었다고 대답을 해요. 실은 자기는 아이들이나 십대들한테서 이멜을 많이 받는대요. 개구리캐릭터를 사용하고 싶은데 허락을 구해도 되냐는 내용이죠. 힐러리는 정치적으로 Pepe을 백인우월주의의 표상이라고 선언했지만 많은 아이들과 십대들은 오로지 자신들만의 재미와 목적을 가지고 그 개구리캐릭터에 다른 생명을 불어넣고 있는 중인 거예요. Pepe의 이미지를 제어할 수 없는 작금의 현상이 후회되진 않냐고 물으니 전혀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죠. 이 아티스트의 태평스런 인식이 마음에 들더라고요. 예술을 하는 사람 특유의 자유로운 사고가 아닌가 해요.  

P.S. 아 그런데 대중이 어떤 캐릭터를 전유했다가 금전적으로 크게 손해보는 경우도 있어요. 온라인 보험회사인 Esurance의 원래 로고는 가슴이 탱글탱글하고 몸매도 찰져서 사람의 이목을 순식간에 잡아끄는 이런 캐릭터였죠. 사람들이 이 캐릭터를 가지고 온갖 포르노이미지를 생산해내자 로고주인공 Erin Esurance는 보험회사로고가 아닌 포르노스타로서 더 강렬하게 사람들 사이에 각인되는 바람에 회사측에서 결국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는.

Image result for erin esurance
 

https://priceonomics.com/how-esurance-lost-its-mascot-to-the-internet/



2


    님니리님님
    밈(Meme)은 예전에 리차드 도킨슨의 이기적인 유전자라는 책에서 나온 개념이죠. 미메시스(memesis), 모방이라는 말과 유전자(gene)이라는 말을 합성한겁니다. 미메시스는 또 아놀드 토인비라는 역사학자가 '창조적 소수자를 모방하는 군중들' 이라는 개념에서 차용한걸로 보이구요.
    유전자는 자기복제만을 목적으로 하지만, 인간은 문화라는 이타적인 요소를 복제해서 퍼뜨릴수 있다라는게 주요 논지였던걸로 기억하고 있어요.
    그 내용이 인터넷 유행을 대표하는 단어로 현실화되는게 참 신기했습니다. 아 이런거였구나하는 느낌.
    눈부심
    아하! 그게 원래 자기복제하는 유전자의 특징에서 나온 말이었군요. 오오오 몰랐다는. 오 똑똑하시다!
    님니리님님
    저도 그냥 줏어들은거라 똑똑까지는 아니에요ㅠㅠ
    유머는 즐거움이 자기복제해가면서 확산되니 밈이라 할만하지만, 우리가 좋다고 생각하는 덕목같은건 밈이 되기 힘든거 같아요.
    예컨대 불우이웃을 도웁시다 같은거요.
    팅핑랩썬브클
    설명을 저렇게 자세하게 하는걸 보니 암기력이 상당하군요
    맷코발스키
    흐음...별 의미 없이 무지 광범위하게 쓰이는 녀석이라고만 생각했는데, 힐러리 덕분에 백인우월주의자가 되어버린것...
    갓무위키에서 좀 찾아봤는데 pepe는 본래 '잉여찌질이덕후'를 상징한대요. 그런 의미에서 몇몇 트럼프 지지자들이 의식적으로 pepe를 차용하려는 시도가 꽤 흥미진진하게 다가오네요.
    눈부심
    Pepe이 의미하는 바가 잉여스러움이군요. 전 좀 진지한데만 다녀서 저 이미지를 자주 보지는 못했어요. 힐러리진영의 Pepe에 대한 적대적인 선언때문에 아티스트가 화를 낼 법도 한데 오로지 아티스트하게 해석하는 모습이 멋졌어요.
    맷코발스키
    사실 전 빅-포탈 디시에서 처음 봤어요. 슬픈개구리콘이라고 어느 순간부터 자주 보이더라구요!
    아티스트분이 참 아량이 넓다고 생각하는데, 저라면 저렇게 반응 못했을 것 같아요. 졸지에 pepe를 쓰는 모든 사람들이 트럼프 지지자로 라벨링된 셈이니...쩝.
    길도현
    Feelsgoodman이라고 말하는 웃는 개구리, 혹은 그걸 조정해서 feelsbadman이라고 말하는 울상짓는 개구리 이지미는 북미 인터넷 커뮤니티 하셨으면 으레 자주 보셨을 이미지입니다. 영미권의 디시인사이드라고 할 수 있는 4chan이라는 곳에서 노는 친구들이 오래전부터 써왔던 밈이고, 인터넷 방송 사이트 트위치의 이미지 채팅 기능으로 더 유명해져서, 현 youth culture의 유의미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이죠.

