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2/26 14:31:05
Name   Leeka
File #1   4pczTseVa882IoWAcs004Q.png (109.9 KB), Download : 23
File #2   7jrDorqbZuisSiSoKiowIG.png (149.9 KB), Download : 26
Subject   경제 팁 #1. 신용카드의 연회비 이야기





비교하기 정말 쉬운 예시 카드 2종으로 설명


- 무지성 0.7% 할인 + 연회비 1,000원
vs
- 무지성 0.8% 할인 + 연회비 15,000원


두 카드의 차이는 0.1%를 더 할인해주는 대신, 연회비가 14,000원 차이남.


Q. 0.1% 할인으로 14,000원의 혜택을 보려면?
A. 1400만원 을 결제하면 14,000원을 캐시백 받게 됨.


즉 0.7% 할인 카드가 '연 1400만원 이하'를 쓰면 더 이득
0.8% 할인 카드는 '연 1400만원 초과'를 하면 더 이득..




'무지성으로 쓰는 일반 카드로 연 1400만원 이상' 긁을 사람은 거의 없으니..
실제로는 0.7%에 연회비 1,000원 카드가 훨씬 좋은 카드가 됨..



일반적으로 연회비가 높은 카드일수록 혜택이 더 좋은데
'그 연회비만큼의 혜택'을 더 뽑아먹기 위해서는 1년에 실제로 써야 되는 금액이 엄청 올라감..

내가 카드를 1년에 몇천씩 긁으면 상관없지만.

카드의 가치에 '연회비' 라는게 엄청 중요한 요소인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걸 간과하고 있어서 남겨주는 간략한 팁으로..





p.s 위에 설명은 저렇게 했지만
'0.8% 할인카드가 첫 해는 발급시 연회비 면제 이벤트'를 하기 때문에. 연회비 면제 받은 첫해만 쓰고 카드를 뽀각하면 후자가 더 좋아짐

p.s2 위에 예시로 든 카드 2종은 사실 다 구린카드를 일부러 가져왔습니다.
좋은카드로 고르면 바이럴이라고 할꺼 같아서...   특수목적 아니면 발급 받지 마세여..





0


    카리나남편
    선생님 제가 거의 없는 사람입니다.
    bc카드 GOAT카드 추천 드리읍니다
    양라곱
    한동안 눈돌아가서 높은 연회비의 좋은 혜택을 가진 신용카드를 발급받을까 하다가,지 금은 오히려 소비 자체를 줄일 요량으로 체크카드 발급을 고려 중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웃기는간짜장
    체크면 탐라에서 본 이 체크카드 추천합니다.
    저도 보고 발급 완! 특이점 새마을금고 계좌 필수

    https://m.card-gorilla.com/card/detail/2601
    dolmusa
    선생님 제가 거의 없는 사람입니다. (2)
    '무지성으로 쓰는 일반 카드로 연 1400만원 이상' 긁을 사람
    입니다... 지갑에 카드 여러장 들고 사용처마다 생각하면서 꺼내는것 자체가 귀찮아서
    타는저녁놀
    선생님 제가 거의 없는 사람입니다. (3)
    '무지성으로 쓰는 일반 카드로 연 1400만원 이상' 긁을 사람은 거의 없....나요?

    저도 신용카드 하나만 갖고 1년에 5천만원 이상 긁는데....
    보이차
    그 정도면 혜택 더 많은 프리미엄 카드로 많이들 간다는 뜻이겠지요
    그정도 쓰시면 무조건 프리미엄 카드로 원카드 쓰셔야 맞습니다.. 저렴이 무지성 카드가 아니라...
    추천 글 정독하러 갑니다.
    노바로마
    그냥 식비나 생활비 같은거면 1400만원 못쓸거 같은데, 고정적인 통신비나 주거비 등이 카드로 처리되면 1400만원 가능해보이긴 합니다.
    곤살로문과인
    카드 1장으로 생활비 전부 다 긁읍니다; 대신 저거보단 혜택 좋은걸로...ㅎ
    듣보잡
    바이럴 좀 해 주십시오
    듣보잡
    그나저나 다들 돈 잘 쓰시네요
    제가 딱 애매해서 무지성 저렴이 카드도 못 쓰고 프리미엄 카드도 못 씀...
    그래서 남들 안쓰는 괴상한 포지션의 카드를 쓰고 있는데, 혜택은 나쁘지 않지만 계속 다른 카드 없나 기웃기웃 하게 되네요
    연회비에 대해 질문 드려도 됩니까?
    현대카드 중에 비자 말고 아멕스나 jcb나 마스터 중
    연회비 만원이나 그 이하로 저렴한 카드 있읍니까?
    (혜택은 없다시피 해도 됩니다)
    삼성그룹
    Zero ED3가 당장 생각나는군요(??)
    1.5만으로 알고 있는데
    현대는 기존에 다른 카드 가지고 있다 해도 기본 연회비 면제가 안 되지 않읍니까...?
    2 단종되기 전에 받을 걸 하고 후회하고 있읍니다 ㅠㅠㅠㅠ
    삼성그룹
    제일은행 zero ed2는 살아있읍니다?
    우오오 감사합니다
    근데 비자만 되네요 (흑흑)
    다크초코
    배민현대카드가 마스터가 되고, 연회비 만원인데 1년에 배민앱에서 10만원만 쓰면 다음해 연회비 면제일겁니다.
    삼성그룹
    삼성 The O v2
    삼성 아멕스 골드
    삼성 The 1
    IBK Bliss7
    SC 시그마
    롯데 다이아몬드
    농협 클럽 위
    현대 x2 ED2 정도 쓰고 있읍니다.
    혜택뽑아먹읍니다.

    아, SC 시그마는 내년바우처 못써서 현대 red ed5 써볼까 하네용
    방사능홍차
    저는 롯카는 온라인 사이트에서 청구할인을 할 때 요긴하게 잘 사용하는데요.(연회비 5천원, 로카 체크가 찾아보니 없어서 신카 만듦)
    저 같은 패턴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연회비가 천원인 로카 라이트도 좋을까요?
    김치찌개
    잘 봤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508 경제민자사업의 진행에 관해 6 서포트벡터 24/03/06 2866 8
    14489 경제경제 팁 #3. 탄소중립포인트를 가입하세요 13 Leeka 24/02/27 2940 3
    14487 경제경제 팁 #2. 무지성 무제한 단일카드를 쓰는 분들을 위한 정보 40 Leeka 24/02/26 6378 7
    14486 경제경제 팁 #1. 신용카드의 연회비 이야기 25 Leeka 24/02/26 3211 0
    14378 경제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좋을 때 일까요...? 14 cummings 24/01/03 2900 1
    14374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3) - 법인이 공동으로 사업을 경영하는 경우 손금불산입되는 공동경비 김비버 24/01/01 2583 4
    14335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2) - 국내 수출상이 해외 수입상을 위해 대신 지급하여 준 금원이 국내 수출상 법인의 '손금'으로 산입될 수 있는지 김비버 23/12/15 2479 6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830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4028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626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4418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481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565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4002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3480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430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3163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563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863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682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3201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4360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423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663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3095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