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2/01/27 16:06:52수정됨 |
Name | 카르스 |
File #1 | 코로나_민주주의후퇴.png (125.7 KB), Download : 30 |
File #2 | 코로나_민주주의후퇴2.png (156.9 KB), Download : 27 |
Subject | 한국의 코로나 대응은 민주주의 원칙을 침해했는가 |
코로나는 전염병 특성상 불가피하게 높은 수준의 방역 조치를 요구하고, 일상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그러다보니 방역 조치들은 툭하면 과도하지 않냐, 비효율적이지 않냐, 방역을 빙자한 독재나 전체주의 아니냐는 여론의 비판에 시달리기 일쑤지요. 전 세계적으로 벌어지는 일이고,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거기에 한 가지 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방역을 명목으로 민주주의 원칙에 반하는 조치들을 자행할 우려인데요. 국제이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다 알지만, 지금은 포퓰리스트들과 극단적인 정당들이 인기를 얻는 세계적인 민주주의의 후퇴기라 더 그런 우려가 강했습니다. 실제로 국가별로 방역 조치의 민주주의 침해 문제를 데이터화한 게 있습니다. V-Dem이라는 정치학 데이터베이스의 일부인데, 정치학 비전공자인 저는 잘은 모르지만 꽤 저명하다네요. 아쉽게도 2020년 3월에서 2021년 6월까지의 분석 결과만 나와있지만, 유익한 자료라 올려봅니다. https://www.v-dem.net/pandem.html 사이트의 설명에 따르면 "전염병의 민주적 표준 위반 지표(PanDem)는 코로나19의 국가 반응이 비상대응에 대한 민주적 표준을 위반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전염병 후퇴 지표(PanBack)는 (코로나19) 국가 반응이 국가 내 전반적인 민주주의의 수준을 악화시킬 리스크를 반영합니다." [The Pandemic Violations of Democratic Standards Index (PanDem) captures the extent to which state responses to Covid-19 violate democratic standards for emergency responses. The Pandemic Backsliding Index (PanBack)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such responses pose a risk to the overall quality of democracy within the country.] 이라고 합니다. 우선 민주적 표준 위반 지표인 PanDem부터 봅시다. [첫번째 사진입니다] 그림에는 없지만 연두색은 '민주적 표준 위반 없음'이고 청록색, 흐린 파란색, 보라색으로 갈수록 방역정책이 민주주의 표준을 많이 위반했음을 의미합니다. 차별적 조치(Discriminatory measures), 훼손되어서는 안 될 권리의 훼손(Derogations from non-derogable rights), 집행 과정에서의 오남용(Abusive Enforcement), 무기한(No time limit), 입법권 제한(Limitations on legislature), 공식적 거짓 정보 홍보(Official Disinformation Campaigns), 언론 자유 제한(Restrictions on media freedom)의 7개 분야를 통틀어서 평가합니다. 의외로 북미나 유럽 국가들도 생각보다 꽤 민주주의 원칙을 어기는 나라가 많았습니다. 물론 아시아(한국/일본/대만 등 몇몇국가 제외), 중남미보다는 낫지만 거기보다 낫다고 위안할 동네가 아니죠. 실제로 전 세계에서 민주주의 훼손 문제가 없었던 나라는 캐나다, 볼리비아,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포르투갈,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한국, 대만, 뉴질랜드 등 12개국에 불과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세부적으로는 발생 초기에 '언론 자유 제한'이 감점 요소가 되었고, 호주는 '집행 과정에서의 남용'이 감점 요소가 되었습니다. 락다운 집행에서 공권력이 과도한 폭력을 사용한 경우가 있었답니다. 프랑스는 '차별적 조치'와 '집행 과정에서의 남용', 미국은 '공식적 거짓 정보 홍보' '언론 자유 제한'이 문제가 되었습니다(짐작하셨다시피 트럼프 대응의 작품입니다. 그놈의 살균제 드립은 아직도 기억나는군요.) 적어도 동북아 선진국(한, 일, 대만)은 민주주의 원칙에 있어 서구 선진국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았던 셈입니다. 오히려 괜찮은 쪽에 가까웠지. 흔히 한국인들은 국가에 순종적이어서 정부에 폭동 안 일으켰다고 하는데, 그것도 피상적인 접근입니다. 서구 국가들은 초기 대응 실패로 자유제한 수준이 높은 락다운까지 간 상황에서, 방역조치 전반에서 민주주의 원칙 침해요소들이 많이 나왔으니 서구 시민들이 반발하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안그래도 자유주의 전통 문화권인데. 한국은 그 부분에서 서구 선진국보다 양호했습니다. 다만 서구 국가들도 방역조치로 민주주의가 후퇴할 상황까지는 아닙니다. 전염병 후퇴 조치[PanBack - 두번째 사진입니다]는 색이 진해질수록(검은색은 자료가 없다는 뜻입니다) 민주주의 후퇴위험이 크다는 이야기인데, 보시다시피 폴란드 정도를 빼면 심각한 상황은 아니에요. 진짜 문제되는건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중남미 쪽. 물론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은 완벽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자영업자 보상은 턱도 없이 부족했고, 의료진과 공무원들을 갈아놓았으며, 병상 확보에 굼떴고, 백신 도입이 늦었고, 일관적이지 못한 방역정책으로 방역조치에 대한 불신을 산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한국의 방역조치가 비민주적이냐 할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주의적 원칙이라는게 무조건 방역조치 다 풀고 프리해져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니까요. 비상조치를 취하더라도 그 과정과 내용이 민주주의적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 부분에서 한국은 국제비교에서 합격점을 받은 것 같습니다. 이제 곧 오미크론 쓰나미가 밀려올텐데, 정부가 지금같은 민주주의적 방역조치 원칙을 놓질 않길 바랍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대응의 문제점을 피드백 받아 고쳐야 하고요. 그것이 진정한 민주주의적 방역이지요. 14
이 게시판에 등록된 카르스님의 최근 게시물
|
무슨무슨 주의라는 것은 스펙트럼에 가까운 것이지요. 완벽한 통제와 완벽한 방임의 중간 어디쯤에 있는.
