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10 18:08:12
Name   CheesyCheese
Subject   아이폰 c타입 루머 관련해서..
탐라에 끄적이다가 길어져서 옮깁니다..ㅎㅎ;

https://www.pgr21.com/humor/473464

저는 솔직히 플래그쉽 스마트폰 한번도 사본적도 없고 태블릿도 10만원대 레노버를 쓰며 애플의 폐쇄성과 가격정책은 감성의 영역이라 생각하지만 아이폰이 라이트닝 커넥터가지고 유난떠는것만큼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애초에 모바일 디바이스 성능측면에서 애플의 하드웨어와 타사의 그것은 이미 격차가 많이 벌어진 상황이고, 그 우월한 하드웨어에 걸맞게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량에서도 그 차이가 명확합니다. USB같은 경우는 지금 10gbps가 겨우 상용화됐지만 아직도 5gbps가 메인스트림인 상황이지만 iOS의 최신규격인 썬더볼트4는 에저녁에 40gbps를 지원하고 있거든요. 지금 아이패드에 달려있는 c타입 단자가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양이라해서 그것과 똑같은 표준이 아니라는 겁니다. USB와 썬더볼트는 엄연히 스펙상 큰 차이가 있는 '다른' 규격이에요.

이게 무슨 의미냐면, 썬더볼트4 c타입 포트에 표준 USB c타입 케이블을 연결할 시 40gbps의 스펙인데 5gbps의 성능밖에 못쓴다는겁니다. 충전기가 PD3.0을 지원해도 PD3.0의 풀스펙을 사용할수가 없고, 데이터 전송도 5gpbs속도 내에서만 가능하구요. 예를 들자면 RTX 4080에 144Hz 모니터 사서 연결하는데 HDMI케이블이 FHD밖에 안되는 케이블이라 결국 1080p FHD 퍼포먼스밖에 안나오고 설정에서 강제로 144Hz나 4K로 올리면 케이블 대역폭이 오바되서 화면이 안나오는 상황이 나오는거랑 마찬가지인겁니다. 물론 업계 표준 협회에서 인증받아야만 생산이 가능한 HDMI같은 경우는 그럴 일 없겠지만, 매우 얇은 USB케이블의 경우 케이블 및 커넥터의 자체스펙보다 더 큰 전류량이 들어오게 되면 케이블이 타거나 연결된 커넥터(충전기/주변기기/호스트기기 포함)가 타버릴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걸 방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스펙 차이가 있는 c타입끼리 연결되면 자동으로 낮은스펙의 퍼포먼스로 가동되게끔 설계되어있으나 싸구려 중국제 케이블 및 커넥터를 누가 믿을 수 있겠습니까.

애플입장에서 만약에 모든 썬더볼트를 c타입으로 통합했는데 '이거 아이폰 충전속도 왜이래요' 이러거나 '충전하다가 케이블이 타고 아이폰 커넥터가 망가졌어요' 이런 문제제기가 들어왔는데 알고보니 케이블이 싸구려 중국제 USB케이블이었다 하면 얼마나 속이 터지겠습니까? 엔드유저한테 저런 기술적인 설명을 일일이 다 하는것보다(멀쩡히 잘 쓰던 제품이 원인불명으로 파손되어서 열받은 고객한테 저런 기술적인 설명을 해줘도 소용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차라리 그냥 고객이 케이블 이상한거 쓰는걸 방지하게끔 우린 c타입 안쓰고 독자적인 커넥터 쓰겠다 하는게 맘편하겠죠? 어차피 감성팔이 마케팅 하는마당에 이쪽이 훨씬 더 속편한 대처라고 생각됩니다.

근데 이제 EU가 c타입 안쓰면 안된다고 강제하는 마당이니 어쩔수없이 c타입을 써야되는 상황이 왔죠. 그러니까 윗문단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애플 자체적으로 c타입 케이블이 썬더볼트4 스펙이 되는지 안되는지 인증하고 그에따라 인증안된 케이블은 사용자체를 못하게 막겠다는겁니다. 안그러면 자기들 제품 스펙대로의 퍼포먼스가 보장이 안되고 안전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으니깐요. 아무리 그래도 이건 좀 유난이라고요? 전세계 엔드유저를 대상으로 판매할 제품인데 이정도 유난은 떨어야 한다고 봅니다.



