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18 12:08:15
Name   April_fool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wfYbgdo8e-8
Link #2   https://www.youtube.com/watch?v=JQVmkDUkZT4
Subject   분할뇌 문제와 테세우스의 배 패러독스
어제 타임라인에 쿠르츠게작트 동영상 하나를 올렸다가, 문득 [분할뇌 문제][테세우스의 배] 패러독스를 하나로 묶는 동영상을 보았습니다. (한국어 자막 있음)




인간의 뇌는 좌반구와 우반구로 나뉘어 있고, 이 사이는 뇌량이라는 굵직한 신경 다발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에 뇌전증(간질)을 치료하기 위해서 뇌량을 일부러 끊어버리는 수술이 고안되었는데, 이 수술을 받은 환자들은 간질발작은 호전되었지만 [외계인 손 증후군]과 같은 특이한 증상이 새로 생기고 말았습니다. 이를 설명하는 것이 위의 첫번째 동영상입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영웅 테세우스는 라비린토스에 있던 미노타우루스를 죽이는 업적을 달성한 뒤 배를 타고 아테네로 돌아왔습니다. 아테네 사람들은 테세우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가 타고 온 배를 길이길이 보존했는데, 이 과정에서 배의 판자가 썩으면 그 부분을 새 판자로 교체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역사가 플루타르코스는 ‘언젠가 배의 판자가 모조리 새 것으로 바뀌어도 그 배는 여전히 테세우스의 배가 맞는가?’라는 유명한 역설을 제기했는데, 이것을 인간의 몸에 적용하여 해설한 것이 바로 위의 두번째 동영상입니다.

이 두 가지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이 두 가지를 하나로 엮어서 생각한다는 발상은 지금껏 미처 하지 못했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데카르트가 제시했던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얼핏 보기에 결코 흔들리지 않을 것만 같던 명제는 실은 매우 취약한 것입니다. 대체 그 ‘나’(我)라는 것은 뭘까요? ‘나’라는 것은 나를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와 그 상호작용의 합이라고 가정할 수도 있겠지만, 실은 그것조차도 쉽게 둘로 쪼개질 수 있다는 사실은 ‘나’라는 존재가 실은 허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들게 하기에 충분합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0


