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3/03 17:24:25
Name   카르스
Subject   이준석의 인기 쇠퇴를 보면서 - 반페미니즘 정치는 끝났는가?
이준석 인기의 쇠퇴를 보면 반페미니즘 정서는 몰라도(이것도 정점 지났지만), 반페미니즘 정치는 확실히 끝난 것 같습니다. 이게 부활하려면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싶을 정도에요.

재작년 대선에서 이준석의 돌풍은 '여가부 폐지'에 이입한 반페미니즘 정서를 찻잔 속의 태풍이라 치부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20대 남성은 윤석열을 55%나 지지했고 동년배 여성은 35% 정도밖에 지지하지 않았거든요. 20대 남성의 고작 55% 지지에 실망한 이준석 팬과 반페미니스트들도 꽤 있었는데, 이 편차는 절대 무시할 수 없습니다.

그러던 이준석의 인기와 반페미니즘 어젠다가 지금은 많이 죽었습니다. 이준석의 호감도는 이미 굉장히 낮아져 주요 정치인 중 최악까지 떨어진 지 오래였고(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44, 2022년 12월 조사 참고), 지금 개혁신당 지지율은 5% 미만입니다. 한때 이들을 지지했던 20대도 지지율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준석 지지세는 이제 한줌 정도로 취급해도 됩니다. 심지어 개혁신당 지지세 상당부분은 류호정, 금태섭 등 광의의 진보좌파로 분류될 집단에서 왔기에, 실질적인 이준석과 반페미니즘 세력은 그것보다 더 적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인지 이준석은 개혁신당에서조차 반페미니즘 이야기를 잘 하지 않습니다. 하더라도 반페미니즘 지지층 안떠나게 가끔 립서비스 하는 정도?

이걸 이준석과 개혁신당의 실패로 치부할 수도 있습니다. 이준석의 언행은 쓸데없이 어그로를 끌어 너무 많은 안티층을 만들고, 개혁신당은 대체 이게 뭔가 싶은 잡탕이니. 하지만 그들의 실패를 넘어, 반페미니즘이 표가 안 되는 정치구조라는 근본적 문제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준석은 안그래도 호남 득표 30%니 20대 여성들이 투표 안할거라니 8% 차이로 윤석열이 이길거라니 쓸데없이 어그로를 끌었는데, 개표 결과는 0.7%차 진땀승이었죠. 이것때문에 이준석조차 이 이슈에서 말을 조심할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실제로 이준석의 행보를 지켜보면, 대선 이후 젠더 이슈에서 남모르게 거리를 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별로 말을 하고 정책을 내세운 기억이 없어요. 있더라도 미디어에서 별 관심이 없었고. 그게 아니었다면, 윤석열을 저격할 때 여가부 폐지 공약 위반을 주 레파토리 중 하나로 써먹었겠죠.

그렇게 이준석은 반페미니즘 세력을 티는 안 냈지만 조용히 버리기 시작했고, 결국 친페미니즘 성향의 정치세력과 합당을 하면서 마무리됐습니다. 그렇게 이준석과 반페미니즘 세력 간의 갈등이 터져나왔습니다. 적어도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이준석은 1년 이상 지지층에게 조심스럽게 신호를 계속 던졌지만, 합당하고 나서야 그 신호들이 읽힌거죠.

이준석은 반페미니스트들을 버리는 걸 각오하고 도박을 걸었지만, 전망은 밝지 않습니다. 지지율 매우 낮은 것부터 시작해서, 이낙연계가 약속을 깨고 며칠만에 나가버려서 그나마 있던 빅텐트의 취지조차 퇴색됐습니다. 이준석 본인은 경기 화성을에 출마한다는데 가망이 높아보이진 않습니다. 속된 말로 마삼중이 마사중으로 전직하게 생겼어요.

