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5/12 09:59:25
Name   파로돈탁스
Subject   어떤 주제를 이야기하고, 이야기 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편향은 개입됩니다.
뭐 당연하고 뻔한 이야기라서 죄송합니다만.

그래도 개인적으로 경험한 한가지 실례를 들자면.

-------------------------------------------------------------

2021년 2월에 최재형 전 감사원장의 법제사법위원회 업무보고가 있었습니다.

거기서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의원이 월성원전 감사와 관련하여 “정책에 대해 수사하고 법의 잣대를 들이대면 공무원이 일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진다”고 말합니다.

이에 대해 최 전 감사원장은 이야기합니다.

“공무원의 행정행위는 법에 정해진 절차에 따라서 투명하게 해야 된다”

“공무원의 행위에 법의 잣대를 대서는 안 된다는 표현이 그런 뜻으로 말씀하신 건 아닌 것 같아서 그냥 그 정도로 넘어가겠다”

“대통령이 공약하신 사항의 정책수행은 제대로 해야 되는 게 맞다”,

“그러나 공약을 이행하는 것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모두 정당화된다는 주장은 아닐 것”

이건 나름 꽤 중요한 주제에 대한 이야기라 생각합니다(제주관이긴합니다만)

그런데 말입니다. 조중동을 비롯한 대부분의 보수지를 위시한 신문들이 이를 대서특필해서 내놓습니다.

그리고 한겨레와 경향신문은 대서특필조차도 아니고, 최 원장의 발언과 관련한 단 한개의 기사도 싣지 않습니다.

-----------------------------------------------------

어느 한쪽을 비난하고자 함이 아닙니다. 소위 보수 성향의 신문이 이런 경우는 더 많아 왔으니까요. 굳이 이 건을 든 것은 한경오 역시 편향에서 절대 자유로운 매체들이 아니라는 거죠.

기사의 내용의 정합도 정합이지만, 어떤 주제를 선택했나, 배제했나부터 편향은 이미 깊숙히 개입합니다.  

언론사 뿐만이 아닙니다. 모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주제가 플랫폼, 커뮤니티의 성향과 관련되어 경향을 띕니다.

저라는 개인도 마찬가지고요.

앞으로 더 심해질 거라 봅니다.

그게 좀 슬퍼서-위선적인-뻔한 소리 한번 해 봅니다.



8
  • 유튜브도 한 몫 했죠


주식못하는옴닉
요즘은 '어떻게' 이야기하냐에서까지 선동성이 짙어서...ㅠ
5
그저그런
그 정도의 편향만 있어도 좋겠네요 ㅠㅠ
진영논리가 부끄럽지 않고 심지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것 같습니다.
6
파로돈탁스
이미 확고해서...풀릴 기미도 안보이네요.
매뉴물있뉴
제가 김현정의 뉴스쇼/김어준의 뉴스공장 두개를 매일 듣는데
처음에는 시사를 두개나 어떻게 듣지? 라는 생각을 저 자신도 했는데
듣다가 알게된게, 이 둘이 생각보다 주제가 많이 안겹칩니다...
무엇을 보도해야하고 무엇을 보도하지 않아야하는가에 대한
뉴스쇼팀과 뉴스공장팀의 관점이 다른거겠죠?

손석희 사장도 언론의 가장 중요한 역할중 하나가 게이트키핑 / 주제 계속 끌고가기라고 얘기하면서
세월호 사건 보도를 계속 이어갔던걸 언급한적이 있습니다.
사실 사건이 오래되면 새로운 보도할 거리가 없어지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 더 보기
제가 김현정의 뉴스쇼/김어준의 뉴스공장 두개를 매일 듣는데
처음에는 시사를 두개나 어떻게 듣지? 라는 생각을 저 자신도 했는데
듣다가 알게된게, 이 둘이 생각보다 주제가 많이 안겹칩니다...
무엇을 보도해야하고 무엇을 보도하지 않아야하는가에 대한
뉴스쇼팀과 뉴스공장팀의 관점이 다른거겠죠?

손석희 사장도 언론의 가장 중요한 역할중 하나가 게이트키핑 / 주제 계속 끌고가기라고 얘기하면서
세월호 사건 보도를 계속 이어갔던걸 언급한적이 있습니다.
사실 사건이 오래되면 새로운 보도할 거리가 없어지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세월호 소식을 언급하는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하더라고요.

