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22 16:00:40
Name   카르스
Subject   이명박 정권 초기를 보는듯한 2023년 한국정치
(* 편의상 좀 편한 말투로 쓰겠습니다)

요즘 한국 정치를 보면서 기시감을 많이 느낀다.
단순히 여야가 잘한다 못한다를 넘어
정치 구도, 정치적 이슈, 여야의 구조적 문제 등이 이명박 정부 초기를 연상시킨다.
고유명사나 시기만 가리면 뉴스들이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2010년 때와 구분이 안 될 정도.  

내가 정치에 처음 눈을 뜬 게 이명박이 당선된 17대 대선 전후라서 그런걸까,
요즘 뉴스를 보면 그때가 많이 연상된다.


1. 보수세력의 비판으로 민주당계 정당에서 보수정당으로 정권이 교체됨
노무현 정부가 보수세력에게 얼마나 많은 비판을 받았는지는 말을 말자,
문재인 정부도 비슷했다.
두 정권 모두 보수정당으로의 정권교체로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정권교체로 집권한 이명박, 윤석열 정부는
'노무현, 문재인 정부'의 과오를 청산하겠다는 새로운 드라이브를 밟았다.


2. 보수 내부에서는 비주류인 보수세력의 집권.
이명박은 사실 보수정당계에서는 계보적으로 적통이 아니고, 비주류에 가깝다.
그래서 세력도 팬덤도 상대적으로 약하다.
이명박 박근혜는 연이어 집권했고, 모두 감옥에 갔지만
석방을 탄원하는 극성 팬덤이 있었던 박근혜와 달리 이명박은 아무도 돌봐주지 않았다.
그리고 이 결함은 3.의 특성으로 이어진다.

윤석열도 마찬가지다.
정치인 출신은 아니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검찰총장을 하다가 전향했다는 아이러니까지 있다.
보수 정당에서 자력으로 키워낸 정치인이 아니다.  
윤석열은 민주화 시대 대통령 중 유일하게 국회의원 경험이 없는 대통령이다.
(이재명도 당선됐다면 마찬가지지만)
그래서인지 관료 + 검찰이라는 비선출직 세력에 크게 의존한다.

더 재미있는 것. 윤석열 정부 인선을 보면 MB정권에서 한몫한 출신들이 꽤나 많다.
두 정권의 구조적 유사성 때문인지 인사까지 서로 연결이 된다.


3. 초기부터 삐걱거리는 대통령실과 여권의 정치력
이명박 대통령은 초기부터 '고소영 내각' 인사 논란이 있었고, 인수위에서 영어몰입교육, 한반도 대운하 등 무리수 공약을 들고나와 많은 비판을 받았다. 국민과의 소통도 제대로 되지 않았으며 독선적이었다. 이로 인해 불통정부, 불도저, 삽질정부라는 많은 비판을 받았고, 이는 광우병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을 통해 촛불시위로 터지게 된다. 그리고 집권 1년차에 지지율 20%대라는 굴욕을 맞는다. (한국갤럽 기준)
저 시절 정책들이나 언행을 돌아보면 제정신인가 싶다. 지금만큼 매니페스토 개념이 강한 시대가 아니라 그런가.
아마 저번 대선에 윤석열이 한반도 대운하급 공약을 내세웠으면 선거에서 졌을 게 분명하다.

윤석열도 연이은 부적절한 언행 논란과 펠로시 방한 논란 등으로 1년차에 지지율 20%대라는 진귀한 기록을 만들어냈다. 이것보다 더 못할 수 있을까 싶은 기괴하고 일관성 없는 언행의 연속이 만들어낸 참사였다. 이명박저처럼 '미국산 쇠고기 수입 논란'같은 한 방이 없었기에, 어찌보면 이명박보다 더한 참사이다.

