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24 15:55:22수정됨
Name   카르스
Link #1   https://drive.google.com/file/d/17yfGof9W94xziwXDl-q5nsjh2-4LxaJl/view
Subject   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9


    cummings
    20년 뒤의 미래가 잘 상상이 안가는지라...막연하게 두렵네요.
    (당장 초등학교 한반에 40명인 어린시절 보냈는데, 한반에 12~15명이라는 현실도 당황스러운데 말이지요.)

    현 체제로 버팅기기다 무너지든 부양비용이 높아지는 새로운 체계로의 변경이든 어느쪽도 명쾌하지 못한것 같은데
    개개인에게 있어 최선의 답은 탈한국 혹은 해외투자 이려나요;;
    2
    카르스
    제가 계산해 본 적 있는데, 학령인구 감소 외에도 교사 확충도 어느정도 작용합니다. 교사 확충이 교사대비 학생 수 감소의 30-60%, 반대비 학생 수는 감소의 15-30% 정도를 설명합니다.

    최근 몇십년간의 인구부양비가 너무 좋았긴 좋았고, 어느정도는 단기적인 '일탈'에서 벗어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세계적으로 인구로 경제 성장하는 시기는 끝났다(Mason et al., 2022)던 지적이 나오는더라, 이민이든 투자든 탈한국은 계산기 잘 돌려야 합니다.
    3
    실베고정닉
    말씀대로 인구로 경제성장하는 시기가 끝났기 때문에 더이상 출산율을 올려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2
    그럼 인구가 성장하는 쪽에 투자하면..?
    인구가 계속 성장하는 미쿡이나 인도, 아프리카 등에 대해서는 학계 의견이 어떤가요?
    1
    하우두유두
    주식회사 한국을 폐업처리할게 아니라면요 ㅠㅠ
    2
    기본적으로 이미 애를 낳을 수 있는 인구가 많이 줄어들어 있어서 출산율이 어느 정도 반등해도 생산가능인구가 늘어나는 데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죠. 셋째, 넷째 가는 것이 뉴노멀이 되어 지속되면 모르겠지만. 출산율도 회복시켜야겠지만, 인구 감소 시대에 대응해야 할 것 같습니다.
    2
    카르스
    2001-2019년 출생아수 감소 절반 정도가 주 출산연령인구의 감소로 설명되는 게 현실이죠. (Yoo, 2022) 나이 생각하면 2000년대 이후 초저출산 시대도 아니고 60-80년대 급격한 인구변천 시대에 벌어진 출산율/출생아수 감소가 지금까지 내려오는 것입니다. 인구변천이 꽤나 결정타였던 셈이지요.
    1
    실베고정닉
    인공지능이 발달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실업자가 되는 현실인데 출산율 증가는 오히려 독일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으로 기본소득제가 정착된다면 출산율이 낮은 한국은 인구자체가 줄어들어 기본소득만으로 윤택한 생활을 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1
    카르스
    음... 글 내용과 상관없이 자기할말만 하는 댓글을 반복적으로 달고 계신데 가급적 자제해주셨으면 합니다.
    두번우려낸티백
    특이점 돌파하면 남북관계, 노령화, 부정부패, 범죄율 등 모든 문제가 쉽게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걸 전제로 깔아버리면 모든 분석과 논의도 필요없어져 버리죠.
    1
    실베고정닉
    Chat GPT만 봐도 실제로 다가올 특이점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인공지능에 대해서 좀 아시나요?? 인공지능이랑 기본소득같은게 무슨상관인지..
    기본소득으로 모두가 윤택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말은 동의가 안되네요.
    결국 인공지능과 로봇이 생산력을 높여주면 나머지 인구들은 윤택해진다? 이거인데
    생산력이 발달해서 모두가 먹고 남을 만큼의 식량이 생산되는 현 상황에서 기아가 줄어들었나요?
    인공지능과 로봇을 만드는 사람들이 다른 인구들 부양하려고 그거 만드는게 아니라
    이윤을 자기가 다 먹으려고 만드는 것 아닐까요?
    1
    서포트벡터
    글 안 읽으시고 댓글 다시는것 같이 느껴지네요
    1
    Mandarin
    혹시 그 기본소득을 누가 생산하나요?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1
    실베고정닉
    인공지능이 생산하죠
    두번우려낸티백
    (부양대상인구)/(부양하는 인구) = (인구부양비) 는 어떤 경우에도 악화될 것이 확정적이고, 이로인해 높은 인구부양비를 감당해야한다는 내용과 "한국에 인구가 너무 많아서 줄어도 된다"는 식의 댓글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이 글은 인구수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인구 비율에 대한 내용인데요.
    1
    집에 가는 제로스
    이게 저출산 때문이 아니라고하면 이상하죠. 이미 이루어진 '과거의 저출산' 때문이다 라고 하면 모를까.. 지금의 초저출산은 그 '급격한 인구전환'의 일부고 결과죠. 이미 줄었으니까 개선되도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말은 응 이미 망했어 소용없어 라는 건데, 네 이미 망했지만 덜 망해야하니까 저출산 대책하는 겁니다..
    1
    카르스
    부제에서 보듯이 출산율이 6에서 대체출산율인 2.1까지만 떨어졌어도 급격한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습니다. 혹시 2.1까지 급격하게 떨어진 것도 문제라 할지 모르는데, 이건 고도성장과 함께 찾아온 자연스러운 생활양식의 변화라 막을 수 없었습니다. 급격한 출산율 저하는 인구배당이 되어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기도 했고요.
    바라스비다히
    DNR 의무화법 만들고, 대통령 내외 시작으로 선출직 공무원 전경련 회장님네들 해서 먼저 싸인받는 쑈 한번 합시다.
    1
    대통령 내외는 출산부터 하는 건 어떨까요?
    1
    이런 논리라면
    우리나라는 이민을 대폭 받아들여야 하는거 아닐까요?
    카르스
    인구 감소는 부분적으로나마 커버 가능한데 '부양비 악화'는 이민으로 커버 못 합니다. 외국인들도 나이를 먹기 때문에 부양비 악화를 계속해서 막으려면 말도 안되는 수준의 이민유입이 있어야 합니다.
    1
    결론은 "그 어떤 국가도 인구부양 효과는 영원할 수 없다." 처럼 느껴지네요. 낮은 인구부양률을 계속 유지하려면 세대간 인구수(=출산률)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노인 비율은 지속적으로 낮아야만 하는군요. 즉, 인구부양률의 악화는 국민건강 증진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반되는것이구요.