이렇게 이준석의 인기 쇠퇴는 반페미니즘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를 망가트렸을 개연성이 높고, 반페미니즘이 성공하기 어려운 정치구조 또한 인식시켰다고 생각합니다. 반페미니즘 정치가 성공하려면, 이 두 문제를 극복할 방안부터 갖춰야 합니다.

반페미니즘 정치는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요? 부활한다면 어떤 식일까요?



0


    광기잇
    이준석 지지율말고 구글 검색량이라든지, 사회 갈등 순위 조사같은 다른 통계같은 게 확인된 게 있나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돌다가 현실 정치까지 영향을 미친 주제라 인터넷 커뮤니티만 보면 반페미니즘이 죽었다고 할 정돈가? 싶어서요

    개인적으로는 정치적으로 망해버린 이준석 개인과 반페미니즘을 분리해서 봐야하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4
    매뉴물있뉴
    '아묻따 무적권 여성 지원 정책이면 다 옳다'라는 정서가 사라진게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목적이 달성되었기 때문에 반페미니즘 정치가 의미가 없어진 것 같아요.
    무상급식을 이미 하고 있는데 무상급식을 계속 주장하는 것은 의미가 없죠.
    이준석이 다음 정치 어젠다를 찾아나설때가 된겁니다.
    실제로 이준석이 마지막으로 페미니즘 이슈를 크게 불붙였던게 언제였는지조차도 잘 기억이 안납니다.
    최근 이준석이 불붙인 이슈들이 뭐가있나 생각해보면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이슈 / 전장연 이슈 / 이낙연하고 합당 & 분당 뭐 이런 거니까요...
    2
    danielbard
    이준석과 반 페미니즘을 동일시 하기에는 반 페미니즘이 너무 아까운 수준입니다

    그냥 대선이후 이준석 행보가 모든 수에서 최악만 둬서
    4
    서포트벡터
    반페미니스트들의 현실인식과 다르게 페미니즘은 우리나라에서 주류였던 적도 없고 앞으로도 주류가 될 수도 없습니다. 반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이 낳은 성과들을 주류가 받아들인 것을 페미니즘이 주류가 되었다고 착각했을 뿐이죠.

    일단 페미니즘 조차도 주류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반동에 대한 반동은 주류는 커녕 장기적인 원동력을 가질 수가 없습니다. 페미니즘 자체도 반동적인 사상답게 미친듯한 복잡성을 보이는데 이것에 대한 반동이면 말할 것도 없지요.

    2중 진자 문제를 아시나요? 2중 진자는 대표적인 "복잡계" 문제입니다.... 더 보기
    반페미니스트들의 현실인식과 다르게 페미니즘은 우리나라에서 주류였던 적도 없고 앞으로도 주류가 될 수도 없습니다. 반페미니스트들이 페미니즘이 낳은 성과들을 주류가 받아들인 것을 페미니즘이 주류가 되었다고 착각했을 뿐이죠.

    일단 페미니즘 조차도 주류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반동에 대한 반동은 주류는 커녕 장기적인 원동력을 가질 수가 없습니다. 페미니즘 자체도 반동적인 사상답게 미친듯한 복잡성을 보이는데 이것에 대한 반동이면 말할 것도 없지요.

    2중 진자 문제를 아시나요? 2중 진자는 대표적인 "복잡계" 문제입니다. 예측이 안 된다는 거에요.

    반페미니즘이 세력화 되기 어려운 이유는 이것과 같습니다. 그냥 주류에 서서 반동을 비판하는 정도면 일말의 의미가 있겠으나 이것이 주류에서 이탈해버리면 반동의 반동이 되는거고 이때부터는 그냥 예측 안되고 알 수 없는 사람들, 내부에서도 뭉칠 수 없는 탕아들의 집단이 되고 무는 것이죠.