    The Deplorables라고 써 있는 밈은 트럼프의 아들이 '만들어'올린 건 아닐 거에요. 올리신 트윗에도 자기 친구가 보내줬다고 하고 있구요. 저는 힐러리 진영이 ... 더 보기
    Feelsgoodman이라고 말하는 웃는 개구리, 혹은 그걸 조정해서 feelsbadman이라고 말하는 울상짓는 개구리 이지미는 북미 인터넷 커뮤니티 하셨으면 으레 자주 보셨을 이미지입니다. 영미권의 디시인사이드라고 할 수 있는 4chan이라는 곳에서 노는 친구들이 오래전부터 써왔던 밈이고, 인터넷 방송 사이트 트위치의 이미지 채팅 기능으로 더 유명해져서, 현 youth culture의 유의미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이죠.

    The Deplorables라고 써 있는 밈은 트럼프의 아들이 '만들어'올린 건 아닐 거에요. 올리신 트윗에도 자기 친구가 보내줬다고 하고 있구요. 저는 힐러리 진영이 어떤 이유에서 저 녹색 개구리를 백인우월주의와 결부시키는가 찾아가보았더니, 이런 말밖에 찾을 수 없더군요.
    "“We basically mixed Pepe in with Nazi propaganda, etc. We built that association,” one prominent white supremacist told the Daily Beast."
    요는, 한 19살짜리 백인우월주의자 (라고 칭하여지는) 친구가 자기가 Pepe와 나찌 프로파간다를 결합시켰다고 주장하는게 그 논리의 전부에요. 저 개인적으로는 Pepe가 이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건 금시초문이고, 이 놀라움은 저만 느꼈던 것이 아닌 것 같아요. 영미권 초대형커뮤니티 중 하나인 reddit에서는 한결같이 어처구니없다는 말을 하고 있어요.

    https://www.reddit.com/r/politics/comments/52iqem/donald_trump_pepe_the_frog_and_white_supremacists/
    https://www.reddit.com/r/OutOfTheLoop/comments/52emt6/cnn_just_called_pepe_a_white_nationalist_meme_is/

    제 입장에서 보았을 때, 힐러리 진영이 Pepe를 잡고 늘어지는건 인터넷 문화와는 좀 거리가 있는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가 여러 meme으로서 자신의 청년 지지자들과 교감하는것처럼, 힐러리도 비슷한 행동을 하는 거죠. 하지만 이 Pepe는 너무 나간 것 같네요. 너무 근거가 빈약한데다가, Pepe로 여러 의미를 교감하는 인터넷 친구들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부류의 주장이거든요. 아실 지는 모르겠지만, Pepe는 그 사용빈도로 짐작할 때 인터넷 언어의 연장이고, 이것을 검열한다는 건 인터넷 문화에 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질 여지가 다분하다고 봅니다. 이건 트럼프가 흙탕물 싸움으로 만든 켐페인에 힐러리가 옳다구나 하고 뛰어든 꼴이네요. 그래서 저는 이런 움직임은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안 그래도 힐러리는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 트럼프가 낫다는 주장을 하는 인터넷 유저가 심심치 않게 보이는 상황에서요.
    눈부심
    제가 생각한 것보다 광범위하게 쓰인 이미지군요. 저는 트럼프 아들이 친구가 보내준 이미지에 개구리얼굴을 씌웠나보다 생각했어요. 저도 말씀하신 것에 다소 공감이 가는 것이 (문득 주디스 버틀러가 생각나면서 ㅋ) 아직 혐오이미지로 정착되지 않은 Pepe에 혐오이미지를 뒤집어 씌우는 노력을 굳이 쏟을 필요가 있나 싶었어요. 그런 노력이야말로 정말 쓰잘데기 없는 움직임인 것 같아요. 말씀하신대로 우리에게 필요없는 자의식, 즉 검열을 강요하니까요.
    길도현
    검열을 강요하는건 필요없는 자의식이란 말이 굉장히 통찰력 있게 다가오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 밈은 좀 찌질하고 불쌍한 남자가 자조하는 형태로 쓰는건 많이 봤는데.. (눈물 흘리는 개구리가 있죠) 인종차별은 뜻밖이군요
    눈부심
    https://www.hillaryclinton.com/post/donald-trump-pepe-the-frog-and-white-supremacists-an-explainer/
    힐러리가 결국 과잉반응을 보인 것인가봐요. 캠페인사이트에서 이 페이지는 네거티브 일색이라 좀 거부감이 느껴졌어요. 특히 접속하자마자 트럼프가 대통령으로서 적격이 아니라는 문구에 동의를 요구하는 아이디어는 썩 brilliant하지 않아 보여요.
    영어권 사이트를 자주 안 다니고 가끔 짤줍이나 기타 왔다갔다 해야할때만 다니는 저도 알 정도로 너무 유명한 것인데... 힐러리 주위엔 사람이 그렇게 없나요.
    눈부심
    Pepe의 유명세를 들으니 왜 저 캐릭터를 콕 찝어 백인우월주의의 표식이라고 강조했는지 의아한 생각마저 들어요. 길도현님 말씀따나 공화당측에서 밈과 흥행하는 듯한 분위기에 역공을 퍼붓고 싶었던 모양인데 잘 먹히기엔 좀 뜬금포였나 봐요.
    Ben사랑
    제가 맷이었다면 짜증, 분노였을텐데,
    대인배네요.
    눈부심
    인터뷰 읽는내내 정말 재밌더라고요.
    기아트윈스
    아 트럼프 안 됐으면 하는데 계속 걱정되네요 -_-;;;;
    Ben사랑
    정치가 예능이 되어버렸으니..ㅡ.ㅡ

