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12/22 00:48:12
Name   카르스
File #1   한일_비교하는_그래프_(1).png (56.8 KB), Download : 6
Subject   하나의 그래프로 압축해본 한국 일본사회 비교


제가 예전부터 한국, 일본 관련 통계나 일화들 보면서 생각하던 한국 일본 이미지가 있는데,
이걸 한눈에 그래프로 종합하면 재밌겠다 싶어서 만들었습니다.  

중앙정부, 제1도시, 대기업, 주류 여론 및 시민사회, 첨단성, 최신성, 효율성, 세계적 트렌드에 사회적 권력과 역량이 집중되었고, 그 이외의 권력/역량은 약한 한국
한국에 비해 중앙정부~세계적 트렌드 쪽의 권력/역량은 약하지만, 사회 권력/역량의 분포가 고른 편이라 지방정부, 제1도시 외 도시/지방, 중소기업, 비주류 여론 및 시민사회, 관습성, 전통성, 공공성, 자국 특유 트렌드는 한국보다 강한 일본

따라서 중앙정부, 제1도시, 대기업, 주류 여론 및 시민사회, 첨단성, 최신성, 효율성, 세계적 트렌드와 관련 깊은 분야는 한국이 우위.
지방정부, 제1도시 외 도시/지방, 중소기업, 다양한 여론 및 시민사회, 관습성, 전통성, 공공성, 자국 특유 트렌드와 관련 깊은 분야는 일본이 우위.

왜 이런 구도가 나왔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한일의 중앙집권 vs 지방분권이라는 전통적 사회구조의 발현일 수도 있고,
아니면 신흥 선진국 vs 전통 선진국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고.

이유가 어찌됐든, 저는 이 구도로 한국과 일본 사회의 차이 상당부분이 설명된다고 봅니다.
이론 하나로 모든 사회현상을 다 설명하려는 시도는 늘 위험하지만, 설명력이 꽤 높다고나 할까.
특히 지금처럼 한일 생활수준이 수렴한 상황에서는
위 특징이 곧 한일의 강약구도, 역량차로 이어진다고 봅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1) 수명은 짧지만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많은 수익을 내는 문화컨텐츠를 만들어내는 한국 vs 세계적으로 현재 한국만큼 유행하지는 못하지만, 수명이 길며 꾸준히 수익을 내는 문화컨텐츠를 만들어내는 일본

2) 막후정치, 세습정치, 1당 장기집권, 성명 적는 투표용지 등의 일본식 후진성에서 자유롭고, 경쟁구도가 강하며 중앙정치가 강한 한국정치 vs 일본공산당의 존재나 자민당 내 파벌에서 볼 수 있듯이 의외로 내부 다양성이 많으며, 지방 풀뿌리정치의 저력이 강한 일본정치

3) 중앙정부, 세계화, 대기업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여성, 외국인/난민 등의 위상이 나은 한국 (+ 부라쿠민같은 문제도 없음) vs 지방 풀뿌리정치와 민간 시민사회 영향을 많이 받는 LGBT, 장애인 등의 위상이 나은 일본
(실제로 일본 LGBT 시민결합 조례는 지역단위가 많습니다)

4) 특정국을 혐오하는 지식인이나 출판물은 별로 없지만 코스모폴리탄형의 양심적 지식인은 드문 한국 vs  
극성 혐한 지식인이나 출판물이 많지만 코스모폴리탄형의 양심적 지식인도 은근 많은 일본 (한국에 잘 보도가 안 될 뿐)

5) 번역문화가 약한 대신 언어를 배워 세계 최신 학술정보에 더 많이 접근하는 한국 vs 언어를 배워 세계 최신 학술정보에 접근하려는 의욕은 덜하지만 번역문화가 발달한 일본

6) 인기 예능 스포츠의 종류나 소비자층은 얉지만 세계적인 슈퍼스타는 많은 한국 vs 슈퍼스타는 적지만 인기 예능 스포츠의 종류나 소비자층은 더 두터운 일본 [인구 비례 감안해도]

