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3/10 22:47:11 |
Name | 카르스 |
Subject | 주관적으로 보는 인터넷 커뮤의 사회적 영향력 |
예전부터 말 많던 주제인데, 최근 총선 - 재보선 - 대선이라는 선거를 겪으면서 감이 잡힌 게 있어서 올려봅니다. 1. 소규모 커뮤니티/커뮤니티 서브게시판 한두개의 여론은 문자 그대로 '찻잔 속의 태풍'. ex) 루리웹의 정치유머 게시판(극성 이재명 안티가 되버린 문빠), 디씨의 미국정치 갤러리(QAnon류 음모론), TERF 페미니즘 커뮤니티 등 이들은 문자 그대로 무시해도 되는 수준입니다. 이번 대선이 0.7%p 표차로 승부가 갈린 역대급 박빙선거였다는데, 개인적으로는 위 극성 이재명 안티인 문빠들이 없었어도 여전히 윤석열이 이겼을 거라 봅니다. 또 TERF들이 주축이 되서 만든 여성의당은 존재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지요. 그 정도 수준입니다. 2. 중규모 커뮤니티 여러곳에 존재하는 여론은 '사회에 존재하는 여러 소수집단 중 하나'. ex) 클리앙, 딴지 등에 존재하는 극성 민주당 지지자(이재명을 비토하지는 않는), 수십만급 구독수를 가진 정치 유튜버/팟캐스트들(가세연, 신의한수, 뉴스공장, 열린공감 등), TERF가 아닌 레디컬 페미니즘 커뮤니티 등 아주 무시해도 될 수준은 아니지만 얘들에 휘둘리면 선거 필패합니다. 1은 딱 봐도 쪽수가 안 되는데 2는 좀 되기 때문에, 정치인들이 이들에 영합할 유혹은 더 커서 진짜 위험한 대상이에요. 극성 지지층만 믿고 몰상식한 막말 끝에 미통당이 참패했던 21대 총선 생태탕 등 강성 민주당층에나 먹힐 네거티브만 믿었다가 박영선이 참패한 2021년 재보선이 뼈아픈 실제사례입니다. 3. 대규모 커뮤니티 전반에 존재하는 여론은 '현실 트렌드를 증폭/과장해서' 보여준 것. ex) 청년들의 남초 커뮤니티 전반에 깔려있는 안티페미니즘 정서, 일부 극성 민주당 커뮤니티를 제외한 커뮤니티들의 문재인 정부/민주당 여론 악화, 커뮤니티들에서 점차 많이 보이는 운동인/주식코인 투자자 등 여기서부터는 현실에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찻잔 속 태풍 레벨을 확실하게 넘어선' 커뮤니티 여론입니다. 문재인/민주당 비토 여론의 확산은 2021년 재보선, 20대 대선의 결과로 확인할 수 있고(단 재보선은 투표율이 낮고, 민주당 악재가 유독 많았기에 반민주당 유권자가 과대대표되긴 했습니다) 청년 남성의 안티페미니즘 정서는 2021년 재보선, 20대 대선 결과로 역산할 수 있고(단 재보선은 위에서 말한 이유로 안티페미 여론이 과대평가됐습니다) 운동인의 증가, 주식코인 투자자들의 비율 증가는 통계나 기사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23435#home,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58 등 참고) 다만 이 경우에도 커뮤 여론은 현실 트렌드를 '증폭/과장해서' 보여줄 뿐, 현실 그대로가 아님을 유념해야 합니다. 이대남이 안티페미니즘 성향이 강하다 해도 여가부 폐지한다는 윤석열을 뽑은 부류는 60%가 조금 안 되는 정도고(72%까지 나온 재보선은 위 이유로 과대표집된 수치입니다) 이대녀도 페미니즘을 내세운 이재명을 비슷한 강도로 뽑았습니다. 커뮤만 보면 각각 80%씩은 뽑을 것 같은데 그 정도까진 아니지요. 이재명 뽑은 이대남, 윤석열 뽑은 이대녀도 30%대에 이릅니다 이재명도 전국적으로 48%는 득표했고 1%p도 안 되는 차이로 졌습니다. 이것도 커뮤니티만 보면 30%는 받을까 싶지만 현실은 많이 다릅니다. 운동, 주식코인 안 하는 사람들도 현실에서 꽤나 많이 찾아볼 수 있지요. 커뮤에선 말을 안 할 뿐. 어렴풋한 느낌이지만 인터넷 고이용층/정치 스펙트럼상 양극단은 커뮤니티 영향력을 과대평가하고, 인터넷 저이용층/정치적 중도층은 커뮤니티 영향력을 과소평가한다는 인상을 많이 받습니다. 7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어차피 현생에서 얘기하는 것보다 넷상에서 얘기하는게 더 많지 않습니까?
