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1/20 15:20:28수정됨
Name   Groot
File #1   232364.jpeg (172.7 KB), Download : 4
Subject   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나는 주식계좌 파랭이를 눈뜨고 못본다!
예적금 1년간 기다리는게 너무 고되다!
큰돈은 아닌데, 그렇다고 당장 쓸것도 아니지만 언제든지 꺼내쓸수 있으면 좋겠음!

답은 파킹통장입니다.

그래서 파킹통장 금리 빠방한곳을 한번 찾아보겠읍니다.

1. OK저축은행

OK읏백만통장Ⅱ : 연 5.00%

기본금리
1백만 원 이하분 4.50%
1백만 원~5백만 원 이하분 3.50%
5백만 원 초과분 3.00%

우대금리 적용시

1백만 원 이하분 5.00%
1백만 원~5백만 원 이하분 4.00%
5백만 원 초과분 3.50%


2. 다올저축은행
Fi 커넥트 통장 : 연 4.00%

기본금리
3천만 원 이하분 3.00%
3천만 원 초과분 0.50%

우대금리 조건
오픈뱅킹에 계좌 등록 시 1%


11월 18일자로 종료 ㅠ


둘다 오픈뱅킹만 연동하면 이율을 더 줍니다.
최대한 귀찮은거 다 빼고빼고 하면 저 2개가 가장 쉽고 이율을 제일 많이 줍니다.

위 2개는 5천만원 보장이지만 난 저축은행이 싫다!! 하시는분들  


한국투자증권
발행어음형 CMA : 3.6%

우리종합금융 (CMA 중에 드물게 5천만원 보장)
CMA Note : 3.75%
(단, 1년 내내 가지고 있어야 3.75% 줌, 기간별 이율 상이함)

자~ 츄라이, 츄라이!!



4


    번외) 적금은 어디가 가장 이율 많이 주나요??

    우리종합금융 : The조은 정기적금 (월 max 100만원)
    기본이율 5.1% (+@ 우대금리 0.5 받기 매우 쉬움, 사실상 5.6% )

    우대금리 다 받으면 MAX 6.1% 가능

    더 높은곳 있읍니까? yes !! 있읍니다!!

    신협, 새마을 금고가 있는데
    단, 출자금 통장을 만들어야하고 조합원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예적금 들면 만기됐을때 세금 15.4% 안떼고 1.4% 만 뗍니다.
    그래서 5% 초반대 적금만 들어도 여타 다른곳보다 이율 높은 효과를 볼 수 있읍니다.

    ※주의※

    작년 10~11월에... 더 보기
    번외) 적금은 어디가 가장 이율 많이 주나요??

    우리종합금융 : The조은 정기적금 (월 max 100만원)
    기본이율 5.1% (+@ 우대금리 0.5 받기 매우 쉬움, 사실상 5.6% )

    우대금리 다 받으면 MAX 6.1% 가능

    더 높은곳 있읍니까? yes !! 있읍니다!!

    신협, 새마을 금고가 있는데
    단, 출자금 통장을 만들어야하고 조합원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예적금 들면 만기됐을때 세금 15.4% 안떼고 1.4% 만 뗍니다.
    그래서 5% 초반대 적금만 들어도 여타 다른곳보다 이율 높은 효과를 볼 수 있읍니다.

    ※주의※

    작년 10~11월에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쏟아졌고, 지금은 만기가 거의 다 돌아왔읍니다.

    순채무한도에 걸려 신협에서 적금을 제때 찾지 못했다는 뉴스가 뜨고 있으니 잘 알아보고 가입하시읍씨오
    https://biz.sbs.co.kr/article/20000143032?division=NAVER
    명상의시간
    5천까지는 예금자 보호 받을슈 있겠지용?? (물론 전 주식 몰빵이라 해당 사항은 없지만 ㅋㅋㅋㅋㅋㅋ)
    넵 예금자보호 됩니다 ㅎㅎ
    메존일각
    전 우리종금 씁니...
    사이다 통장도 연 3.5%에 별다른 조건이 없어서 나쁘지 않아보이더군요.
    지금 토스뱅크에 넣어놨는데 저도 옮길까 고민중입니다.
    어차피 5천 예금자보호는 그만한 돈이 없으니 ㅋㅋㅋ
    R세제곱인생(삼유인생)
    작년에 금리 잠깐 5% 넘게 찍는 1년 정기 예금 상품들 나왔을때 여기저기 싹 몰아넣은 와이프님께 다시 한 번 감사를...
    1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과학기술인공제 혹시 되시는 분들은 여기도 아주 좋습니다
    revofpla
    청년 금리우대 충성충성....
    1
    Beer Inside
    예금은 자산을 불리는 것이 아니지요.