    이런 관점에서보면 산아제한 정책이라는 국가에서 단 1번 가능한 마약(?)을 적절한 타이밍에 쓰고 그 효과를 봤다고 평가할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논문 전문을 다 읽어본 건 아니라 오독했을 수도 있긴 하지만 약간의 코멘트를 해보자면 (당연히 글쓴... 더 보기
    결론은 "그 어떤 국가도 인구부양 효과는 영원할 수 없다." 처럼 느껴지네요. 낮은 인구부양률을 계속 유지하려면 세대간 인구수(=출산률)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노인 비율은 지속적으로 낮아야만 하는군요. 즉, 인구부양률의 악화는 국민건강 증진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반되는것이구요.

    이런 관점에서보면 산아제한 정책이라는 국가에서 단 1번 가능한 마약(?)을 적절한 타이밍에 쓰고 그 효과를 봤다고 평가할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논문 전문을 다 읽어본 건 아니라 오독했을 수도 있긴 하지만 약간의 코멘트를 해보자면 (당연히 글쓴분이 아니라 논문 저자분께), 현실과는 거리가 있을 Locus of "Stable population" 보다는 현재 한국의 인구구조가 걸어온 발자취와 인구구조상 이상적인 최상의 발자취를 비교해보고 언제 어떤 선택을 했어야했고 지금은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를 제시해줬으면 흥미로운 관점이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ex) 산하제한 정책의 효과는? >> 안하고 당시 출산률 유지했다면 부양비 발자취는 어떻게 되었을까
    출산 장려 정책으로 전환해야했을 최적 시점과 목표는? >> xx년부터 출산률을 y.y 유지했다면 부양비 발자취는?