    저런 망나니가 어떻게 천조국에..
    눈부심
    언론사가 추구하는 건 클릭수라고 보는 일인으로서 미디어에서 아무리 시끄러워봤자 트럼프는 결국 안된다에 한 표 걸어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20 기타미르+K = 미륵? 11 모모스 16/10/27 5245 2
    4009 기타[스포] 작가도 수습하기 힘들 때 6 피아니시모 16/10/25 6818 0
    3976 기타내부자들 디오리지널...(스포) 1 2막4장 16/10/21 7784 2
    3967 기타10.29일 (토) 여러분을 만나봽고 싶습니다. 14 레이드 16/10/20 5695 3
    3958 기타 4 피아니시모 16/10/19 3473 0
    3931 기타[토막상식] 공칭치수(Nominal dimension)에 대하여 11 April_fool 16/10/16 23719 4
    3927 기타이태원 지구촌축제 하더라고요 2 아재형 16/10/16 3592 0
    3912 기타질레트 프로쉴드 행사.jpg 4 김치찌개 16/10/15 5283 0
    3887 기타모태솔로 11 알료사 16/10/12 5324 6
    3881 기타가지뿔영양 (Antilocapra americana, Pronghorn) 과 수렴진화 4 모모스 16/10/12 9827 4
    3865 기타쓰기 시작했습니다. 16 givemecake 16/10/10 4722 2
    3862 기타오랜 만남의 끝이 다가옵니다 11 마투잘렘 16/10/10 3311 0
    3796 기타미군과 대한민국 공군의 대레이더 미사일 (Anti-Radiation Missile) 4 모모스 16/09/29 7330 0
    3766 기타미군의 제공권 장악 시나리오 4 모모스 16/09/24 3828 0
    3745 기타팡팡 우럭따. 66 관대한 개장수 16/09/21 6973 0
    3740 기타미군의 전략폭격기 (B-1, B-2, B-52) 10 모모스 16/09/21 6775 1
    3725 기타women in computing... 39 새의선물 16/09/19 4987 0
    3706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끗): 에필로그 23 기아트윈스 16/09/14 5159 12
    3705 기타어떤 밈 19 눈부심 16/09/14 9210 2
    3702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4): 버츄얼 파이터 사건 14 기아트윈스 16/09/14 4277 4
    3697 기타핸디캡 이론 (흡연과 음주의 이유) 9 모모스 16/09/13 6034 6
    3694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3): 구밀복검(口蜜腹劍) 30 기아트윈스 16/09/13 4500 5
    3689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2): 디제이디제이 드랍 더 비트 30 기아트윈스 16/09/12 5906 11
    3683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19 기아트윈스 16/09/11 5082 8
    3668 기타mbc 다큐멘터리 제작팀에서 다양한 사례자를 찾습니다. 25 개인정보취급방침 16/09/08 4893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