    "페미들을 척결한다"라고 했을때 누가 페미니스트입니까? 누구는 "남녀평등"만 얘기해도 페미니스트라 척결해야 된다고 할테고 누구는 "여성우월"을 얘기해야 페미니스트라고 할거고, 누구는 "소수자 인권"을 얘기하면 페미니스트라고 할텐데 그들이 대체 어느 선까지 반대하는 걸까요? 이건 본인들도 모릅니다. 나는 억울하니까, 그 어디쯤 하여간 재수없는 선이 있는데 확실하진 않은거죠. 그렇다고 주류로의 회귀를 말하기엔 주류도 억울함에 큰 몫 했거든요?

    이준석이 탈당한 순간부터 자기의 팬덤이 사분오열되기 까지는 시간문제였습니다. 그게 너무 빨리 온 것 뿐이죠.
    19
    그치만 오늘도 어디선가 누군가는 반페미니즘을 반독재처럼 외치고 있으니 참으로 딱한 일입니다.
    1
    서포트벡터수정됨
    뭐 외치는 것 정도야 누구나 할 수 있죠. 이게 별도의 "세력"이 되는게 안 되는 것이니까요.

    당장 어떤 "정책"을 만들거냐 라고 했을때가 문제죠. 대표적으로 여가부 폐지! 하면 그게 무슨 대단한 것처럼 얘기들 하지만 사실은 별 큰 일이 아니거든요. 다른 부서 일만 복잡하게 만들 뿐이죠.

    그래서 "여가부를 해체하고 나면? 그 다음엔 어쩔거냐"에서 안티 페미니스트들은 하나가 될 수 없습니다. 개추 많이 받는 의견만 있을 뿐이죠.
    11
    개추합니다
    2
    당근매니아
    정치권에서 페미니즘을 조용히 손절치면서, 반대 목소리 역시 현실정치에서 영향력이 감소했다고 봅니다. 문재인정부 중반기에 젊은층이 페미니즘에 대해 가지는 반감이 청와대 내에서 분석되었고, 시기적으로 보면 그 이후부터 정부와 민주당의 페미니즘 관련 발언이 급격히 줄었습니다. NCND 스탠스로 전환되었다고 봐요. 인터넷 상에서는 여전히 분쟁요소이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정치세력화 하기 쉽지 않죠.
    3
    Paraaaade
    청와대 내에서 [분석]되었다고 할만한 근거나 사건이 있었을까요?
    1
    저는 아모른직다를 외치겠읍니다

    끝을 이야기하기엔 아직도 너무 강력한 휴화산이에요.
    2
    냥냥이
    이준석은 반페미니즘의 선봉장이 아닙니다.

    그냥 분란 아이템 갈라치기로 표 유치하고 싶은 정치세력 중 하나일 뿐인거 같아요.

    딱 보면 나치 생각납니다.

    열등한 민족들을 몰아내자는 구호( = 외노자 추방하자.). 우리나라 민족성을 일으키자는 선동(다른 나라를 침략해서 우리 영토를 되찾자 등)

    그런 이념갈등을 일으켜서 표를 얻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마치 트럼프 같아요. 쉬운 언어를 쓰고 논란이 되는 정책을 전면으로 내세워서 저소득층 무직자 저학력자의 표를 얻으려 하고 있죠.

    아마 괴벨스 전략 ... 더 보기
    이준석은 반페미니즘의 선봉장이 아닙니다.

    그냥 분란 아이템 갈라치기로 표 유치하고 싶은 정치세력 중 하나일 뿐인거 같아요.

    딱 보면 나치 생각납니다.

    열등한 민족들을 몰아내자는 구호( = 외노자 추방하자.). 우리나라 민족성을 일으키자는 선동(다른 나라를 침략해서 우리 영토를 되찾자 등)

    그런 이념갈등을 일으켜서 표를 얻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마치 트럼프 같아요. 쉬운 언어를 쓰고 논란이 되는 정책을 전면으로 내세워서 저소득층 무직자 저학력자의 표를 얻으려 하고 있죠.

