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9/05 15:41:29
Name   몸맘
Link #1   https://blog.naver.com/penfan2022/222863860984
Subject   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image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

이렇게 도형의 이름은 그 특징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지어집니다.



image


그런데 이 도형의 이름은 왜 마름모일까요?

마름모...? 왜 마름모야...? 연상되는 게 하나도 없습니다.

이번엔 다른 이미지를 보시죠.



B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망 펜스죠. 마름모 모양으로 엮여 있습니다. 이 망의 이름이 능형망입니다.

능형? 능형이 뭐야?

사전을 찾아보면 이렇게 나옵니다.



Screenshot-2022-09-01-at-13-20-46


그렇습니다. 마름모는 예전에는, 참으로 생소하지만 '능형'이라 불렸답니다. 삼각형, 사각형처럼 말이죠.

그러면 삼각, 사각처럼 능이 뜻하는 것이 있을 텐데요. 한자를 보면 능형菱形의 능은 '마름 능'자입니다.

이렇담 추측이 가능해지죠. 마름모는 '마름+모'인 건가?

그래서 결국엔, 마름이 무엇이란 말인가???? 꼬리에 꼬리를 물어 검색을 해 보니,


1


2



얘가 마름이라는 식물이었습니다!

드디어 찾았습니다. ◆가 마름을 닮아 능형이라고 부른 것이고 이후 순우리말 과정을 거쳐 세모, 네모처럼 마름모라고 개명한 것이었습니다!! 같은 한자권인 중국, 일본은 현재도 菱形을 쓴다는군요.

참고로, 영어권에서는 마름모를 다이아몬드diamond라고 하기도 하지만 람버스rhombus라는 명칭을 많이 씁니다. 람버스 피시rhombus fish를 검색하면,





Scophthalmus-rhombus


광어가 나옵니다! 광어(넙치)brill의 학명이 Scophthalmus rhombus입니다. 그러고 보니 마름모를 닮았죠?
능형이라는 이름이 어려워 쉽게 이해하라고 마름모라고 바꿨을 텐데 여전히 알쏭달쏭해 이리저리 찾아본 뒤,
문득 이런 생각이 드네요.


'넙치꼴' 어떻습니까???




https://youtu.be/CLHGcJo7RRY
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21
  • 재밌어요


유튜브와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가벼운 수학 컨텐츠들인데 홍차넷에 어울리겠다 싶어 운영진의 허락을 득하여 올립니다.
아직 구독자 몇 없는 애기 유튜버지만 언젠가 수학계의 태ㅍ,, 아 아니,, 살랑 미풍이 되고 싶습니다.
2
전 또 말라서 마름모인줄 알았습니다
4
매뉴물있뉴
광어가 먹고싶읍니다... 츄릅
1
태풍이 지나가고 광어 철이 오면 대광어 츄릅 인증짤이 탐라에 올라오겠네요 ㅎㅎ
영상 쉽고 간단하고 귀여워요!!!!!!!!
1
하마소
마름과 넙이 동일개체라니, 역시 표리부동은 표리일체인 것...
2
ㅋㅋ 거경궁리하면 표에 현혹되지 않는 것…
1
미쓰비시가 그래서 삼능(三菱) 이죠 ㅎㅎ
5
그런데
마름 열매인 물밤은 사각사각 식감이 독특합니다.
익혀도 생 배를 먹는 식감이 나지요.
1