비슷한 결로, 김현정의 뉴스쇼는 미얀마의 쿠테타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목소리에 게이트키핑을 한동안 했었고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매일매일 코로나 확진/사망자 보도에 게이트키핑을 하고 있습니다.
언론사들이 항상 자기들끼리도 고민하고 논쟁적으로 다투기도 하는 그런거지 싶습니다.
3
파로돈탁스
고민을 하는 것 같긴 합니다만...솔직히 '정치' 쪽은 너무 속보이는 경우가 많죠 ㅎ
생각해보니 주저리주저리 떠드는것보다 그냥 입다무는게 가장 가성비 좋은 편향적 행동이네요.
저도 양극화니 갈라치기니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긴 하지만 온라인이든 오프라인이든 제가 불편하다고 느끼는 주제에 대해서는 무식한척 하거나 노코멘트 하는게 습관화 되어있네요.. 쩝.
4
파로돈탁스
사실 저도 잘난척 써놓았지만, 그 부끄러움을 느껴서 쓴 글입니다 ㅋㅋ
2
노코멘트라는 것이 정말 재미있는 주제입니다. 상대가 잘못된 생각을 퍼트리면서 어그로를 끌고 있다고 가정해봅니다. 이때 굳이 내가 귀중한 시간을 써서 굳이 맘에 안드는 인간의 생각을 교정해줄 필요가 있는가(네거티브)와 반박하고 싶은 심리를 억누르는데 드는 에너지 낭비(파지티브)중 어떤게 큰가를 고민해야 합니다. 대개는 댓글을 다는게 지는 경우인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게시판을 끊던지 어그로 불침 레벨을 올려야 하죠..
3
윤지호
또 거기엔 발언자와 청자의 사회적 지위라는 변수까지 존재하지요. 오프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티 안에서까지도..ㅋㅋ
보통은 답이 정해져있고, 뉴스나 이야기는 끼워맞추기 위해 존재하니까
자기 답에 안맞는 퍼즐 조각은 사용하지 않는 거죠 뭐.
저는 일단 정권교체했으니 그 뒤엔 관심도가 좀 떨어지네요.
어떤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이런 게 아직 없어서..
뭐 국힘 삽질이야 있지만 아직 역치를 넘을 정도는 아니고, 그냥 앞으로도 이런 상태이길 바랍니다.
여차하면 국힘 까는 거야 일도 아니고.. ㅋ
3
파로돈탁스
답은 정해져 있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거죠. ㅎ 국힘 삽질이 심상치 않네요. MB때 인물이 왜케 많이 보이누...
세상일이란게 원래 평균회귀적 속성이 있어서, 애초에 매사에 동일한 대응과 반응은 불가능하고, 그렇기에 평향이라는 부분은 한 두가지의 경우를 보고 판정할 순 없습니다. 그래서 사건별 절대적 판단보단 평균적 행위를 보고 판단하게 되겠지요..
보통 과거 10개중에 2-3개를 거짓말하는 사람이라면, 실제론 드러나지 않은것을 감안하면 거의 반은 거짓말인 사기꾼스러운 사람일거고 이런 사기꾼에게 엄정한 잣대를 들이미는건 자연스럽습니다. 그에 비해 과거 20개중 1개정도만 거짓말을 하는 경우라면, 실수 혹은 무신경 정도로 받아들이고 덜 엄정한 ... 더 보기
세상일이란게 원래 평균회귀적 속성이 있어서, 애초에 매사에 동일한 대응과 반응은 불가능하고, 그렇기에 평향이라는 부분은 한 두가지의 경우를 보고 판정할 순 없습니다. 그래서 사건별 절대적 판단보단 평균적 행위를 보고 판단하게 되겠지요..
보통 과거 10개중에 2-3개를 거짓말하는 사람이라면, 실제론 드러나지 않은것을 감안하면 거의 반은 거짓말인 사기꾼스러운 사람일거고 이런 사기꾼에게 엄정한 잣대를 들이미는건 자연스럽습니다. 그에 비해 과거 20개중 1개정도만 거짓말을 하는 경우라면, 실수 혹은 무신경 정도로 받아들이고 덜 엄정한 잣대나 반응을 하게되겠지요.. 그렇기에 똑같은 잘못 케이스 한 개에 대해 반응하는 것에 왜 재랑 날 다르게 취급하냐는 불만은 그 맥락이 다르므로 똑같은 잣대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지리한 논의를 역이용하여 말싸움에서 쉽게 이기는 방법이, 상대의 허점 하나만을 지적하며 너도 나랑 똑같은거 아냐 이죠.. 그러나 중요한건 반례 하나가 아니라 경향성의 정도이겠죠..
4
파로돈탁스
전 편향의 정도가 이미 심각한 수준이 아닌가 합니다. 특히 정치쪽으로는요. 그래서 양쪽 다 까면서 노는?게 정신건강에 이롭지 않나 하는 생각을 슬슬 합니다.
제가 3년 전 20살 때 대학 첫 학기 수업에서 Gatekeeping, Agenda-setting, Framing, Priming 이론을 배웠던 기억이 나네영. 3년 전인데 왜 이리 희미한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 과정은 타노스처럼 they are inevitable이고 어찌 보면 언론 기능의 본질이기도 해요. 억지로 박탈할 수도 없지만, 만약 박탈한다면 언론의 정체성도 함께 휘발되는 거죠.