7) 몇몇 대규모 인터넷 커뮤니티가 발달한 한국 vs 소규모의 다양한 인터넷 커뮤니티가 발달한 일본



6
  • 흥미로운관점이네요


그저그런
흥미롭네요. 뭔가 비슷한 느낌을 많이 받았던것 같읍니다.
1
向日葵
다른 건 모르겠고 외국인 대상이건 사회적 약자이건 마이너리티에 대한 사회적 관용도는 일본이 훨씬 더 높다고 느낍니다.
2
순수한글닉
일본에서 1년만 거주하셔도 생각이 달라지시리라 생각됩니다.
2
向日葵
일본에서 살고 있으니 '느낀다'고 하는 거죠.
1
순수한글닉
정말 외국인 관용도가 높다고...느끼신다고요? 좋은 곳에 계신 것 같네요........
2
보이차
순수한글닉님이 한국에서 좋은 곳에 계셨던 걸지도…
1
(의사소통이 가능한) 마이너리티에 대한 사회적 관용도는 일본이 높습니다. 제 경험 상 일본인의 타자에 대한 관용도는, 일본어가 가능하냐 하지 않느냐로 갈립니다.
1
순수한글닉
제가 경험했을때는 관계가 심화될 때 출신 지역이 꽤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직장에서, 학계에서, 동네에서....물론 일상적인 대화나 관계 맺기는 일어가 능숙하면 문제가 없지만요. 일본 예능에서 왜 자기소개를 할 때 출신지를 말할까 의문이었는데 사회를 깊게 겪으니 조금 이해가 됐습니다
1
카르스
마이너리티 '전반'에 대한 인식은 일본이 좋은데
'몇몇 소수자'에 대한 인식은 한국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선택과 집중의 한국 / 골고루 전반적인 총량을 키우는 일본처럼 보이네요

일본이 더 안정적이고 건강한 느낌이에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1
카르스
딱히 어디가 옳고 그르다는 가치판단을 하려는 건 아니었습니다.
양국의 차이와 장단이 이 구도로 많이 설명된다고 했을 뿐.
듣보잡
굳이 일본과의 비교가 아니더라도 한국 자체가 다양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다른 말로는 주류에 치중되는) 성향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5
Paraaaade
사실 이게 한국이 압도적이다 보니, 어느 선진국이랑 비교해도 비슷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을듯한...

아 미국은 모든 면에서 우위인가...
1
카르스
주류의 파워로 엄청나게 성장할 수 있기도 하죠.

다양성이 부족한 건 동의합니다.
cummings
대체로 합당하게 느껴집니다만,

일본이 튀어나온 돌에 대한 사회적 눈치나 비난이 더 강한 사회이지 않나요?
그래서 일부러 본인 의견도 잘 안밝히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2
카르스
음.. 일본생활 경험 없는 자의 뇌피셜입니다만
일본은 노골적 자기표현에 대한 압박은 한국보다 더 심하지만 일코한다는 전제에서 비주류는 인정하는데, 한국은 노골적 자기표현에 대한 압박은 조금은 나은데 일코조차 인정 안하고 비주류 공간을 강제로 주류화시키려는 느낌이에요.

그리고 압박의 양상도 양국이 다른 것 같습니다. 한국은 패서 짓밟는다면 일본은 패지는 않는 대신 직간접적으로 숨막히게 하는 느낌?
cummings
두번째 문단은 참견하기 vs 눈치주기 정도의 느낌인것 같네요ㅎㅎ
1
비주류 자체도 산업으로서 최소한의 돈은 되는 일본
주류가 되지 않으면 돈이 안되는 한국...?
1
카르스
대신 주류는 돈이 진짜 많이되죠
向日葵
한국의 90년대 00년대 10년대가 다르듯 일본도 다릅니다. 일본이 고인물이라고는 해도 세대에 따라 사회상이 판이하게 달라요. 한국인들이 알고 있는 일본의 이미지는 헤이세이(89년 이후) 세대에게는 적용 안되는 게 많죠. 개인적으로는 '표준'에 맞춰야하는 압력은 한국이 훨씬 심했어요.
2
어차피 다 틀리고 거친 말이기 때문에 - 몇 마디 생각을 적어보자면, 어떤 '앎'의 차원에서 볼 때 '근대 담론'의 유입 이후 한국은 무지와 그 무지에 대한 양가적 감정(불안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한국은 절대적으로 생존이 문제였지만, 언어적으로 지리적으로 근대를 가장 알기 어려웠던 처지였습니다. 19세기 말부터 국가 지식인이나 경영자들은 국가를 성찰 할 여력이 없었거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찰의 부재 속에 국가가 각종 신 담론을 곧장 받아들였죠. 한국에서 인문학이 얼마나 실용적으로 소비되는 가만 봐도 우... 더 보기
어차피 다 틀리고 거친 말이기 때문에 - 몇 마디 생각을 적어보자면, 어떤 '앎'의 차원에서 볼 때 '근대 담론'의 유입 이후 한국은 무지와 그 무지에 대한 양가적 감정(불안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한국은 절대적으로 생존이 문제였지만, 언어적으로 지리적으로 근대를 가장 알기 어려웠던 처지였습니다. 19세기 말부터 국가 지식인이나 경영자들은 국가를 성찰 할 여력이 없었거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찰의 부재 속에 국가가 각종 신 담론을 곧장 받아들였죠. 한국에서 인문학이 얼마나 실용적으로 소비되는 가만 봐도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이상을 향한 움직임 보다는 현재의 생존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하고 끝없는 비교 역시 한국인이 가진 생존에 대한 불안감과 자기 성찰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끝없이 비교하지만 결국 비교 끝에 무언가를 배워 써먹진 않아요, 그냥 계속 갖다 붙여서 말할 뿐이지. 많은 이들은 일본이 한국의 미래다, 혹은 한국이 일본을 추월했다 식의 말을 합니다. 그러나 많은 비교를 살펴보면 저자들은 한국에 대해 일본만큼 혹은 일본보다 더 모릅니다.
1
카르스
전반적으로 동의합니다. 특히 마지막 문단. 수준 이하의 양산형 일본, 한국 담론이 넘쳐나는 게 현실이죠. 이야기대로라면 제 글도 예외는 아니지만(눈물)