호옹이. 어느 글을 보니 궁극의 사각사각이라고 하네요. 중국음식에 쓰이는 것 같은데 나도 먹어봤으려나…?
whenyouinRome...
한국에는 돼지 감자가 궁극의 식감입니다.
익혀도 사각사각... 전 도저히 익혔을때도 사각거리는게 적응이 안되서 못 먹긴 합니다만...
1
상상하자면 생마같은 거려나요?
그런데
네 식감이 마와 비슷하고 특별한 맛이나 향이 느껴지는 편은 아닙니다.
생각외로 믹스 베지터블 같은 곳에 끼어 있는데
아무래도 중국에서 많이 먹어서인 것 같습니다.
1
알았다! 찾아보니 팔보채에 들어있는 그게 마가 아니고 물밤이네요! 마름이 곁에 있었네!!
1
비비고 한섬만두에 들어갑니다. 독특한 식감을 내세웠는데 호불호 갈리는 편임다.
아니 애초에 비비고는 왕교자가 짱이라서 ㅎㅎ
1
킹리적 갓심 들었습니다. 제가 가끔 가는 만둣집이 있는데 아삭한 식감이 좋아서 가거든요. 물밤 들어가는지 물어봐야겠습니다.
저는 마름쇠를 마름모보다 먼저 접해서 이름이 어색하다는 생각이 없었습니다.
1
나뭇잎마을 출신이십니꽈?
경상도 출신입니다.
마름쇠는 을유문화사에서 펴낸 세로쓰기 3권짜리 임진왜란에서 가장 먼저 봤습니다.
몇년도에 나온 판본인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1
박종화 작품 말씀이시죠? 와우.... 여기에 닌자 갖다댄 나는....
어릴 때 본 거라 맞는지 좀 찾아봤는데 긴가민가 싶습니다;
임진왜란 책은 책 등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기억이 잘 안나서, 그나마 기억나는 삼국지 책 등이랑 월탄 삼국지 검색해서 나온 사진 비교해봤는데 비슷하긴 하네요.
기억나기로는 1권에서 비빈중 하나가 선조가 먹을 된장찌개 끓이던 장면 묘사한거나, 선조 꿈에 이순신이 나와서 흰옷 입은 억조창생 백성들이 열린 나무 쓰러지는거 막는 장면, 역관 홍순언이 공금 횡령해가며 3천냥 주고 온 부분 세부 묘사가 참 세세했다 정도입니다.
제가 본 책이 박종화 작품 맞는지 혹 읽어 보신 분이 계시면 판정해 주시겠죠.
아이캔플라이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덕분에 배웠습니다
해부학에도 견갑을 잡아주는 능형근이 있지요. 우리말로는 마름근입니다
1

정말 마름모네요!
Rhomboid Muscle... 몸맘님 해석 적용하면 넙치근 ㅋㅋㅋㅋ
1

ㄷㄷㄷ 진짜 있어버리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09 과학/기술"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5511 26
13195 과학/기술[작은 아씨들], 가장 극적으로 데이터-정보-지식-지혜의 관계를 보여주다! 2 몸맘 22/09/30 3813 2
13179 과학/기술위즈덤 칼리지 4강 Review 모임 발제: 행복과 성공의 도구, 과학? 2 아침 22/09/25 2883 8
13135 과학/기술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30 몸맘 22/09/05 5677 21
13007 과학/기술쿨러에 관하여 (에어컨 아님) 21 매뉴물있뉴 22/07/19 4443 5
12999 과학/기술위즈덤 칼리지 2강 Review 모임 발제 - 메타버스 누구냐, 넌? 4 당당 22/07/15 3296 2
12222 과학/기술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은 가능한 것인가 26 당근매니아 21/10/30 5396 1
12192 과학/기술[짧은글] 헤디 라마르님이 와이파이의 어머니라고 하기는 어려운 건에 대하여 5 그저그런 21/10/21 4889 2
11949 과학/기술현대자동차 홈투홈 서비스 중 디지털키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1 떡라면 21/07/31 6101 4
11926 과학/기술$$$ 오큘러스 퀘스트2 64G 기존 구매자 전원 실리콘 커버 무료 증정 $$$ 13 철든 피터팬 21/07/28 5003 1
11919 과학/기술예측모델의 난해함에 관하여, .feat 맨날 욕먹는 기상청 48 매뉴물있뉴 21/07/25 5526 40
11597 과학/기술제주도에서 친환경 발전량 증가로 인한 변화 13 요일3장18절 21/04/19 4847 5
11504 과학/기술보이스피싱범을 혼내주자 7 구밀복검 21/03/19 6632 6
11503 과학/기술(번역)기술광들의 몽정: 특이점을 통한 영생 16 ar15Lover 21/03/19 6545 3
11471 과학/기술(번역)지구공학의 장기적 결과 ar15Lover 21/03/06 5041 2
11467 과학/기술(발췌)지구공학은 기후변화를 저지할 수 있을까? 5 ar15Lover 21/03/04 5172 3
11452 과학/기술인터페이스냐 타입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18 ikuk 21/02/26 5402 3
11438 과학/기술(번역)우리의 수렵채집인 미래: 기후변화, 농업 그리고 비문명화 8 ar15Lover 21/02/21 4950 1
11434 과학/기술(발췌)원시인보다 멍청한 현대인? 11 ar15Lover 21/02/20 5794 2
11330 과학/기술멜버른 락다운 타임라인 13 엘에스디 21/01/10 5427 7
10829 과학/기술더하기와 플러스 26 아침커피 20/07/30 5635 8
10738 과학/기술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35 캡틴아메리카 20/07/02 5085 5
10609 과학/기술고등학교 수학만으로 수학 중수에서 수학 고수 되기 11 에텔레로사 20/05/22 5178 7
10414 과학/기술[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7060 10
10343 과학/기술마구잡이로 써보는 수비학(數秘學) 29 소원의항구 20/03/03 6129 7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