이명박은 이 위기를 돌파하려 전임 대통령 노무현을 수사했다가 자살로 몰고가 정치적 후폭풍을 만들어낸다. 이는 문재인 당선으로까지 이어진다.
윤석열은 현재 이재명 전 대선 라이벌을 수사 중이다. 과연 어떤 결말을 맺을까.


4. 야당(특히 민주당계 정당)의 상대적인 무능함
이명박 정권은 임기 초부터 지지율이 매우 낮았다.
반-이명박 세력은 강했고, 특히 인터넷의 반MB 정서는 극에 달했다.
그리고 분명히 욕먹을 짓을 많이 하고 다녔다.

그럼에도 민주당계 정당들은 그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정치감각이 없어 보였고, 툭하면 도를 넘은 막말을 내뱉어서 역풍을 불게 했고,
강성 야권 지지자들에나 영합할만한 소재를 사용했고,
무조건적인 반대를 위한 반대를 했다.
이로 인해 반MB 시민들도 "MB는 싫지만 야권도 솔직히 무능하고 답답하다"는 정서를 가져야 했다.
이는 문재인으로 정권교체된 이후 보수정당의 태도와 완전히 일치하다.

윤석열 정부도 비슷하다.
지지율은 집권 시기를 생각하면 역대 정권 중 제일 낮은 축이지만,
그럼에도 여당 국민의 힘은 제1야당 민주당보다 지지율이 비슷하거나 높아왔다.
국회의원은 많지만 중심되는 인물이 없고,
강성 지지자들 말고는 공감하기 어려운 소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보다보면 민주당에 도대체 중도층 전략이 있긴 한지 의심스럽다.
김건희, 천공스승, 이재명은 분명 불투명한 윤 정권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소재이지만,
지금같은 경제위기 시기엔 민생 위주로 키워드를 정리해야 하지 않을까?


5. 히스테릭한 민주당 강성 지지자들
사소한 정치적 해프닝을 가지고 어마어마한 일이 터진 양 구는 강성 지지층들이 있다.
이명박 초기때 극성 민주당계 지지층들이 그랬다.
이들의 주장을 종합하자면 광우병 문제는 한국인들을 멸종시킬 수 있는 건이고,
(물론 이명박 정부의 독선적이고 불투명한 태도가 화를 키웠지만, 루머도 분명히 있었다)
이명박은 어마어마한 독재자일 따름이며,
세계의 모든 정치인들과 외교관들은 이명박의 간악함을 깨달아서 왕따시키고 있고,
이명박 때문에 세계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하도 무리수가 많다보니, 보수 인터넷 세계에서
이것 모두를 일으킬 수 있는 이명박은 신이라는 조롱조의 이명갓 드립도 있었을 정도.

문재인 때는 보수정당계 지지층들이 이런 식이었고 많이 답답했는데, 
지금은 다시 민주당계 지지층들이 이러고 있다.
행보 하나하나를 과대해석해서 윤석열을 한국 정치계의 둘도 없는 최악의 정치인으로 만들고
(물론 많은 부분에서 최악인 건 맞다)
세계의 모든 정치인들과 외교관들은 이명박의 간악함을 깨달아서 왕따시키고 있고,
방역정책의 구조적 변화를 생각지도 않은 채 확진자가 급증했는데 정부는 뭐하는가를 외쳐대고,
근래의 경제위기가 전부 윤석열 때문인 것처럼 말한다.

이런 극성 지지층의 행보는 4. 요소와 합쳐져서 민주당계의 낮은 확장성 문제로 이어진다.
미안하지만 당신들의 그런 레토릭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소수다.


6. 경제위기 리스크
이명박 초기에 세계 금융위기가 덮쳤다면 윤석열 초기에 세계 경제 침체를 맞이하고 있다.
경제위기의 잠재적 수준은 많이 다르지만.
어느정도의 불필요한 삽질(이명박 정부때 환율정책, 현 정부 때 김진태의 레고랜드 위기 등)이 있는 것도 비슷하다.


