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15 16:32:39
Name   카르스
Link #1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363
Subject   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한국갤럽에서 부모 세대 대비 현세대 삶, 현세대 대비 다음 세대의 삶에 대한 
전세계적인 재미있는 여론조사가 나왔기에 소개해봅니다.



전세계적으로 부모 세대 대비 현세대 삶보다 현세대 대비 다음 세대 삶에 대한 전망이 나쁜 편입니다.
기후변화? 국제분쟁? 저성장? 













전반적으로 개도국이 선진국보다 부모세대 대비 현 세대, 현 세대 대비 미래 세대의 삶을 긍정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저소득 고성장 vs 고소득 저성장 구도의 문제인지.

의외로 한국은 타국대비 긍정적으로 응답한 편입니다. 과거세대 대비 현세대의 삶은 63개국 중 세번째로 긍정 응답이 많았고,
현세대 대비 미래세대의 삶은 좀 덜하지만 15번째로 긍정 응답이 많았습니다.
둘 모두 선진국 중에서는 제일 긍정 응답비율이 높은 축에 들어갑니다.






다만 한국의 경우 연령별로 차이가 컸는데, 
부모 세대 대비 현세대의 삶에 대한 평가는 40대 이상에선 압도적으로 좋아졌다가 많다면
20-30대에서도 좋아졌다가 많지만 압도적이지는 않습니다. 30대 남성에선 유일하게 나빠졌다가 더 많음.
한국 20-30대의 삶은 부모세대보다 좋아졌다고 말하기 애매하지만 
40대 이상의 삶이 부모세대보다 개선된 건 논란의 여지가 없는 만큼 자연스러운 응답이라 생각합니다.


현세대 대비 미래 세대의 삶에 대한 평가는 40대 이상에선 좋아진다가 확실히 많다면 (다만 부모 세대 대비 현세대 응답률만큼 압도적이진 않음) 
20-30대는 좋아진다와 나빠진다가 비등비등. 
고도성장기에서 저성장기로 이행했고, 
취업난 저출산 고령화나 지정학적 불안, 기후변화 등 불안요소가 넘쳐나는 한국 트렌드를 생각하면 자연스럽습니다. 


이는 현세대 대비 미래 세대 삶에 대한 평가에서 고령층이 청년층보다 비관적으로 응답한 세계적인 트렌드와는 정반대입니다. 
다만 선진국과 개도국을 가리지 않고 뭉뚱구린 평균 수치라서 애매하긴 합니다. 
저성장 고령화로 고생하는 선진국과 성장률이 높은 개도국에서는 연령별 상관관계가 다를 것 같은데
국가별 연령트렌드는 한국만 나와서 타 선진국은 어떤지는 따로 봐야 할 듯. 
  




6
  • 고퀄은 춧천!


그저그런
현세대가 나빠졌다고 하기엔 사실 절대지표가 워낙 차이 나니까요 ㄷㄷㄷㄷ 홍차넷 으르신들 이전세대면 식민지 시절부터 시작하지 않겠읍니까.
4
하마소
경향성을 무너뜨리는 아웃라이어가 유독 눈에 띄네요.
2
카르스
어느 아웃라이어요?
하마소
첫 질문의 30대 남성을 이야기하였읍니다. 분명 나빠졌다고 생각한다면 나름의 근거가 있을텐데, 절대적 빈곤치라든가 문화적 열외같은 게 이유가 될 리는 없을테고, 결국 박탈감과의 조우밖에 없을탠데 싶은 생각에...
2
카르스
1) 표본이 튀었거나, 첫 질문만 수치가 튀었을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두번째 질문에서는 30대 남성이 평범하게 응답했거든요.

2) 표본이나 첫 질문 응답이 튄 게 아니라면, 20대가 아닌 30대라 인터넷 하위문화의 악영향 문제는 덜한 것 같고, 생업과 결혼, 출산, 육아의 삶에 치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다만 둘째 질문에서 봤듯 지금 나는 부모세대보다 힘들지만 다음 세대는 나을거라는 희망을 가진다는 전제가 더해지고, 비슷한 처지의 30대 여성은 트렌트상 튀지 않는 게 걸리네요.
3
실베고정닉
한국이 워낙 급속성장을 한 나라라

후진국 국민인 고령층과 선진국 국민인 젊은 층이 공존하는 특이한 케이스라고 하는 글을 본적이 있는데

설득력을 더해주는 결과인것 같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77 사회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인연령기준이 필요하다 - 장래연령 관점 9 카르스 23/03/27 2523 3
13676 사회<시어도어 카진스키>를 아시나요? 10 강세린 23/03/27 3335 0
13675 사회미 하원의 틱톡 청문회 - 틱톡은 미 국가안보의 위협이 아니리라 6 코리몬테아스 23/03/27 2669 4
13654 사회싱가포르 정부의 이주가사노동자 도입과 관리방식 4 dolmusa 23/03/21 3135 8
13650 사회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권리도 없는 걸까요? 23 강세린 23/03/20 3721 0
13633 사회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17 레게노 23/03/11 3718 3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4055 9
13583 사회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13 카르스 23/02/21 2976 7
13569 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6 카르스 23/02/15 2732 6
13564 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 아이솔 23/02/13 3400 16
13550 사회수도권 집중, 정말 일자리가 문제일까 19 캡틴실버 23/02/07 3199 6
13549 사회공군 일병 숨진 채 발견…가족에 "부대원들이 괴롭혀 힘들다" 호소 16 revofpla 23/02/07 2882 0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537 9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3236 29
13510 사회미국 사람들은 왜 총기사고에 둔감할까? 2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1/26 3345 6
13486 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2615 10
13432 사회빌라왕 또 또 사망. 반년사이 3명째 숨져 10 Leeka 22/12/28 3549 0
13427 사회바이크 타는 양아치로 살아가기 4 당근매니아 22/12/26 2519 3
13420 사회하나의 그래프로 압축해본 한국 일본사회 비교 29 카르스 22/12/22 3816 6
13392 사회기자는 세계를 어떻게 왜곡하는가 8 dolmusa 22/12/13 3019 10
13391 사회이민 반대 논리중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것 22 Amsden 22/12/13 3077 0
13308 사회한국 사회의 검열이 완화되지 않는 진짜 이유? 80 카르스 22/11/10 5296 7
13294 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2705 15
13282 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6 카르스 22/10/30 4840 29
13276 사회레고랜드가 촉발한 채권 시장 위기를 보면서 정리 7 포르토네 22/10/27 3352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