    자산이 감소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

    문제는 자산을 불리고자 다른 것을 하면 더 빨리 감소되기 때문에....
    5
    그쵸 억제기 ㅋㅋ
    1
    러신머닝
    2번은 지난주까지 하고 없어진 것 같습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저도 알고 싶지 않았습니다..)

    11월 18일날 상품판매 종료 됐네요 -_-;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35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2) - 국내 수출상이 해외 수입상을 위해 대신 지급하여 준 금원이 국내 수출상 법인의 '손금'으로 산입될 수 있는지 김비버 23/12/15 2090 6
    14318 경제CFO Note: 사업과 세금 (1) - 협력업체 직원들에게 지급한 야근식대가 '접대비'에 해당하는지 1 김비버 23/12/08 2440 6
    14290 경제주식양도소득세 정리(2022. 12. 31. 법률 제19196호로 일부개정된 소득세법 기준) 7 김비버 23/11/22 3452 7
    14285 경제주식 무서워요, 예적금 못기다려요, 목돈 아니예요! 하지만 돈은 불리고 싶어요! 12 Groot 23/11/20 3206 4
    14187 경제국회의원들은 노후도시 특별법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9 구밀복검 23/10/12 3784 9
    14166 경제2022 상위 1% 보고서. NH투자증권 100세시대 연구소 5 moqq 23/10/02 3066 1
    14163 경제2022 중산층 서베이. NH투자증권 15 moqq 23/09/29 3099 2
    14116 경제그냥 쉬었다는 청년들 증가, 정말 노동시장 상황 악화 때문인가 3 카르스 23/08/22 3564 5
    14105 경제민간 기업의 평생 금융 서비스는 가능할까 11 구밀복검 23/08/15 2963 6
    14101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9 김비버 23/08/12 3027 26
    14066 경제재벌개혁 관련 법제의 문제점(1) – ‘일감몰아주기’ 증여의제 과세 3 다영이전화영어 23/07/26 2778 6
    13866 경제심심풀이 5월 종합소득세 이야기 10 Soul-G 23/05/16 2233 3
    13613 경제사교육 군비경쟁은 분명 출산율을 낮춘다. 그런데... 10 카르스 23/03/02 3383 11
    13513 경제인구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에 미칠 6가지 영향 13 카르스 23/01/27 4275 10
    13457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8 카르스 23/01/04 2823 12
    13436 경제정규직보다 계약직 월급이 많아야하고, 전세는 집값보다 비싸야 한다. 19 cummings 22/12/29 3905 3
    13411 경제인플레이션이 뭘까요? 2 realwealth 22/12/19 3015 3
    13402 경제이 사건의 시작은 질게의 한 댓글이었습니다. 11 아비치 22/12/17 3253 25
    13353 경제위즈덤 칼리지 7강 Review 모임 특별편 (?) - 주간 수익률 게임! 16 Mariage Frères 22/11/26 2709 2
    13350 경제부동산에 대한 잡썰 15 Leeka 22/11/25 3586 0
    13087 경제중국경제에 대해서 드는 잡생각들 9 인석3 22/08/16 3729 0
    13062 경제멀리 가버리는 유럽의 전력가격 5 Folcwine 22/08/06 3577 0
    13015 경제가계부채에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비율은? Leeka 22/07/23 3035 0
    13008 경제코인·투자 손실금까지 변제해주는 게 맞냐? 30 Wolf 22/07/20 4327 22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3577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