    레지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가 견고한가부터가 좀... 이미 사고는 뇌신호 교란으로 정보 처리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건 논란의 여지가 없을 상황이니까요. 오히려 나는 주장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불러야 할 상황이 아닌가 싶네요.
    April_fool
    [견고한 ‘것처럼 보이는’] 명제죠.
    이에 대한 비판 중 하나로, 단지 “어떤 생각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명제만이 참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 존재한다는 “나”라는 것의 실체가 과연 있는가 하는 점이라서…
    레지엔
    음 그러니까 그 견고함이 깨진지 한참 되지 않았냐는 것이죠(..) 그러니까 견고한 것처럼 보이지조차 않는 시대에 들어선지 상당히 시간이 지났다고 보거든요.
    '나'라는 개념이 절대적인 관점에선 다분히 작위적이고 허상이 가까운 것이라는걸 인정하면 역설이라고 보기 힘들죠. 그런데 '나'라는 개념이 굳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근원을 파고 들면 그 어떤 개념도 그 자체로 자명할 수 없습니다. A와 B가 구분되는 것이다라는 구획이 실재한다는 것을 절대적인 차원에선 보장할 수가 없기 때문이죠. 이를 해소하려고 플라톤은 이데아를 설정하고 아우구스투스는 신을 설정하고 데카르트는 정신과 연장에 절대성을 부여한 것이고요. 결론은 이데아/신/정신/연장 등의 절대성을 부여하는 순간 그 절대성의 절대성은 누가 보... 더 보기
    '나'라는 개념이 절대적인 관점에선 다분히 작위적이고 허상이 가까운 것이라는걸 인정하면 역설이라고 보기 힘들죠. 그런데 '나'라는 개념이 굳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근원을 파고 들면 그 어떤 개념도 그 자체로 자명할 수 없습니다. A와 B가 구분되는 것이다라는 구획이 실재한다는 것을 절대적인 차원에선 보장할 수가 없기 때문이죠. 이를 해소하려고 플라톤은 이데아를 설정하고 아우구스투스는 신을 설정하고 데카르트는 정신과 연장에 절대성을 부여한 것이고요. 결론은 이데아/신/정신/연장 등의 절대성을 부여하는 순간 그 절대성의 절대성은 누가 보증하느냐는 고리에서 벗어날 수가 없기 때문에 논리의 내적인 하자가 있죠. 이건 물리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해소가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모든걸 해체해서는 우리의 지엽적인 삶에서 얻을 수 있는 실익이 없으니... 이게 아마 현대철학의 결론이자 인문학의 위기의 핵심이 아닌가 싶습니다.
    April_fool
    인문학이란 것 자체가 원래 딱히 실익을 따지는 게 아니지 않나요?
    아뇨. 세속적 실익이 아니라 학문적으로 앎의 지평을 넓힌다는 측면에서의 실익이요. 원래 인문학의 위기는 인문학 전공하면 취직 안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러한 상태를 지칭하는 표현이'었'거든요.
    April_fool
    아아… 그런 의미군요.
    Ben사랑
    실익은 안 따져도,
    어떤 유의미한, 가치있는 결론은 낼 수 있어야겠죠. 아니면 말장난이 될뿐.
    Ben사랑
    인문학적 의미는 부여하기 나름이죠. 엄청나게 멍청한 생각이 아닌 이상, 하나의 정답이 따로 없습니다.
    April_fool
    그게 철학의 속성이죠.
    마침 어제 가자니가의 가자니가의 자서전을 읽었는데 생각보다 더 재미없더군요.
    April_fool
    분할뇌 관련해서 흥미로운 이야기가 없었나요?
    가자니가 책은 번역된 건 다 읽은 거 같은데 이젠 더 읽기 싫어질 정도 ㅋㅋㅋ
    April_fool
    그런가요? 저는 읽어본 적이 없어서…
    저는 '나' 라는 개념 자체가 어느 한 덩어리를 지칭하는 명명같은게 아니고 타자와 타자 아닌 것을 구분하는 바운더리 정도로 이해하고 있어서...
    제 몸 안의 세포와 그 안의 원자가 제가 태어날때와 지금 비교했을 때 10%도 남아있지 않겠지만 그래도 바운더리가 변한건 아니니까요. 그 바운더리 내에 있는건 '나'고 그 바운더리 밖에 있는건 '나 아님'이 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Ben사랑
    그 바운더리를 결정하는 SCV님만의 기준은 물리적, 시공간적인 기준인가요?
    제가 인식하는 수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리, 화학, 생물학, 시공간적 기준들이 짬뽕된 지극히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기준이겠지요.
    April_fool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근데 그 안에서도 또 세부적으로 나뉘는 경계들을 어디까지 ‘나’의 일부로 보아야 할까요?
    예를 들면, 제 몸을 구성하는 원자나 세포 하나를 과연 ‘나’의 일부로 볼 수 있을까요?
    회사 다닐 때는 직원이지만 회사 짤리면 직원 아니겠죠 뭐. ㅎㅎㅎ
    원자나 세포들이 저한테 recruit 되어 저를 위해서 working을 하면 저의 일부겠지만, 제 몸 밖으로 나가거나 더 이상 저를 위해 working 하지 않으면 제 일부가 아닌거죠.
    recruit 라는건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제가 uptake 하거나 생성하게 되는걸 의미하는거고, working 이라는 건 꼭 반드시 benefit 만을 의미하는건 아닙니다.
    April_fool
    예를 들면 뱃속에 있는 대장균들도 관점에 따라 저의 일부일 수가 있겠죠.
    근데 그 논리대로라면, 만약에 독극물을 섭취했다면 그 독극물도 자신의 일부로 간주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뭐.. 회사에 위장 입사해서 자료를 빼가려는 산업스파이.. 쯤으로 생각하려고 합니다.
    들키기 전까지는 우리 직원이지만 들키면 우리 직원 아니고 색출해서 쫓아내야 할 대상인거죠 ㅎㅎ
    Ben사랑
    암덩어리도, 마약도 우리 몸의 일부죠. 나에게 해를 끼치지만..
    Ben사랑
    저는