가치판단을 도려내야 할 환부로 치부하는 건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신화적 추종이 만들어낸 근대적 병폐일지도 모르겠읍니다.
5
파로돈탁스
그러고 보니 미드 뉴스룸이 떠오르네요. 언론기자들이 분명 전문가들이니 신뢰하고 싶은데, 전문가들이라기엔 그 가치판단에 의구심이 드는 경우가 필요 이상으로 많네요.
처 수업 다음 시간엔 옐로우 저널리즘에 대해서 배웠던 것 같아요. ㅋ_ㅋ
파로돈탁스
뭐 신뢰할만한 공정한 언론...이런건 애시당초 존재가 불가능한것 같기도 하고요. 결국 구독자들이 얼마나 제대로 소화하느냐의 문제 같기도 합니다.
1
언론은 도구니까요. ㅎㅎ
파로돈탁스
그런데 첫 덧글에 3년전 맞으세요? 덧글에 오류가..3앞에 1이나 2가 빠진것 같기도 하고.
2
돌고래
기자는 전문가가 아닙니..
가치판단이 배제된 사회적 행위(거창한 것만이 아니라, 말하기, 침묵하기, 인사하기 등등 삶의 사실상 모든 부분)는 불가능합니다. 이것만 인식해도, 특히 자기 자신의 불가피한 편향성만 인식하고 있어도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이 많이 줄어들 거라고 생각해요. 그러면 ‘진짜’ 갈등을 해결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할 수 있겠죠. 하지만 역시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와 반대되는 의견’이라도,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꼭 보려고 합니다. 굉장히 스트레스 받는 불편한 일입니다만, 그렇게 하지 않으면 에코 챔버에 갇혀버릴 테니까요. 그치만 역시 힘든 일입니다… ㅠㅠ
4
과학상자
편향의 존재를 부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편향은 당연히 있고, 그 편향의 정도도 각자 평가하기 나름입니다. 메신저의 편향성이야 청자가 알아서 고려하되, 토론을 할 때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하는 게 낫죠. 메신저 편향성 가지고 얘기하면 너무 소모적으로만 흘러서요.
3
요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쪽에선 핫한 이슈라고 어디서 주워들었던 기억이… 사람들이 공중파보다 유튜브 같은 편향된 매체로 정보를 접하고 있다는…
1
편향 그 자체가 잘못인지, 편향을 드러내는 방법이 잘못인지, 편향에 이르게 된 과정이 잘못인지, 다른 요소는 무엇이 있을지, 그 노드간 구조는 어떤 관계인지 구성적, 분석적으로 고민해볼 필요가 있겠죠.

그리고 그 각자의 답으로 살고 남들과 조율하고 그러는게 인간이겠죠.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687 7
15347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 - 5시간 짧은 후기 2 + kaestro 25/03/31 121 1
15346 사회장애학 시리즈 (6) - 청력에 더해 시력까지라고? 1 소요 25/03/30 234 4
15345 일상/생각오늘은 마나님께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4 큐리스 25/03/28 533 4
15344 경제[의료법인 회생절차 가이드(1)] 요양급여 및 본인부담금 채권 압류해제 어떻게 해야할까? 1 김비버 25/03/28 299 2
15343 정치(혐오주의) 생성형 AI는 예상보다 빠르게 극단주의를 퍼트릴지도 모르겠습니다 12 명동의밤 25/03/27 1452 9
15342 정치2심 무죄가 나온 내용 (1) 40 명동의밤 25/03/26 1821 12
15341 기타트랙터 잡썰 4 잔고부자(전문가) 25/03/26 435 4
15340 정치연금 문제-결국 답은 소득주도성장에 있다. 9 kien 25/03/25 1094 0
15339 일상/생각알중고백 7 당근매니아 25/03/25 706 6
15338 오프모임3/27(목) 신촌서 봅시다아 25 나단 25/03/25 758 0
15337 일상/생각평범한 동네 이야기 4 nm막장 25/03/24 457 7
15336 도서/문학[서평]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 대니얼 길버트, 2006 1 化神 25/03/24 323 8
15335 일상/생각와이프한테 보낼 보고서 써달라고 했습니다. 클로드한테 ㅋㅋㅋㅋ 6 큐리스 25/03/24 744 2
15334 정치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한 여야합의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9 파로돈탁스 25/03/24 953 1
15332 일상/생각감자와 당근의 이야기입니다~~ 7 큐리스 25/03/24 446 0
15331 일상/생각기분 좋은 하루를 기록하기 3 골든햄스 25/03/22 482 11
15330 일상/생각국민연금 내기 싫다, 고갈되면 나는 헛돈 낸 게 아니냐는 친구의 말을 듣고.. 15 타치코마 25/03/21 1700 5
15329 여행그간 다녀본 리조트 간단 정리 : 푸켓, 나트랑, 안탈리아 8 당근매니아 25/03/21 776 23
15328 기타한화에어로 이것들이 유증을 하는군요. 이참에 유상증자 관련 몇가지 아는 것들 이야기 해봅니다. 17 동네주방장 25/03/21 1125 2
15327 정치헌재 선고 시점, 인용/기각 인원에 따른 짧은 생각 9 kien 25/03/21 929 0
15326 일상/생각평범한 남편의 투정^^ 큐리스 25/03/20 510 3
15325 사회한국 시민의 일원으로 연금개혁을 환영하며 30 카르스 25/03/20 1532 8
15324 음악[팝송] 알레시아 카라 새 앨범 "Love & Hyperbole" 김치찌개 25/03/20 140 1
15323 문화/예술천사소녀 네티 덕질 백서 - 8. 문화적 다양성 2 허락해주세요 25/03/17 40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