현생의 여론은 허상이고 넷상의 여론이 진짜일지도...
하지만 선거 때는 개표가 있어서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현생의 여론은 허상이고 넷상의 여론이 진짜일지도...
하지만 선거 때는 개표가 있어서 그렇지 않았다고 한다
제가 대학 다닐 때, 당시 말로, '뉴미디어'인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스페이스'에서의 의사소통 양상에 대해 배웠었거든요.
대체로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용/응용한 얘기들이었는데, 의외로 현재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모습에도 여전히 잘 맞아 떨어집니다.
아, 당연하겠네요. 고작 2년 밖에 안 됐으니까.
대체로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적용/응용한 얘기들이었는데, 의외로 현재의 인터넷 커뮤니티의 모습에도 여전히 잘 맞아 떨어집니다.
아, 당연하겠네요. 고작 2년 밖에 안 됐으니까.
아쉽게도 정치성향은 보통 10세 단위로만 조사합니다.
위 사진처럼 1세 단위로 한 여론조사도 드물게 있습니다. 한국갤럽 2021년 종합. 여기서는 18-19세와 20대 간에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남녀 따로 분리하면 달라질 수 있는데 합산한게 비슷한거보니 분리해도 달라질 것 같진 않습니다.
아무 생각입니다. (연대순 무관)
0. 인터넷 개화 초기 이런저런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개화한 가운데,
1. 네이버/다음 등 포털이 카페로 가두리 양식을 펼쳤지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형 커뮤니티들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3. 유튜브와 SNS가 개인화/추천을 들고 나오면서,
4. 커뮤니티에 대한 호감도(=나와 동조할 수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도 자연히 증가함
대략 25~30년에 걸친 0~4번의 기간 동안 10대~40대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와 익숙해졌고, 그에 따라 주된 소속감을 느끼는 커뮤니티의 영향을... 더 보기
0. 인터넷 개화 초기 이런저런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개화한 가운데,
1. 네이버/다음 등 포털이 카페로 가두리 양식을 펼쳤지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형 커뮤니티들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3. 유튜브와 SNS가 개인화/추천을 들고 나오면서,
4. 커뮤니티에 대한 호감도(=나와 동조할 수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도 자연히 증가함
대략 25~30년에 걸친 0~4번의 기간 동안 10대~40대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와 익숙해졌고, 그에 따라 주된 소속감을 느끼는 커뮤니티의 영향을... 더 보기
아무 생각입니다. (연대순 무관)
0. 인터넷 개화 초기 이런저런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개화한 가운데,
1. 네이버/다음 등 포털이 카페로 가두리 양식을 펼쳤지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형 커뮤니티들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3. 유튜브와 SNS가 개인화/추천을 들고 나오면서,
4. 커뮤니티에 대한 호감도(=나와 동조할 수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도 자연히 증가함
대략 25~30년에 걸친 0~4번의 기간 동안 10대~40대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와 익숙해졌고, 그에 따라 주된 소속감을 느끼는 커뮤니티의 영향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시점이라면 온라인 커뮤니티의 영향력은 상수로 놓고, 개별 커뮤니티의 컬러에 따른 영향력을 파악하는게 좀더 의미가 있지 않나 합니다.
0. 인터넷 개화 초기 이런저런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개화한 가운데,
1. 네이버/다음 등 포털이 카페로 가두리 양식을 펼쳤지만,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대형 커뮤니티들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3. 유튜브와 SNS가 개인화/추천을 들고 나오면서,
4. 커뮤니티에 대한 호감도(=나와 동조할 수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도 자연히 증가함
대략 25~30년에 걸친 0~4번의 기간 동안 10대~40대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와 익숙해졌고, 그에 따라 주된 소속감을 느끼는 커뮤니티의 영향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시점이라면 온라인 커뮤니티의 영향력은 상수로 놓고, 개별 커뮤니티의 컬러에 따른 영향력을 파악하는게 좀더 의미가 있지 않나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