혹시 괜찮으시다면 괜찮은 한국학, 일본학 서적 추천받을 수 있을까요?
저는 일본을 정말 모릅니다. 한국학...에 관해서는 무어라 말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역사학의 관점에서 보면 설득력 있는 큰 담론이 나오기 이전에 각 시기에 대한 관찰이 아직 충분치 못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책에선 감정이 너무 많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아서 아쉽습니다. 사회학 책 중 좋았던 건 『출생을 넘어서』(황경문), 『내일의 종언』(장경섭), 『가족과 통치』(조은주)가 떠오르네요.
1
카르스
각 시기에 대한 관찰이 불충분하고 감정이 너무 강하게 드러난다는 데 동의합니다.

가족과 통치는 저도 잘 읽었고, 내일의 종언은 음... 리뷰들 보니까 이 책도 '감정이 너무 강하게 드러나는' 책 같습니다. 출생을 넘어서는 빌려놓고 못 읽었는데 다시 봐야겠네요. 책 추천 감사합니다.
내일의 종언은 감정이 너무 강하게 드러나기 보다는, 좀 오해 받는 측면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의 문제는 오히려 실증적인 측면에서 좀 대충 넘어가는 부분이 있었던 걸로 기억해요. 미묘하게 감정 정리 부분이 아쉬웠던 책으로는 『냉전과 새마을』(허은)이 떠오릅니다.
1
카르스
오해받는다는 게 어떤 쪽인가요?

몇몇 인용구들 보면 '감정이 너무 강하게 드러나는' 부분도 있고, 그것 때문인지 말씀대로 실증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직설적 화법 때문에 감정이 드러난다고 읽힐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책 전체를 읽으면 균형 잡힌 서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장경섭은 본인이 설정한 틀 안에서 여러 이론과 개념을 유연하게 사용하는데 한국 학자들은 너무 용어 사용을 엄격하게 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사료에 대한 실증은 책의 논지가 훼손될 만큼의 문제만 없으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그 지점을 벗어났다는 생각은 안 들었어요. 원래 거시적 일반론 서술에서 각론에서의 이견이야 어쩔 수 없잖아요? 제가 말한 실증적 부분의 아쉬움은 아예 틀렸다는 것 보다는 뒷받침할만... 더 보기
직설적 화법 때문에 감정이 드러난다고 읽힐 수 있는 부분이 있지만 책 전체를 읽으면 균형 잡힌 서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장경섭은 본인이 설정한 틀 안에서 여러 이론과 개념을 유연하게 사용하는데 한국 학자들은 너무 용어 사용을 엄격하게 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사료에 대한 실증은 책의 논지가 훼손될 만큼의 문제만 없으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그 지점을 벗어났다는 생각은 안 들었어요. 원래 거시적 일반론 서술에서 각론에서의 이견이야 어쩔 수 없잖아요? 제가 말한 실증적 부분의 아쉬움은 아예 틀렸다는 것 보다는 뒷받침할만한 관련 연구가 있는데 안 다루고 넘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사 및 사회 구조 연구에서 아쉬운 게 정부와 시민 사회 등 온갖 사회 변동을 단순한 선악의 구도로 그린다는 건데 그 부분에서 나름 균형을 잡으려고 하는 몇 안되는 서술이라 좋았습니다.
2
캡틴실버
https://www.youtube.com/watch?v=UDi2Qt_6K8Q
한국축구와 일본축구가 근본부터 다른 이유