15여년 간격으로 정치구도, 이슈, 국제경제상황 등이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흥미롭다.
하지만 단순히 흥미로울 수 없다.
글을 읽어보면서 느꼈겠지만 유감스럽게도 여야 모두 그때의 나쁜 행태를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정치는 15년 전의 구도에서 대체 무엇을 배운 걸까?



4


    VinHaDaddy

    그냥 이 생각이 먼저 떠오르네요.
    1
    듣보잡
    이거는 제가 다른 의견을 말씀드릴 수밖에 없겠네요... 이번 정권은 비교 대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역대급으로 봅니다. 언급해 주신 유사한 부분들이 있읍니다만, 그런게 의미가 없을 정도로 비교포인트들조차도 너무 열화되어서 비슷하다고 느껴지지가 않읍니다. 전 정부도 정말 역대급이라고 생각했었는데, 1년도 안되서 갱신해 버렸읍니다.
    7
    Cascade
    08민주랑 23민주를 비교하는 건 23민주에게 너무 실례입니다... 그 정도로 08민주는...음....

    그리고 민생 위주로 키워드 바꾸라고 하는데 민생은 어차피 선거 때 아다리 맞으면 꽃놀이패고 안 맞으면 안 챙겨도 되는 마당에.

    게다가 민생 정책이라는 건 허상에 가까워요. 민생이라는 거 자체가 경제가 잘나가는 것밖에 답이 없는데... 이거 뭐 정책으로 커버 가능한 부분인가요? 우리 사회가 10년 20년 이상 지나오면서 만든 경제 정책이 지금의 우리 한국 경제를 만든 거고 이게 어디서 유전이라도 쏟아지는 게 아닌 이상 ... 더 보기
    08민주랑 23민주를 비교하는 건 23민주에게 너무 실례입니다... 그 정도로 08민주는...음....

    그리고 민생 위주로 키워드 바꾸라고 하는데 민생은 어차피 선거 때 아다리 맞으면 꽃놀이패고 안 맞으면 안 챙겨도 되는 마당에.

    게다가 민생 정책이라는 건 허상에 가까워요. 민생이라는 거 자체가 경제가 잘나가는 것밖에 답이 없는데... 이거 뭐 정책으로 커버 가능한 부분인가요? 우리 사회가 10년 20년 이상 지나오면서 만든 경제 정책이 지금의 우리 한국 경제를 만든 거고 이게 어디서 유전이라도 쏟아지는 게 아닌 이상 단기간에 정책적으로 큰 변화를 이끌기는 어렵죠. 정치인들이 민생/경제 정책에 별 관심 없는 것도 그거구요. 어차피 나는 4년따리고 지역주민 입장만 대변하면 된다 이거죠

    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랬지만 민생 정책이라는 건 없어요. 그냥 경제 정책이 있고 거기서 국회의원들이 백날 해봐야 결과 나오는 건 빨라야 5년~10년 후라는거
    12
    이재명의 기본소득이 있습니다. 전 국민연금부터 어떻게 해결했으면 하지만.
    1
    캡틴실버
    천공과 여사, 용산 청사, '날리면....' 전 그 사람을 기존 어떤 인물과도 비교할 수 없는 독보적인 존재라고 봅니다. MB와 급이 다릅니다. 용산 청사 이전하듯 실제 운하도 뚫을수 있는 인물이죠.
    7
    입법권이 어디에 있나는 매우 중요합니다.
    MB는 과반여당(개헌도 가능했던 보수국회) + 21세기 중 가장 허약했던 제1야당을 등에 업었었고요.

    MB가 광우병의 반동으로 노무현을 압박하지만 않았으면,
    현재 한국정치는 일본과 유사하게 돌아갈 가능성이 꽤나 있었다고 봅니다.
    그 정도로 광우병 이후의 MB정권은 꼼꼼하고 치밀했어요. 그 배경은 견제받지 않았던 절대권력이었고요.