1


    아이패드만 봐도 그렇게 할 이유가 없읍니다
    괄하이드
    근데 C타입이 달리는건 미래의 가정이 아니라 (본문에 언급하신것처럼) 이미 아이패드에는 C타입이 달려있는데... 아무 케이블이나 쓸수있는 상황이지 않나요? 말씀하신 문제점도 발생하지 않고있고요.
    CheesyCheese
    뭐 케이블/커넥터가 타거나 망가지는건 거의 일어나지 않을 일이지만 제조사 입장에서는 일반 대중에게 판매되는 상황이면 만의하나의 상황이라도 고려를 해야합니다. 안전문제뿐만이 아니라 실제 퍼포먼스에서도 본문에 적었듯이 썬더볼트를 c타입으로 만들어서 c타입으로된 usb케이블을 연결하면 썬더볼트의 퍼포먼스가 안나옵니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저는 애플이 usb와의 공존을 반대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봅니다.
    Cascade
    충전 퍼포먼스랑 썬더볼트는 전혀 관련 없는 얘기고, 애플이 반대하는 건 그냥 커넥터 인증비용 벌려고 하는 탓이 크죠,

    아이패드가 충전단자 문제로 불탔다는 얘기 나오나요? 애당초 PD충전 지원하면 그런 문제는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죠. 만약 불량케이블이 진짜 심각한 문제라면 안드진영은 수백수천대가 탔어야 되는데... 말이 안됩니다.
    다크초코
    아이폰에 넣는다는게 usb가 아니라 tb인가보죠?
    CheesyCheese
    프로모델 이상은 무조건 썬더볼트로 하지 않을까요?
    cruithne
    저 이유라면 아이패드의 c타입도 마찬가지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CheesyCheese
    그래서 아이패드를 c타입으로 하는게 그렇게 오래 걸렸고 아이패드에 c타입을 넣고 나서도 아이폰은 또 라이트닝 6핀으로 출시한거죠.
    Cascade
    라이트닝은 8핀이구요(...) 아이패드 C타입은 2018년도에 처음 도입됐는데 삼성도 S8부터 C타입 적용한 거 생각하면 오래 걸린 편 아니죠...
    CheesyCheese
    라이트닝 8핀입니다 오타가 났네요.. 퇴근하고 접속을 안해서 수정을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아이폰 25w 충전 아닌가요? ㅋㅋㅋ
    ㅡ엔드유저요...?
    P의노예
    별로 공감이 가는 의견은 아니네요
    리니시아
    이미 아이패드에 C타입이 들어간 상황에서 이건좀..
    아이패드 프로 12.9 5세대 산지 한참 되었는데 싼더볼트3 인줄 이번에 알았습니다. (….)
    저도 산지 알년은 된거 같은데 댓글보고 알았읍니다....
    여우아빠
    애플에서 쓰는 썬더볼트 인터페이스가 그 정도로 빠른 줄은 몰랐네요. 다만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간단히 주장을 요약해보면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 더 보기
    애플에서 쓰는 썬더볼트 인터페이스가 그 정도로 빠른 줄은 몰랐네요. 다만 말씀하신 부분에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간단히 주장을 요약해보면
    1. 선더볼트 인터페이스는 USB보다 월등히 빠른 속도라서 속도적 차이 때문에 아이폰을 USB사용할 경우 성능/속도저하가 있다.
    2. USB는 개나소나 만드는걸 허용한 규격이라서, 안전성 문제가 있다.
    라고 생각되는데 맞나요?