주제와 관련해서 흥미로운 영상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J리그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지역균형발전, 인구분산을 목표로 하는 "지역기반 대기업의 지역공헌활동"이라는 겁니다.
솔직히 오츠카 제약같은 거대기업의 본사가 시코쿠같은 촌동네에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이런 기업들이 적자를 감수하고 지역팀 스폰서를 하고 있다는거죠.

조금만 커지면 모두... 더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UDi2Qt_6K8Q
한국축구와 일본축구가 근본부터 다른 이유


주제와 관련해서 흥미로운 영상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J리그가 꾸준히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지역균형발전, 인구분산을 목표로 하는 "지역기반 대기업의 지역공헌활동"이라는 겁니다.
솔직히 오츠카 제약같은 거대기업의 본사가 시코쿠같은 촌동네에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이런 기업들이 적자를 감수하고 지역팀 스폰서를 하고 있다는거죠.

조금만 커지면 모두 수도권으로 몰려가는 한국 기업과는 다르게 꾸준히 지역에 본사를 유지하는 일본기업,
인서울 사립대에 밀려 폭망한 한국 지거국 대학과 다르게 꾸준히 상위권 입결을 유지하는 일본 지역 거점 대학,
이런 차이점들이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1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77 사회새로운 시대를 위한 노인연령기준이 필요하다 - 장래연령 관점 9 카르스 23/03/27 2528 3
13676 사회<시어도어 카진스키>를 아시나요? 10 강세린 23/03/27 3346 0
13675 사회미 하원의 틱톡 청문회 - 틱톡은 미 국가안보의 위협이 아니리라 6 코리몬테아스 23/03/27 2677 4
13654 사회싱가포르 정부의 이주가사노동자 도입과 관리방식 4 dolmusa 23/03/21 3144 8
13650 사회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권리도 없는 걸까요? 23 강세린 23/03/20 3728 0
13633 사회일본은 한국의 미래인가? 17 레게노 23/03/11 3724 3
13595 사회한국 인구부양비 악화의 진짜 원인 (부제: 출산율 2.1 찍어도 인구부양비 악화는 피할 수 없다) 27 카르스 23/02/24 4068 9
13583 사회서구와 동아시아에서 추구하는 자유는 다르다 13 카르스 23/02/21 2981 7
13569 사회한국인과 세계인들은 현세대와 다음 세대의 삶을 어떻게 보는가 6 카르스 23/02/15 2749 6
13564 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 아이솔 23/02/13 3408 16
13550 사회수도권 집중, 정말 일자리가 문제일까 19 캡틴실버 23/02/07 3216 6
13549 사회공군 일병 숨진 채 발견…가족에 "부대원들이 괴롭혀 힘들다" 호소 16 revofpla 23/02/07 2889 0
13546 사회통계로 본 비수도권 청년 인구유출 추이 7 카르스 23/02/06 3553 9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3244 29
13510 사회미국 사람들은 왜 총기사고에 둔감할까? 2 서포트벡터(허락해주세요) 23/01/26 3356 6
13486 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2621 10
13432 사회빌라왕 또 또 사망. 반년사이 3명째 숨져 10 Leeka 22/12/28 3558 0
13427 사회바이크 타는 양아치로 살아가기 4 당근매니아 22/12/26 2521 3
13420 사회하나의 그래프로 압축해본 한국 일본사회 비교 29 카르스 22/12/22 3819 6
13392 사회기자는 세계를 어떻게 왜곡하는가 8 dolmusa 22/12/13 3029 10
13391 사회이민 반대 논리중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것 22 Amsden 22/12/13 3079 0
13308 사회한국 사회의 검열이 완화되지 않는 진짜 이유? 80 카르스 22/11/10 5308 7
13294 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2720 15
13282 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6 카르스 22/10/30 4849 29
13276 사회레고랜드가 촉발한 채권 시장 위기를 보면서 정리 7 포르토네 22/10/27 3360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