    수면 위로야 MB정권과 여러모로 비슷하지만, 그 기저는 상당히 다릅니다.
    3
    CheesyCheese
    MB와 윤석열의 비교는.. 정말 MB에게 실례죠 ㅎㅎㅎ
    마찬가지로 08민주 및 정동영도 역대급이었습니다 ㅋㅋ
    이재명은 한끗차이로 졌지만 정동영은..
    5
    노바로마
    지금 민주당도 솔직히 유능하진 않지만 08 민주당이랑은 비교가 안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
    노바로마
    08민주당은 진짜 총체적 난국이라는 소리가 모자랄 정도로 참여정부 레임덕 역효과, 리더십 부재, 차기주자 공백, 계파갈등 극심 등 최악이었습니다.

    현재 민주당의 문제라고 해봤자 현 정부의 실책을 100% 받아먹지 못하고, 일부 포인트에서 공격 받는 정도인데, 물론 문제가 있지만, 이 정도는 그리고 나름대로 야당 입장에서 정말 선녀인겁니다. 지지율 관리도 하고 있고, 차기주자도 이재명 김동연 등 눈에 보이고 있습니다. 심각한 계파갈등이랄 것도 없습니다. 비명이 전혀 없는건 아니지만, 두드러지는 세력 구축이 된 것도 아니구요. 리더십 흔들기도 심하지 않구요.
    1
    08민주당은 김대중의 아이들, 그리고 노무현의 아이들 전부 날개가 꺾인 시기라 지금과는 비교가 안되죠.
    게다가 인구구조, 정치적 아젠다 등 민주당의 체급 자체가 그때랑 차원이 다릅니다.
    2
    한반도 대운하급의 역대급 정책을 막 던졌지만 다행히(?) 지지층이 그 공약이 실현될거라고 믿지 않았기에 맘 편하게 윤통을 찍었죠...
    3
    호에로펜
    4번과 5번에 특히 공감 많이 갑니다.



    추천합니다
    1
    통해서 인싸왕이명박.jpg 돌린거아닌가여
    1
    민주당 못한다고 뭐라 하시는 분들의 결론은 이재명이 당대표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5년 전 이맘 때 국힘 시절과 비교하면 23민주당은 선녀 그 자체죠. 이재명이 아니었다면 이정도로 욕먹었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이런 수준의 민주당에게 실망하는 사람들도 할 말은 없는게, 5년 전 국힘도 그 정도 수준 유지하면서 정권 재창출 했거든요. 그런 부분을 감안하면 민주당이 바뀔 필요는 딱히 없어 보입니다.
    3
    노무현 정부와 그 시기 민주당은 이재명의 민주당과 비교해서 더 도덕적이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1
    1번부터 에러입니다. 특정 세력이 작업질 해서 정권 교체 된게 아니라 전 정권이 못해서 유권자들 만족을 못 시켜서 정권 교체 된거죠;;;
    탄핵 이후 지지율 80퍼로 시작한 정권이 정권 교체 주기 10년설도 못 이기고 5년만에 바로 뺏겼는데 남탓하는건 동의가 안 되네요.
    5
    오호라
    그때와 지금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여소야대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23민주당이 08민주당만큼이나 지리멸렬하지는 않아요.
    1
    그리고 역대 야당들이 제대로 된 민생행보를 보인 사례가 있었는지도 궁금합니다.
    (민노당과 같은 소수정당은 제외)
    제 기억에는 그런 경우가 별로 없는데
    우리나라 거대양당은 유럽의 정당들과는 달리 빅텐트에 가깝기 때문에
    색깔이 강한 정책을 내세우기가 어려워요.
    1
    원금복구제발ㅠㅠ
    가끔 인터넷 하다보면 이재명 전과로 윤석열 찍은걸 셀프실드 치는 사람이 아직도 있다는게 좀 놀랍더라구요..