    아마 괴벨스 전략 공부 꽤나 했을겁니다.
    3
    이준석=반페미가 아니죠. 단순히 깃발이 안찍힌 지역을 찾다보니 젊은 남성 반페미가 보였을 뿐...
    4
    퓨질리어
    고견에 너무 성의없는 댓글이라 죄송스럽지만, 진보 정권이 다시 들어서면
    젊은 남성 보수들의 집결을 위한 응결핵으로서 반페미니즘은 여전히 유효하게 쓰일 것 같습니다

    지금 당장은 이준석이 류호정 등과 손을 잡으면서 반페미니즘의 배신자로 낙인 찍혀버렸다는 부분은 확실하구요
    1
    확실히 이전보다는 페미니즘-반페미니즘 사이의 논쟁 - 학술적으로는 '미소지니', 사회과학적으로는 여성 성차별과 유리천장, 남성 역차별 등, 사회적으로는 혼인율과 출산율 등이 보여주는 남녀갈등 등-은 잠잠해진 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인식이 옅어진 건 아니고, 확실히 양 극단 간에 서로에 대한 완전한 포기 상태, 즉 더 이상 토론이나 정치세력화를 통해 상대를 설득하겠다는 의지가 사라지고 자신들을 소수자라고 인식하면서 사회의 다수파들에 의해 포위당하고 있다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아요.

    페미니즘 활동가들이나, 반페미니즘 활동가들이나 ... 더 보기
    확실히 이전보다는 페미니즘-반페미니즘 사이의 논쟁 - 학술적으로는 '미소지니', 사회과학적으로는 여성 성차별과 유리천장, 남성 역차별 등, 사회적으로는 혼인율과 출산율 등이 보여주는 남녀갈등 등-은 잠잠해진 게 느껴집니다. 그런데 인식이 옅어진 건 아니고, 확실히 양 극단 간에 서로에 대한 완전한 포기 상태, 즉 더 이상 토론이나 정치세력화를 통해 상대를 설득하겠다는 의지가 사라지고 자신들을 소수자라고 인식하면서 사회의 다수파들에 의해 포위당하고 있다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아요.

