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1/08 11:39:52
Name   파로돈탁스
Subject   계엄과 헌재 관련 학창시절 헌법 수업때의 2가지 기억
헌법이라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법학으로 전문직이 되어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이들에겐 그닥 중요한 과목이 아닙니다. (교수나 연구직 제외, 개인적 견해)
(헌법 과목은 고교 과목에 넣어놓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필수과목으로다가;;)
보통 2학기 수업하면 학습을 끝내게 되고 수험을 위해 공부를 할 때에도 높은 지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역사를 좋아했던 저에게 헌법에 깃들어져 있는 서사는 정말 흥미롭기에, 개인적으로는 헌법과목을 가장 좋아했습니다.

헌법 교수님은 여럿 계셨지만, 특히 한분이 특이했습니다. 물론 수업방식도 꽤나 독특했지만서도;;
무엇보다 재밌는 것이 하나 기억이 납니다.
한학기동안 해내야 하는 과제가 있는데, 바로 교수님 앞에 가서 헌법전문을 외워 구술하는 것이었죠. 은근히 어렵습니다. 헷갈려요.
하고 나면, 헌법 전문이라는게 뭐랄까 좋은 말들을 다 때려넣긴 했는데 뭔가 체계가 엉성하네?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법학자라는 놈들은 왜 이렇게 한문장으로 모든 걸 처리하는 것을 좋아하나 하는 분노 역시 치솟고요.

덧붙여 헌법 공부를 하게 되면 처음에 지리한 결단론이니 하는 헌법이론에 관한 부분을 거쳐  통치구조, 기본권론을 배우며 헌법조문과 연계되는 부분을 찾아보는 식이었는데
저렇게 헌법전문을 차분하게(?) 보게 되면 또 시각이 많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암튼.
----------------------------------------------------------------------------
1. 계엄관련 이야기
사실 계엄은 그렇게 중요하게 다루지 않습니다. 왜냐면, 계엄이라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발생할 가능성은 전시에 가까운 상황이 발생했을때나 생겨나는, 그야말로 초현실적인 것이라 보거든요.
(이제는 한동안 중요하게 다뤄지겠죠;;)
다만 계엄 상황에서 국회의원의 지위가 보다 보호되어야 한다는 교수님의 말씀은 또렷이 기억이 납니다. 왜냐면 처음엔 모순적이라 생각했거든요.
계엄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비상상황, 거기서 국회의원의 지위가 더 보호될 수가 있나? 라는 거죠.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는 당연한 것임을 알게 됩니다.
행정부의 결단에 의한 비상수단을 해제할 유일한 권한이 국회에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국회의원을 지켜주어야 하는 것.
작금의 사태는? 말할 필요조차 없다. 라는 거죠.  포고문과 국회병력투입만으로 모든 것이 명백합니다.

2.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에 관한 이야기
- 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은 국회선출 3인, 대통령 임명 3인, 대법원장 지명 3인으로 '구성'합니다.
심플하죠. 이 중 가장 삼권 분립이 표면적으로 잘 되어 있는 기관은 선거관리위원회겠구요. 대법원장 역시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에 문제가 별로 없습니다.

근데,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좀 야랄났습니다. 한줄로 하면
-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총 9인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재판관 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
그러니까 선거관리위원회와 비슷하면서 좀 다릅니다. 국회와 대법원에서 행한 행위의 마지막에 대통령의 '임명' 이라는 요상한 절차가 들어가 있는 거죠.
따라서 삼권분립을 추구한 바에 입각하여 저 임명행위는 요식행위이자 동시에 의무행위라 보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교수님의 견해는 입법자들이 졸았다. 혹은 좀 방심했다. 라는 것 정도로 기억하고 겁나게 깠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최소 선거관리위원회 수준은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죠.
모르겠습니다. 적어도 윤통이나 한덕수 총리 같은 사람의 등장을 예측한 사람은 없었던 것은 분명합니다. 저 임명행위에 실질적인 의미를 담아 거부질을 할 거라 생각을 못하겠죠.

-------------------------------------------------------
현 상황에 대하여 국민들 대다수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과는 별론으로
국회의원을 비롯하여 약 국민의 30프로 가까이가 방어정서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은 제겐 꽤나 충격적입니다.
탄핵 찬성이나 내란죄 해당 여부는 부차적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오히려 정당한 법 집행을 무력으로, 떼를 쓰며 막아 내는 자가 전직 검찰총장이자 대통령이었으며,  이에 동조하는 세력이 '국회의원' 이라는 직위를 갖고 있다는 것이
무서울 정도로 절망적이고 무력감을 느끼게 합니다.

드라마 비밀의 숲의 대사, '대한민국이 무너지고 있다'. 어쩌면, 지금이 무너져 버린 대한민국을 인정하고 재구축을 해야할 단계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다만, 이에 동참하지 않는, 극렬히 반대하는 저 30프로를 이 사회에 어떻게 포섭을 해야 할지에 대해선 도무지 생각이 떠오르지 않습니다.
향후 탄핵도 인정하지 않을, 내란도 인정하지 않을, 대한민국이 법치국가란 사실을 사실상 인정하지 않을 사람들 말입니다.



11
  • 절망적이고 무력감을 저도 느끼고 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미국에 있을 때 평범한 친구들도 중요한 토론을 하면 constitution 에 어긋난다고 난리를 치던걸 본 기억이 있는데, 그만큼 연방 헌법에 익숙하고 판단에 기준이 되는 점을 정확히 알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우리도 이런 대한민국의 기본이 되는 혹은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교육을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근본이 없으니 물질 주의에 현혹되고 있는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그리고 다들 개념이 없으니 '나같아도 계엄'이라는 미친 소리를 하기도 하는거 아닌가...)
5
파로돈탁스
고교시절에 적어도 기본권까지는 가르쳐야!ㅋㅋ
cheerful
정말 맞는 말씀이십니다...-ㅁ-
1
오호라
그런데 어떻게 작년 미국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이 되었을까요?
1
당근매니아
전 석사 과정하면서 헌법 강의를 하나 들었는데, 그 교수님이 요새 MBC에 거의 매일 같이 출연하고 계셔서, 한학기 동안 들은 목소리보다 요 한달 동안 들은 교수님 목소리가 더 많을 지경이네요...
1
파로돈탁스
이번 기회에 개헌 논의가 활발해지긴 할텐데 이 또한 서로의 유불리를 따질테니 어이고 두야...
키티호크
한때는 TV에서 헌법학자 견해를 들을 때 모시는 그 분을 보며 왜?라고 생각했는데 그 분 흰머리보며 이젠 그럴 수도...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687 7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2 + kaestro 25/03/31 160 2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249 4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545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302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458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40 명동의밤 25/03/26 1837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전문가) 25/03/26 437 4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096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06 6
15338 오프모임3/27(목) 신촌서 봅시다아 25 나단 25/03/25 758 0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460 7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325 8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746 2
15334 정치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여야합의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9 파로돈탁스 25/03/24 954 1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448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82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701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777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126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930 0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510 3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533 8
15324 음악[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 25/03/20 140 1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40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