    "연속된 인지적 역사의 흐름을 가지는 자아가 통제할 수 있고, 또 통제받을 수 있는 응집된 덩어리" 정도로 생각합니다. 여기서 "연속된"이 중요합니다.

    이것도 여느 인문학적 개념들처럼 모호하고 한계가 명확하지만..
    April_fool
    연속체(Continuum)요?
    Ben사랑
    "이후의 나"가 "이전의 나"를 꽤 그럴듯하게 "나"로 여길 만한 이유가 있다면, 그 관점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판단은 "이후의 나"가 내리는 걸로..

    지금의 우리의 관점에서, 고구려ㅡ백제ㅡ신라는 우리나라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아트윈스
    데카르트의 해당 명제에 대한 미셸 앙리의 해석을 좋아합니다.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현상성의 현상화 (phenomenalisation of phenomenality)라고 하고, 좀 더 일상적인 표현으로 치환하여 말하자면 자기에 의한 자기체험을 표현하는 언명이라고해요. 그러니까, 인지자가 타자를 체험하는 게 아니라 인지자가 인지자를 체험한다는 건데, 구체적으로는 명상체험과 비슷해요. 집중력을 높여서 의식의 각성 정도 (awareness)를 고양시키면 무언가를 보고 듣고 있는 나를 내가 재차 보고 듣고있는 듣한 느낌이 드는데 이 체험을 하... 더 보기
    데카르트의 해당 명제에 대한 미셸 앙리의 해석을 좋아합니다.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현상성의 현상화 (phenomenalisation of phenomenality)라고 하고, 좀 더 일상적인 표현으로 치환하여 말하자면 자기에 의한 자기체험을 표현하는 언명이라고해요. 그러니까, 인지자가 타자를 체험하는 게 아니라 인지자가 인지자를 체험한다는 건데, 구체적으로는 명상체험과 비슷해요. 집중력을 높여서 의식의 각성 정도 (awareness)를 고양시키면 무언가를 보고 듣고 있는 나를 내가 재차 보고 듣고있는 듣한 느낌이 드는데 이 체험을 하지 않고서는 위와 같은 확신성을 얻기 힘들다고 해요.

    이 체험을 겪고 나면 이원론적 세계관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대요. 왜냐하면, 내가 나를 체험하는 경험으로부터 얻은 확실성을 내가 남을 체험했을 때는 결코 느낄 수 없기 때문이지요. 앙리는 여기서부터 더 파고들어 새로운 이원론을 만들어내게 되는데... 그 내용이 어땠는지 잘 기억이 안나네요 -_-; 너무 어려워서..
    April_fool
    앗 철학 전공자 분이시다!
    기아트윈스
    야메입니다;;
    Ben사랑
    데카르트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당대 교회와 대중의 눈밖에 나지 않기 위해 제시했을 뿐이고, 그 내심으로 영혼이 육체와 독립적임을 정말 주장하지는 않았을 수도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기아트윈스
    음, 제가 잘 모르는 설이네요. 직관적인 감상을 말씀드리자면 딱히 신빙성있게 들리진 않아요. 이원론 자체는 데카르트의 골수 중의 골수이기 때문에 모종의 이유로 그가 내심으론 일원론자였다는 주장은... 가능할지 어쩔지 몰라도 일단 다른 학자들의 공격으로부터 변호하는 것 자체가 무척 어려울 것 같아요
    Ben사랑
    그렇군요. 그걸 진지하게 주장한 건 아닌데,

    처칠랜드라는 환원론적 과학철학 권위자가 마음ㅡ뇌ㅡ육체에 대한 여러 학설들의 역사들을 말하면서,
    "데카르트 같은 명석한 이가 이런 멍청한 생각을 했을 리가 없다. 뒷배경에 이와 같은 내막이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바이다."
    정도로 가볍게 넘어갔습니다.
    Ben사랑
    제 기억이 맞다면 말이죠..