    사실부분에 대해서는 참이리라 생각됩니다만, 그 사실부분에 대한 해석에는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2번의 경우는 많은 분들이 지적해 주셨듯, 이미 아이패드가 그렇게 쓰는데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다른 수 많은 핸드폰들도 그런 이슈가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닙니다. 모든 상업적 행위는 비용대비 효과를 따져보는게 정상입니다. 만약에 안전성이 지상 최우선시할 과제라고 한다면 아이폰을 택배로 보내는 것도 막아야죠 택배 중 파손되면 안되잖아요? 다른 경우들을 봤을때, usb를 쓴다고 불량의 증가는 매우 미미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번에 대해서도요. 애초에 40gb/s 같은 속도가 모바일에서 의미가 있는 수치인가요? 지금 글 작성하는 컴퓨터만 해도, HDD보다 빠르다는 SSD입니다만, 속도가 500MB/s 정도 나올거에요. 약 4~5gb/s 정도의 속도죠. 상용화된 HDD의 최고 속도가 2gb/s 가량이고, 현재 가장 빠르다는 nvme SSD도 10gb/s가 채 안됩니다. 낮은 속도로 말씀하신 10gps만 되도 10기가의 파일 전송시 8초 걸리는데, 모바일에서 이런 속도가 문제가 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아이폰의 썬더볼트 사용이 장점이 아니라 단점으로 꼽히는 것이고요. USB를 쓴다고 해서 실제로 체감 가능한 성능 저하가 될 가능성은 낮을 것 같습니다.
    CheesyCheese
    댓글 달아주신 내용 많은 부분에서 공감합니다.
    지금 다시 보니 제가 너무 스펙에 적힌 숫자만 생각해서 주장을 전개한 것 같습니다.
    2
    5Gbps가 느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40Gbps와 유의미한 차이는 날겁니다.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 더 보기
    5Gbps가 느리다고 할 수는 없지만 40Gbps와 유의미한 차이는 날겁니다.
    일단 뭔가를 하나만 달고 쓰신다는 전제로 속도 비교를 하셨는데...
    썬더볼트쯤 되면 허브 달고서 주렁주렁 연결해서 쓰니까요...
    PC라면야 USB 3.0 포트 여러개가 있으니까 분산시키면 되지만.. 모바일에선 포트 하나지요.
    그런데다가 SSD를 하나가 아니라 2개를 달았다면 어떨까요?
    이게 요즘 헤비유저한테는 충분히 현실적인 상황입니다...
    동영상 편집이 잡아먹는 스토리지 용량이 워낙 커서...
    그리고 SSD 속도도... 요즘 NVME SSD는 정말 빠릅니다... 한 20Gbps는 필요할걸요.
    NVME SSD 스펙 보면 대개 읽기 성능이 2000MB/sec에 육박합니다
    SSD 가격 측면에서도 이미 SATA보다 NVME 타입이 더 쌉니다... 외장 SSD도 신규 구입은 이제 거의 NVME죠.
    그리고 40Gbps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이게 디스플레이 연결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일겁니다...
    5Gbps로는... FHD 60Hz 간신히 소화할 정도밖에 안나옵니다.. FHD에 필요한 대역폭이 3.2Gbps네요.
    UHD 60Hz를 소화하려면 4배인 12.8Gbps가 필요하겠죠... 120Hz면 25.6Gbps...
    여우아빠
    엇... 저때 0을 빼먹은 거 같네요. 최신 nvme ssd가 7000MB/s 정도 나온다고 생각하고 썼는데, 제가 0 빼먹고 5~6 gps로 생각했어요; 네 말씀하신 바도 맞습니다. 근데 usb도 최신은 20gps까지도 지원하니까, 여전히 용량이 문제일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헤비유저나 특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겠지만, 사업적인 면에서는 말이죠.
    Cascade
    ???? 아이패드는 그럼 C타입 안쓰나요? 말도 안 되는 얘기죠
    Cascade
    그리고 저렇게 했다가 EU에서 판매중지나 과징금 물게 하면 그게 더 손해입니다. 루머도 정말 말도 안되는 루머라 봅니다.
    CheesyCheese
    여러분께서 달아주신 댓글들을 읽고 다시 글을 살펴보니 제가 스펙에 적힌 숫자만 보고 무리하게 주장을 전개한 것 같습니다.
    부끄럽지만 읽고 피드백을 해주신 분들이 계시니 글은 그대로 두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합니다.
    1
    여우아빠
    아닙니다 이렇게 의견 교환을 위해서 있는 게 인터넷이니까요. 저도 썬더볼트가 이렇게 빠른지 이 글을 보고 알았네요. 다만 그게 아직은 필요 이상의 뻥스펙에 가까운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8k영상을 보게 될때 즈음에는 확실히 빠를 것 같습니다. 그 조그마한 케이블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nvme SSD보다도 빠르다니 신기하네요... 기술의 애플인가;
    사실 썬더볼트는 인텔 기술이죠!
    애플이 만들어달라 하긴 했읍니다
    1
    P의노예
    사실 스펙의 문제가 아니라서 그렇습니다. Usb와 썬더볼트 간 속도차를 따지면서 더 낮은걸로 가기 싫어한다 주장하시기엔 라이트닝으로 usb 2.0속도를 유지한게 애플이어서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84 7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2 + 흑마법사 25/04/22 68 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432 1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644 24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650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4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40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46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1 kaestro 25/04/19 681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24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082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43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33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51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4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75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5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78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43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38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51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3 치킨마요 25/04/11 948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35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601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899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