    거기에 더해서, 윗분들 말대로 우리나라는 양당 어디든 '돋보이기 위해서' 경제정책 펴려는 액션이 보이면 다 망합니다.
    그냥 기업들 가는길 잘 가시도록 큰 기업 위주로 지원 해주고, 기업승계같은 짓거리 할때만 강하게 손대면 됩니다.
    그 외에는 제발 뭐 주도적으로 'XX경제' 어쩌구 하면서 나서지좀 않았으면...

    윤석열도 이쯤되면 스스로ㅗㄷ 알것같은데.. 걍 본인이 깜냥이 안되는것 같으면 셀프 하야를 하든지 해야..
    1
    윤석열은 퇴진 전까지 자기가 잘하는줄 알 거 같은데요
    1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제가 민주당도 책임있다를 입에 물고 사는 사람이지만 이거는 동의가 좀 어렵네요. 07년 민주신당과 22년 민주당을 비교하면 무조건 후자 압승입니다. 07년 한나라당과 22년 국민의힘을 비교하면 무조건 전자 압승이구요. 애초 정동영과 이재명은 후보의 퀄리티 자체가 상대가 안됩니다. 가장 압도적으로 진 후보와 가장 아깝게 진 후보를 그냥 "졌으니 동치"라는 거는 동의하기 어렵죠.

    이것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벡터의 방향이 같으니 2와 100은 동치이다 이런 느낌이 들어요.
    3
    예전에 잘 통하던 촛불시위나 집회등이 요즘은 안통하더군요
    도리어 그런 이벤트 열리면 윤석열 지지율만 오르는 등 여태 쌓은 업보가 터지고 정치패턴의 지루함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진듯 합니다
    현정부가 국정을 이정도로 못하면 민주당이 반사이득을 얻어 지지율 높아야 하는데 전혀 오르지 않고 무당층만 늘어가는 듯합니다

    자신들은 깨끗하고 유능하고 정의롭다 외치길래 국민들이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정부 싹 다 몰아줘봤죠
    보여준 것은 내로남불 무능 구태 안일 페미 악법이라 업보청산으로 대통령 내주더라구요.

    옛날의 민주당과 586의 민... 더 보기
    예전에 잘 통하던 촛불시위나 집회등이 요즘은 안통하더군요
    도리어 그런 이벤트 열리면 윤석열 지지율만 오르는 등 여태 쌓은 업보가 터지고 정치패턴의 지루함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진듯 합니다
    현정부가 국정을 이정도로 못하면 민주당이 반사이득을 얻어 지지율 높아야 하는데 전혀 오르지 않고 무당층만 늘어가는 듯합니다

    자신들은 깨끗하고 유능하고 정의롭다 외치길래 국민들이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정부 싹 다 몰아줘봤죠
    보여준 것은 내로남불 무능 구태 안일 페미 악법이라 업보청산으로 대통령 내주더라구요.

    옛날의 민주당과 586의 민주당은 너무나 다른듯 느껴집니다
    요즘은 그냥 또 이상한 법 입법할까봐 겁나고 극성지지자들이나 좋아할 말이나 던지는 꼴이 걱정스러운데 잠자코 있는게 국민들 편하고 업보 안쌓아 정권 되찾는데 도움되겠다 싶습니다. 굳이 나댈 필요가 없는 정당됐어요 나대면 업보만 쌓입니다.
    1
    오호라
    글쓴이님이 생각하시는 야당으로서의 민생 행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
    지나가던선비
    세금폭탄 이런 민생관련 워딩과 아젠다를 만들어가는 여당이 될 일은 없을 것이고, 1번은 그냥 비판 자체로만 초점을 맞추셨다고 이해했습니다만 차이점도 보자면 그래도 노무현때는 양극화가 심하다는 비판은 있었어도 경제지표는 좋았는데 이전 정부는 경제지표가 많이 안좋았죠.(부동산 상승은 공통점) 외부요인(중국의 성장vs 코로나19)이 크긴 합니다만 지표가 좋았음에도 만들어서 때렸던 그당시 언론과 비교했을때 최근 정권을 때렸던 보수언론은 뭔가 독자적인 힘은 약해진 감입니다.

