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9/29 13:40:38
Name   moqq
Subject   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https://m.nhqv.com/board/the100/happyReportView?boardId=152&typeCd=3000000000&mainNo=446&subNo=1&answerLvl=0&tmpBoardId=152&tmpTypeCd=3000000000
원문.

중산층의 현실과 계층 인식

OECD는 각 나라의 중산층 기준을 평준화된 중앙 소득의 75~200%로 정의합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볼 때,
4인 가족의 중위 소득(월 512만원)’의
75%(월 385만원)에서 200%(월 1,020만원) 사이라면 중산층으로 분류됩니다.

계층 인식:

한국의 중산층 45.6%는 자신을 하위 계층으로 본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30대, 미혼, 1인 가구 중에서 중산층이 느끼는 주관적인 빈곤감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 때문에 중산층이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인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중산층의 경제적 조건:
중산층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소득 조건(4인 가구 기준)은 월 소득 686만원, 월 지출 427만원,
총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은 9억 4천만원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소득 조건
한국 중산층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소득이 686만원이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2021년 한국 가구 소득의 [상위 24% 수준]으로, 설문에 참여한 실제 중산층의 평균 소득(월 521만원)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가구원 수가 같은 실제 중산층 4인 가구의 평균 소득(월 624만원)과는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렇게 따지면 4인 가구 기준으로 [소득의 괴리는 소비, 자산에 비해 적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비 수준
중산층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소비 수준이 월 427만원이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2021년 한국 가구의 [상위 9.4%] 수준으로
설문에 참여한 실제 중산층의 평균 생활비(월 242만원) 및
같은 가구 크기의 실제 중산층 4인 가구의 평균 생활비(월 314만원)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자산 조건
4인 가구 기준으로 순자산이 9억 4천만원이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응답했으며,
이는 설문에 참여한 실제 중산층의 평균 순자산(5억 원)과 비교하여 4억 4천만원(+88%) 높은 수준입니다.
같은 실제 중산층 4인 가구의 순자산(6억 3천만원)보다도 3억 1천만원(+49%) 높습니다.
순자산 9억 4천만원이 한국 가구 순자산의 [상위 10.6%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중산층의 괴리감에 작용하는 순서는 소비>자산>소득인 듯 합니다.

SNS의 사용증가와 더불어 괴리감이 커지진 않았나 궁금함.
. 부자들이 뭐하는지 알게 되어서든, 소비과시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든 뭐든..

--------------------
사족.
한국의 기초수급 선정기준.
생계급여 선정기준 (중위소득 30%이하)
의료급여 선정기준 (중위소득 40%이하)
주거급여 선정기준 (중위소득 47%이하)
교육급여 선정기준 (중위소득 50%이하)

중산층 하단이 중위소득 75%라고 치면
중위소득 30-75% 이하가 사각지대인듯.



2


    침묵의공처가
    중위소득 75%이하에서는 급여를 늘리려는 노력이 허무해지겠네요.
    9억 4천이요?????? 허들이 너무 높네요 ㅠㅠ
    카리나남편
    지역마다 차이가 클거 같읍니다.
    서울에서 16억하는 34평 아파트를 대출 5~6억 받고 월 소득이 1000인사람과 지방에서 빚없이 4억하는 34평 아파트 대출 없이 월소득 1000인사람의 생활 수준이 후자가 훨 높지 않을까합니다. 비교도 안될거 같은데...
    1
    하우두유두
    매끼니 소고기등심궈먹어도될듯여
    절름발이이리
    당연히 그렇긴 합니다만, 거주지역과 소득은 상당한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후자의 사람은 전자대비 얼마 안됩니다.
    초밥은연어
    사람들이 평균이랑 백분위랑 착각해서 벌어지는 일입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과가 문화지리학과인 것과 같은 이유인거죠.
    백분위로가면 아닐테지만요.
    본문 통계는 평균아니고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초밥은연어
    그러니까 사람들이 백분위를 기반으로 한 중위랑 평균이랑 구분을 잘 못 한다는 이야깁니다.
    중산층들이 괴리감 느끼는게 평균과 중위를 몰라서 그러는 거란 말씀이신가요?
    초밥은연어
    돈이란 수치는 평균이란 수치보다 중위로 보는게 맞는데 그렇게 생각을 못 한다는 겁니다.

    그런데 언론에 나오는게 평균 얼마얼마~하는게 각인이 되는데 이 수치가 중위보다는 상위 25%에 가깝죠.
    소비나 자산은 25%수준이 아니라 텐프로를 노린다?고 하는데 그게 중산층 평균값이어서는 아닐 것 같습니다.
    평균의 착시가 아주 없진 않겠지만요.
    Michael Jordan
    예전에 국회의원 재산 평균을 낼 때 정몽준 의원은 제외하고 평균 낸 신문기사가 떠오르네요.(먼산)
    2
    nc 지리학과의 주범! 본인등장?!
    1
    Michael Jordan
    오 이 빛깔이 UNC블루인가요?(딴청)
    절름발이이리
    사람들이 중산층에 가진 착시는 산술평균과 중위값을 착각해서라기보단, (소셜)미디어나, 준거 집단에 의한 것이 더 클 것으로 봅니다. 애초에 산술평균이든 중위값이든 그 게 얼마쯤인지 대개 잘 알지도 못합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35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2) - 국내 수출상이 해외 수입상을 위해 대신 지급하여 준 금원이 국내 수출상 법인의 '손금'으로 산입될 수 있는지 김비버 23/12/15 2091 6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440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454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208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3785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068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099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3565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963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030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781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233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386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276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824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3905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015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253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2710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3586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3729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3581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3035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4327 22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357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