    페미니즘 활동가들이나, 반페미니즘 활동가들이나 기본적인 정서가 소수자성입니다. 남성 우월적인 사회 속에서 페미니즘이 설 자리가 없음, 반대로 반페미니즘에서도 기성 정치권과 윗세대들이 기본적으로 '스윗'하기 때문에 20대 남성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음. 인 거죠. 둘 다 소수자성을 강하게 의식하면서 한층 자신들끼리의 영역으로 후퇴했다고 보여집니다. 양쪽 다 메이저리티가 되기 어렵습니다.
    3
    듣보잡
    저는 이준석 몰락은 본인 뻘짓(순화...)으로 인한 것이고, 반페미가 잠잠해진 것은 최근 눈에 띄는 페미진영 뻘짓...이 딱히 안 보여서라고 봅니다. 앞으로 정치권에서 반페미가 얼마나 힘을 낼 수 있느냐는 의문이긴 하지만, 반페미 정서 자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1
    정권이 바뀌고, 이제 보수주류... 아니 권력을 쥔 쪽에서 이준석이 필요 없어진거지, 페미-반페미랑 연관 지을 수 있나? 싶네요. 이준석이 하바드가 아니라 서울법대 나와서 사시 쳤으면 지금도 잘 나가고 있었으려나요
    1
    정치에 주는 영향력 측면에서 페미 자체가 쇠퇴했으니 그 안티테제도 같이 사그라드는 건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2
    P의노예
    정치 이슈에 안나오니 조용한거죠. 또다시 정치세력의 힘을 받게되면 반복될겁니다. 이미 서로 이해는 포기한 상태라 생각되고. 결혼도 안하는 사회에 그 생각은 더 좁혀지지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한번 표출된 분노와 간극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AI, 기후문제, 인구문제등으로 앞으로 많은 사회 문제들이 수면위로 올라올텐데요.
    이런 거대 갈등이 다시 안나올수가 있나요.
    1
    카르스
    제 글을 읽어는 보셨나요? 정치세력이 표가 안된다고 생각해서 버린 거 아닌가 의심이 되는 겁니다. 거대 갈등이 한줌한테나 소구될 정치소재가 아닌지 의심이 되는 게 현실이거든요.
    P의노예
    남녀 문제가 한줌거리 정치소재였던게 아닌가 하신다면 지난 몇년간 지나온 각종 정치사회적 이슈와 지난 선거들을 무시하시는건데요. 잠잠하다는 현재 상황이 모든 정치인들이 이건 도움이 안된다라 결론 내린거다라 생각하시는거라면 아무도 모른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11 정치제가 추측하는 향후 정치 방향 28 매뉴물있뉴 24/12/08 1989 1
    15110 정치국민의 힘에서 야당에 바짝 엎드리는 제안 정도는 나왔으면 좋겠네요. 8 kien 24/12/07 1578 0
    15108 정치한동훈이 내일 발표할 로드맵 유출 9 아재 24/12/07 1776 0
    15107 정치[불판] 12/7 (토) 대통령 불법 계엄 (4) 95 dolmusa 24/12/07 3769 0
    15105 정치[불판] 12/7 (토) 대통령 불법 계엄 (3) 145 swear 24/12/07 4738 0
    15101 정치[불판] 12/6 (금) 대통령 불법 계엄 (2) 130 dolmusa 24/12/06 3791 1
    15099 정치마땅히 감사해야 할 사람을 올바로 구분하는 정신 2 명동의밤 24/12/06 1354 16
    15096 정치[불판] 12/6 (금) 대통령 불법 계엄 112 dolmusa 24/12/06 3208 0
    15087 정치바이든의 사면, 하나 남은 도미노가 무너지면. 7 코리몬테아스 24/12/02 2080 9
    15069 정치이재명 위증교사 1심 판결 재판부 설명자료 5 과학상자 24/11/26 1863 5
    15046 정치이재명 1심 판결 - 법원에서 배포한 설명자료 (11page) 34 매뉴물있뉴 24/11/15 3270 1
    15038 정치머스크가 트럼프로 돌아서게 된 계기로 불리는 사건 4 Leeka 24/11/11 2100 0
    15030 정치 2기 트럼프 행정부를 두려워하며 13 코리몬테아스 24/11/07 2686 28
    15024 정치2024 미국 대선 불판 57 코리몬테아스 24/11/05 3375 6
    15004 정치명태균 요약.txt (깁니다) 21 매뉴물있뉴 24/10/28 2610 18
    14968 정치민주당계 정당의 성소수자 이슈에 대한 소극성,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21 카르스 24/10/08 2410 0
    14908 정치이재명 감상문 41 매뉴물있뉴 24/09/08 3063 0
    14906 정치의료 대란 - 출구전략은 없다. 43 JJA 24/09/08 2754 0
    14904 정치지금이 한국 정치사의 분기점일지도 모른다 5 meson 24/09/07 1978 8
    14900 정치요즘 세태를 보며 종종 생각하는 웃음벨 3인조 9 당근매니아 24/09/06 2518 6
    14836 정치가세연 김세의 부친상에 조화를 보낸 사람 17 당근매니아 24/08/10 3037 3
    14801 정치양당고착구도에 대한 짧은 고찰 - 제3정당들은 왜 양당에 흡수되었는가 10 카르스 24/07/22 2277 6
    14661 정치윤석열 정부 2년 국민 보고 및 기자회견 전문 (풀버전) 15 토비 24/05/09 2697 1
    14645 정치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2599 7
    14644 정치경기북도로 인해 이슈가 되는 김포 14 Leeka 24/05/02 276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