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1/26 11:35:29 |
Name | Obsobs |
Subject | 예방접종실에서의 소고 |
국가필수예방접종을 맞으러 온 6세 여아. 아이: 주사가 무서워~! 맞기 싫어~ 안 맞을거야!!!(격렬하게 반항하며 나가려함) 부모: (아이를 붙들며) 이거 맞아야하는거야. 움직이면 더 아퍼. 아이: 엉엉엉엉. 아냐~ 그럼 내가 할꺼야! 부모: 그럼 가만히 있어. 아이: 조금 이따가 할거야! 부모: (빨리 맞고 가야하는 상황이라) 지금 맞으나 나중에 맞으나 똑같애. 아이: 아니야! 조금 더 있다가! -> 자기 주장, 설득, 타협, 자기주장이 반복되더군요. 결국은 안 맞겠다는 심리죠. 기다렸다가 스스로 맞는 아이들이 얼마나 있을까요? 아이가 주사를 무서워하는 건 아이의 기질 + 경험의 결과라 생각합니다. 그걸 무서워하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 or 무서워도 참고 견딜 수 있게 만들기 위해서 부모는 어떻게 노력해야 할까요? 무조건 팔다리 붙잡고 주사 놓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조금 힘들어도 편리한 방법이지만), 다음에 주사 맞을 때도 똑같은 상황이 계속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자율성과 참을성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될 것 같기도 하구요. 아이 입장에서는 주사가 얼마나 무서울까요. 하지만 아이들이 마음정리하고 스스로를 설득하여 인내심을 발휘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은 어른들이 보기에는 너무나 길고 소모적입니다. 가뜩이나 바쁘면 말이죠. 어느것 하나가 정답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같은 상황에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하는 고민이 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를 대할 때 되도록이면 조금 넓은 마음을 가지고 기다려주고 참아주는 부모가 되어야 겠다는 다짐도 드네요. 예방접종실이 한참 시끄러우니 이런저런 생각이 드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Obsobs님의 최근 게시물
|
아이의 기질과 경험은 여러가지 부모의 노력과 병원의 노력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고 보아요.
주사를 잘 맞는 방법과 같은 간단한 어린이용 전단지를 제작해서 어린이에게 보여주거나 비디오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 싶어요. 실제로 예전에 어느 어린이 치과 갔을때 어린이한테 비디오를 보여주더군요. (무척 비싸서 그 다음부터 거기 안가긴 했습니다만..)
저희 아이들은 주사 맞거나 이 치료할 때 울거나 한 경우가 조금 밖에 없었는데 제가 어릴때는 저 자신은 정말 바보처럼 많이 떼를 썼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차이점은 ... 더 보기
주사를 잘 맞는 방법과 같은 간단한 어린이용 전단지를 제작해서 어린이에게 보여주거나 비디오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 싶어요. 실제로 예전에 어느 어린이 치과 갔을때 어린이한테 비디오를 보여주더군요. (무척 비싸서 그 다음부터 거기 안가긴 했습니다만..)
저희 아이들은 주사 맞거나 이 치료할 때 울거나 한 경우가 조금 밖에 없었는데 제가 어릴때는 저 자신은 정말 바보처럼 많이 떼를 썼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차이점은 ... 더 보기
아이의 기질과 경험은 여러가지 부모의 노력과 병원의 노력에 의해서 개선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고 보아요.
주사를 잘 맞는 방법과 같은 간단한 어린이용 전단지를 제작해서 어린이에게 보여주거나 비디오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 싶어요. 실제로 예전에 어느 어린이 치과 갔을때 어린이한테 비디오를 보여주더군요. (무척 비싸서 그 다음부터 거기 안가긴 했습니다만..)
저희 아이들은 주사 맞거나 이 치료할 때 울거나 한 경우가 조금 밖에 없었는데 제가 어릴때는 저 자신은 정말 바보처럼 많이 떼를 썼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차이점은 부모나 간호사 선생님의 친절한 설명이 크게 좌우하는것 같아요. 백신은 받아야 하는 것이고 오늘 안 맞으면 내일 와서 그 다음에 와서 맞아야 하고, 맞는 순간에 울거나 하면 주사를 잘못 놓을 수 있어서 피가 더 크게 날 수도 있으니 가만히 빨리 맞고 얼른 안 우는 게 너한테도 오히려 이득이라는 것을 평소에 설명해주거나 미리 주사 맞기 전에 아이들에게 설명을 잘 해 주면 아이들이 이해하고는 잘 협조를 하더라구요. 저희 아이가 가는 소아과에서는 늘 주사맞으면 무설탕 사탕을 주는데 아마 사탕을 먹기 위해서 참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건 classical 조건형성을 위한 훈련이겠지만..) 아이들도 충분히 차분하게 설명하면 아이들이 가만히 듣고 다음에는 생각을 정리해서 울면 하나도 득이 될게 없는데 뭣하러 울어 이러더군요. 나이가 어릴때는 금방 괜찮아진다고 엄마가 안아주거나 신뢰감을 주는 모습도 필요한 것 같았어요. 수고하시네요 :)
주사를 잘 맞는 방법과 같은 간단한 어린이용 전단지를 제작해서 어린이에게 보여주거나 비디오를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 싶어요. 실제로 예전에 어느 어린이 치과 갔을때 어린이한테 비디오를 보여주더군요. (무척 비싸서 그 다음부터 거기 안가긴 했습니다만..)
저희 아이들은 주사 맞거나 이 치료할 때 울거나 한 경우가 조금 밖에 없었는데 제가 어릴때는 저 자신은 정말 바보처럼 많이 떼를 썼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차이점은 부모나 간호사 선생님의 친절한 설명이 크게 좌우하는것 같아요. 백신은 받아야 하는 것이고 오늘 안 맞으면 내일 와서 그 다음에 와서 맞아야 하고, 맞는 순간에 울거나 하면 주사를 잘못 놓을 수 있어서 피가 더 크게 날 수도 있으니 가만히 빨리 맞고 얼른 안 우는 게 너한테도 오히려 이득이라는 것을 평소에 설명해주거나 미리 주사 맞기 전에 아이들에게 설명을 잘 해 주면 아이들이 이해하고는 잘 협조를 하더라구요. 저희 아이가 가는 소아과에서는 늘 주사맞으면 무설탕 사탕을 주는데 아마 사탕을 먹기 위해서 참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이건 classical 조건형성을 위한 훈련이겠지만..) 아이들도 충분히 차분하게 설명하면 아이들이 가만히 듣고 다음에는 생각을 정리해서 울면 하나도 득이 될게 없는데 뭣하러 울어 이러더군요. 나이가 어릴때는 금방 괜찮아진다고 엄마가 안아주거나 신뢰감을 주는 모습도 필요한 것 같았어요. 수고하시네요 :)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