줄타기를 잘할 수록 양쪽에게 비난을 받기 쉽습니다.
저는 이 정부의 재난컨트롤은 역대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정책, 공직자 내로남불, 갈라치는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돼지콜레라부터 시작해서 고성 산불이후 코로나까지 이정도 리소스에서 이정도면 정말 잘 막았죠.
이렇게 문제가 끝없이 밀려들어오는 상황에서 가장 골치가 아픈게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의 "두번째로 시급한 문제"가 "가장 ... 더 보기
줄타기를 잘할 수록 양쪽에게 비난을 받기 쉽습니다.
저는 이 정부의 재난컨트롤은 역대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정책, 공직자 내로남불, 갈라치는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돼지콜레라부터 시작해서 고성 산불이후 코로나까지 이정도 리소스에서 이정도면 정말 잘 막았죠.
이렇게 문제가 끝없이 밀려들어오는 상황에서 가장 골치가 아픈게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의 "두번째로 시급한 문제"가 "가장 ... 더 보기
무슨무슨 주의라는 것은 스펙트럼에 가까운 것이지요. 완벽한 통제와 완벽한 방임의 중간 어디쯤에 있는.
줄타기를 잘할 수록 양쪽에게 비난을 받기 쉽습니다.
저는 이 정부의 재난컨트롤은 역대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정책, 공직자 내로남불, 갈라치는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돼지콜레라부터 시작해서 고성 산불이후 코로나까지 이정도 리소스에서 이정도면 정말 잘 막았죠.
이렇게 문제가 끝없이 밀려들어오는 상황에서 가장 골치가 아픈게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의 "두번째로 시급한 문제"가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시급한 문제들을 계속해서 해결하고 있는데, 계속 해결이 안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지속되죠.
그러니 계속 시급한데 해결안되는 문제들은 쌓여있고,
각자 맡은 분야에서 꾸역꾸역 버텨야 하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줄타기를 잘할 수록 양쪽에게 비난을 받기 쉽습니다.
저는 이 정부의 재난컨트롤은 역대 최고였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 정책, 공직자 내로남불, 갈라치는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돼지콜레라부터 시작해서 고성 산불이후 코로나까지 이정도 리소스에서 이정도면 정말 잘 막았죠.
이렇게 문제가 끝없이 밀려들어오는 상황에서 가장 골치가 아픈게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의 "두번째로 시급한 문제"가 "가장 시급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시급한 문제들을 계속해서 해결하고 있는데, 계속 해결이 안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지속되죠.
그러니 계속 시급한데 해결안되는 문제들은 쌓여있고,
각자 맡은 분야에서 꾸역꾸역 버텨야 하는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문제 시 할만할 수 있는 영역은 차별적 조치, 집행 과정에서의 오남용, 공식적 거짓 홍보 정도가 되겠네요. 사실 O/X로 따지면 아니었다고 말할 사람들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
근데 한국은 뭐 잘 지키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게 사실입니다. 동시에 공무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기도 하구요. 국민성이랑 행정력이 1위인 곳에서 정부 고위층의 대응이 1위 못 먹고 있으면 '야 니네는 뭔데 1위 못찍냐'는 비판을 살 수 있는 거지요.
근데 한국은 뭐 잘 지키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게 사실입니다. 동시에 공무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기도 하구요. 국민성이랑 행정력이 1위인 곳에서 정부 고위층의 대응이 1위 못 먹고 있으면 '야 니네는 뭔데 1위 못찍냐'는 비판을 살 수 있는 거지요.
문제가 없진 않았겠지만 지표에 적힐 급은 아니라 본 듯 합니다.
잘 지키는게 나쁘진 않지요. 잘 못 지켜서 락다운까지 가고 공무집행과정에서 과도하게 권력을 사용한 사례가 비일비재했으니.
잘 지키는게 나쁘진 않지요. 잘 못 지켜서 락다운까지 가고 공무집행과정에서 과도하게 권력을 사용한 사례가 비일비재했으니.
어쩌다보니 슬쩍 관계자가 되었는데, 행정력이라고 퉁치고 넘어가는 것에서 조금만 발상을 바꾸면 바로 중국처럼 될 수 있는 요소는 숱하게 보이는 듯합니다.
민주주의가 수단일까요? 목적일까요? 민주주의 자체가 목적이라면 민주주의에 대한 훼손여부만이 중요하겠지만, 수단이라면 그로 인해서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도 같이 평가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런 류의 조사를 보면 항상 그 훼손으로 무엇을 얻었는가에 대해서는 자세히 분석하지 않고 대강 얼버무리는 경향이 있더군요.
목록 |
|