    지금 결론은 약간 밋밋하달까... 어쩌피 망할 운명이였어 이런 느낌이라 메시지가 약한 것 같습니다.
    1
    Paraaaade
    아 그런데 다른 분 논문소개가 아니라 본인이 직접 자료조사하고 그리신건가요?
    1
    카르스
    1. 고출산에서 저출산으로 이행하는 인구학적 전환에 의한 급격히 낮아진 아동비율 + 아직 안 높아진 노인비율의 인구배당 조합은 영원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어떤 방식으로든 인구배당이 악화되는 건 필연입니다.

    2. Stable population 조건 안 걸면 출산연령대 인구비율, 사망률 등의 편차에 따라 같은 출산율이어도 인구증가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의 출산율은 1984년에 대체출산율 아래로 떨어졌지만 출생이 사망보다 적어진 건 35년 뒤였지요. 사망률 감소가 빨랐고, 출산연령대 인구가 그동안의 인구성장으로 꾸준히 늘... 더 보기
    1. 고출산에서 저출산으로 이행하는 인구학적 전환에 의한 급격히 낮아진 아동비율 + 아직 안 높아진 노인비율의 인구배당 조합은 영원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어떤 방식으로든 인구배당이 악화되는 건 필연입니다.

    2. Stable population 조건 안 걸면 출산연령대 인구비율, 사망률 등의 편차에 따라 같은 출산율이어도 인구증가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의 출산율은 1984년에 대체출산율 아래로 떨어졌지만 출생이 사망보다 적어진 건 35년 뒤였지요. 사망률 감소가 빨랐고, 출산연령대 인구가 그동안의 인구성장으로 꾸준히 늘었기 때문입니다. 어쩔 수 없는 가정이긴 합니다.
    말씀하신 다양한 시나리오 없는 건 저도 아쉬웠는데, 1950년대부터 2050년대까지 긴 기간으로 바라보는 학자의 특성 상 어쩔 수 없는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 다른 분 세미나 발표소개 맞습니다.
    Paraaaade
    아무래도 카르스님께서 후속 연구를... 후다닥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844 사회반사회적인 부류들이 꼬이는 사회운동의 문제 4 카르스 23/05/13 3287 9
    13758 사회프랑스 국민들이 연금개혁에 저항하는 이유 6 여우아빠 23/04/16 3244 0
    13748 사회의치한약수 열풍은 언제부터 극심해진 걸까요? 28 비물리학진 23/04/12 5645 0
    13747 사회대학입시 제도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14 비물리학진 23/04/12 2862 0
    13699 사회대한민국 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지나치게 높은 징집률이라고 생각합니다. 15 강세린 23/04/01 4014 0
    13684 사회법적으로 심신미약자의 죄는 감경하거나 면제한다는데... 17 강세린 23/03/29 3067 0
    13683 사회미국 이민가도 지속되는 동아시아인의 저출산 패턴 27 카르스 23/03/28 4296 14
    13677 사회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인연령기준이 필요하다 - 장래연령 관점 9 카르스 23/03/27 2902 3
    13676 사회<시어도어 카진스키>를 아시나요? 10 강세린 23/03/27 3712 0
    13675 사회미 하원의 틱톡 청문회 - 틱톡은 미 국가안보의 위협이 아니리라 6 코리몬테아스 23/03/27 2935 4
    13654 사회싱가포르 정부의 이주가사노동자 도입과 관리방식 4 dolmusa 23/03/21 3485 8
    13650 사회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권리도 없는 걸까요? 23 강세린 23/03/20 4094 0
    13633 사회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17 레게노 23/03/11 3989 3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4571 9
    13583 사회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13 카르스 23/02/21 3228 7
    13569 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6 카르스 23/02/15 2982 6
    13564 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 아이솔 23/02/13 3703 16
    13550 사회수도권 집중, 정말 일자리가 문제일까 19 캡틴실버 23/02/07 3511 6
    13549 사회공군 일병 숨진 채 발견…가족에 "부대원들이 괴롭혀 힘들다" 호소 16 revofpla 23/02/07 3162 0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926 9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3527 29
    13510 사회미국 사람들은 왜 총기사고에 둔감할까? 2 서포트벡터 23/01/26 3716 6
    13486 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2957 10
    13432 사회빌라왕 또 또 사망. 반년사이 3명째 숨져 10 Leeka 22/12/28 3947 0
    13427 사회바이크 타는 양아치로 살아가기 4 당근매니아 22/12/26 2747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