    처칠랜드 책의 역자이신 박제윤 교수님만의 주장이었는지 헷갈리긴 하는데..
    기아트윈스
    흠흠, 16세기의 진지한 크리스쳔에게 이원론은 결코 멍청한 생각이 아니에요. 외려 가장 명석한 이들이 하는 생각이었지요. 오히려 그 "뒷배경"을 연구하면 할수록 왜 데카르트가 진심으로 이원론자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거라고 믿어요.
    Ben사랑
    답변 감사합니다.
    Ben사랑
    오해를 막기 위해 첨언하자면, 처칠랜드와 박제윤 교수님 모두 '역사에 대한' 과학철학자가 아닙니다. 정말 가볍게 설명하고 넘어간 거에요. 그 기나긴 뇌-영혼-육체에 대한 학설의 역사들을 몇 페이지 안 되게 압축하고 넘어간 것이니. '현재의' 인지과학적, 과학철학적 이슈들에 관심을 더 두고 계시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89 철학/종교[강의록] 조선 유교이야기 23 기아트윈스 17/02/06 5690 9
    4480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42 기아트윈스 16/12/30 5088 8
    4395 철학/종교국회의원 장제원 23 tannenbaum 16/12/16 5750 0
    3742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16 기쁨평안 16/09/21 7056 8
    3642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1 기아트윈스 16/09/04 6829 17
    3544 철학/종교주디 버틀러가 말하는 혐오언어의 해체 73 눈부심 16/08/21 8965 3
    3533 철학/종교분할뇌 문제와 테세우스의 배 패러독스 35 April_fool 16/08/18 6326 0
    3519 철학/종교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대해서 15 Ben사랑 16/08/15 7105 0
    3516 철학/종교중2병의 원인에 대해서 제 멋대로 고찰 13 Ben사랑 16/08/15 6571 0
    3389 철학/종교. 51 리틀미 16/07/29 7294 5
    3137 철학/종교제가 느낀 것 주절주절 7 전기공학도 16/06/27 6223 1
    2716 철학/종교개신교 저격 이단, 신천지 93 ArcanumToss 16/04/30 8152 3
    2573 철학/종교종교, 도덕적 결벽증의 저항 2 커피최고 16/04/08 6132 1
    2458 철학/종교진화론을 인정하는 창조론들 41 Toby 16/03/23 9486 0
    2307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9 눈부심 16/02/28 6674 7
    2043 철학/종교인류의 진보, 미래는 낙관적인가-하편 25 눈부심 16/01/17 7003 2
    2042 철학/종교인류의 진보, 미래는 낙관적인가-상편 10 눈부심 16/01/17 7838 2
    1889 철학/종교恥不脩 不恥見汙 5 삼공파일 15/12/30 8597 8
    1863 철학/종교<크리스마스 기념> 알기 쉬운 종교와 사회 이야기 8 삼공파일 15/12/24 7255 3
    1816 철학/종교[종교]나는 왜 기독교를 거부하게 되었나 33 ohmylove 15/12/19 8952 0
    1763 철학/종교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30 뤼야 15/12/13 8794 6
    1706 철학/종교5분으로 완성하는 현대 철학 족보 15 삼공파일 15/12/04 9615 0
    1705 철학/종교정신분석학 관련 읽으면 재밌는 글 8 삼공파일 15/12/04 9715 1
    1700 철학/종교무위자연에 대한 착각 4 커피최고 15/12/04 7221 1
    1585 철학/종교사사키 아타루 [야전과 영원]이 출간되었습니다. 21 뤼야 15/11/18 9574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