    지지율 추이도 다르네요 중간에 폭삭 주저앉았던 지지율의 참여정부는 그래도 마지막에는 오름세로 마감, 역대급 지지율로 시작했던 문정부는 떡락으로 마감. 그래도 재미있는 비교였습니다
    1
    재밌네요. 뭐 어거지 끼워맞추기라고 느낄 사람도 있겠지만, 한 20년 넘게 보다보니 어거지든 아니든 권력을 향한, 혹은 가진 인간 군상 결국은 비슷하단 생각 밖에 안들더군요.

    바뀐다고 나아지는 거 1도 없는 거 이제 학습으로 아는데, 그렇다고 하나만 독식하면 안되니 걍 번갈아가면서 해~ 라는 생각 밖에 안듭니다 이제.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39 정치'실무중심 법학'의 모순과 문제점 (1) 3 김비버 23/09/10 2733 11
    14131 정치구척장신 호랑이 포수 장군의 일생 3 당근매니아 23/09/05 2220 14
    14128 정치와 지친다... 16 매뉴물있뉴 23/08/31 3238 3
    14071 정치필리핀 정치 이야기(1) - 학생운동과 NPA 4 김비버 23/07/27 2801 22
    14055 정치그냥 오늘 커뮤보면서 했던 생각 37 매뉴물있뉴 23/07/21 4879 37
    14008 정치전제주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진단해본 윤석열 (+문재인-이재명과 비교) 4 카르스 23/06/28 2948 10
    14004 정치정부의 노동조합 회계 공개요구와 ILO 기본협약 제87호 간 충돌 4 당근매니아 23/06/26 2358 9
    13985 정치트럼프의 놀라운 범죄 ~ 잃어버린 문서를 찾아서 ~ 8 코리몬테아스 23/06/14 2978 9
    13980 정치스탈린 방식의 '힘의 논리'는 어디까지 통할까요? 10 컴퓨터청년 23/06/13 2981 0
    13954 정치민주당 그냥 생각나는대로 20 매뉴물있뉴 23/06/06 3281 1
    13943 정치지록위마 2 닭장군 23/06/03 2564 0
    13930 정치정치에 관심 끊고 살겠다고 다짐했는데..... 9 컴퓨터청년 23/05/31 2649 1
    13874 정치편향된 여론조사를 알아보는 방법 6 매뉴물있뉴 23/05/18 2724 19
    13848 정치최강욱 의원의 '짤짤이'는 '짤짤이'였습니다. 19 유미 23/05/13 3627 0
    13830 정치김남국 코인논란은 1석3조 + 이준석 '이제는 말한다' 10 Picard 23/05/09 3027 0
    13808 정치미국 국빈방문 성과. 47 moqq 23/05/02 4103 7
    13786 정치찻잔 속 담론들의 시대 25 카르스 23/04/26 3577 7
    13742 정치미국의 판사가 낙태약을 금지시키다 - 위험사회의 징후들 4 코리몬테아스 23/04/11 3481 26
    13728 정치무효표 과락 제도의 제안 8 dolmusa 23/04/07 2768 1
    13724 정치과연 한동훈 장관은 달변가일까? 괘변론자일까? 19 뛰런 23/04/06 3347 0
    13701 정치"윤석열 이XXX야!" 3 캡틴실버 23/04/01 3033 0
    13660 정치스탈린의 어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9 강세린 23/03/23 2399 0
    13644 정치[번역] 2023. 3. 15.자 요미우리신문 윤 대통령 인터뷰 전문 10 자공진 23/03/16 3208 20
    13606 정치재밌네요... 이재명 체포동의안 투표 결과.. 36 Picard 23/02/28 4160 0
    13588 정치이명박 정권 초기를 보는듯한 2023년 한국정치 25 카르스 23/02/22 3869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